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수집 넘어 명장·명작 발굴하는 리움 소장품전
이전
다음
아니쉬 카푸어 '프로토 프로토'
김수자의 '호흡'. 삼성미술관 리움 M1의 원형천장과 나선형으로 배치된 창문을 이용한 설치작업인데, 햇빛의 변화에 따라 투명창의 색이 바뀐다.
정구호 아트디렉터의 주도로 검은 기둥과 검은 의자, 벽 등으로 새단장 한 리움 로비 전경. 벽 전체를 차지한 미디어파사드에서는 제니퍼 스타인캠프의 작품들을 볼 수 있다.
리셉션 데스크 전체는 ‘숯의 화가’로 유명한 작가 이배의 ‘불로부터’이다. 240여개의 숯을 벽처럼 쌓아 만들었다.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국보 ‘청자상감 운학모란국화문 매병’과 바이런 김의 ‘고려 청자 유약#2’가 나란히 전시 중인 리움미술관 소장품 상설전시실 M1의 4층 전시 전경.
고려 나전공예의 정수를 보여주는 희귀유물이 최초로 공개됐다.
단색화의 거장 박서보의 '묘법 No.14-81'과 분청사기들.
박서보의 '묘법 No.14-81' /사진제공=삼성미술관 리움
조선의 왕실 도자기 ‘백자청화 운룡문호’(오른쪽)와 정상화의 ‘무제 86-2-28’
조선의 왕실 도자기 ‘백자청화 운룡문호’(왼쪽)와 정상화의 ‘무제 86-2-28’
백자청화운룡문호 /사진제공=삼성미술관 리움
국보로 지정된 김홍도의 '군선도'
리움의 현대미술 소장품 상설전시장 M2 전경. 입구에 새로이 걸린 문범의 작품 뒤로 아니쉬 카푸어, 루이스 부르주아, 이승조 등의 작품을 볼 수 있다.
리움의 소장품 기획전 ‘검은 공백’에 선보인 안젤름 키퍼(왼쪽부터), 폴 매카시, 줄리 머레투 등의 작품.
리움의 소장품 기획전 ‘검은 공백’에 선보인 이사무 노구치(왼쪽부터), 최만린, 리처드 세라, 토니 스미스 등의 작품 전시 전경.
폴 매카시의 ‘설백 난쟁이(행복이)’와 뒤쪽으로 탐 웨슬만의 검은 작업 ‘초록색 블라우스를 입은 여인’
아니쉬 카푸어 '프로토 프로토'
김수자의 '호흡'. 삼성미술관 리움 M1의 원형천장과 나선형으로 배치된 창문을 이용한 설치작업인데, 햇빛의 변화에 따라 투명창의 색이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