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간 임금역전 현상은 중소기업들이 인력확보를 위해 앞장서 임금을 올린 때문이기도 하지만 노동계의 자발적 상생노력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일본의 최대 노동조직인 렌고(連合)는 올해 춘투에서 ‘임금격차 시정’을 전면에 내걸고 대기업의 인상 몫을 최대한 중소기업으로 돌리는 데 주력했다.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의 인상폭에 맞춰 임금을 조정하던 오랜 관행을 깨뜨리고 대형 사업장부터 임금 인상을 자제하라고 독려했다는 것이다. 이 바람에 도요타보다 하청 부품업체의 임금이 더 많이 올랐다고 하니 우리 같으면 당장 대기업 노조에서 들고 일어났을 사건이다.
일본 노동계의 변신은 비슷한 처지의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다. 국내 중소기업의 임금은 대기업의 62%로 일본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이런데도 노동단체는 올해 임금을 7.9%나 올려달라면서도 중소 하청업체나 비정규직 처우 문제를 오로지 남 탓으로 돌리고 있다. 정치권도 임금격차를 해소한다면서 산업계의 부담만 가중시킬 뿐 대기업 노조의 고임금에 대해서는 철저히 입을 닫고 있다.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노동계도 일본처럼 상생과 양보의 정신을 적극 발휘해야 한다. 최저임금 1만원 인상 같은 상투적 구호에서 벗어나 대기업 정규직부터 먼저 임금 격차를 줄이는 데 앞장서야 한다. SK하이닉스 노조처럼 임금인상 일정분을 노동 약자에게 지원하는 대승적인 자세가 절실한 때다. 대기업 노조가 지금처럼 중소 하청기업의 희생하에 자기 이익만 계속 챙기려 든다면 머지않아 역풍이 불어닥칠 수도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