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내란 특검(특별검사 조은석)이 비상계엄 선포 당일 최초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불려간 5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인 김영호 통일부 장관을 소환했다.
20일 내란 특검은 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9시 45분께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고검에 모습을 드러낸 김 장관은 아무말 없이 청사로 들어갔다.
내란 특검은 김 장관에게 비상계엄 선포 전후로 개최된 국무회의 상황 등에 대해 질문을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최초로 불렀던 5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이다. 김 장관은 앞서 지난해 12월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서 조사를 받을 당시 ‘계엄 당일 오후 8시 6분께 용산으로 가능한 빨리 들어오라는 전화를 받고 대통령실로 갔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에게 계엄이 선포될 것이라는 말을 듣고 반대 의견을 냈다고 진술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한 전 총리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과 함께 윤 전 대통령을 만나 만류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강행했다고도 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반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 김 장관의 진술이다.
계엄 선포 후 12월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를 위해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 김 장관은 잠에 들었다고 해명했다.
내란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을 조기 기소한 데 이어 국무회의 참석자들에 대한 수사 또한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은 이달 19일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을 받는 이상민 전 장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며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