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신 비서관의 사의 표명은 이번 선거 결과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신 비서관은 이미 한 달 전 사직 의사를 굳혔고 사표를 낸 시기도 선거 전날이기에 새누리당 패배 책임과 연결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의 표명의 이유가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의견을 매끄럽게 조율하지 못한 데 있다면 얘기가 다르다. 사표를 낸 시점은 비록 총선 전일지라도 사표 제출의 이유는 결국 새누리당 공천파행에 있기 때문이다. 파행의 배후에는 청와대가 있다는 게 정설이고 실무를 담당하는 정무라인에서 책임을 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신동철 비서관은 한때 ‘십상시’의 한 명으로 분류된 박 대통령 핵심측근으로 정권 출범 때부터 청와대에서 근무했다. 그가 이번에 사퇴함에 따라 대통령의 지근거리를 지키는 핵심비서관은 정호성·이재만·안봉근 등 3명만 남게 됐다.
이날 청와대 안팎에서는 현기환 정무수석과 이병기 비서실장이 사의를 표명했고 박 대통령이 만류했다는 얘기까지 돌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근거 없는 얘기이고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지만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만은 틀림없다.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의 회의는 분위기가 한없이 무거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서는 청와대 참모 교체를 당연한 스텝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 근무를 경험한 한 정치권 인사는 “대통령 임기 중에 집권여당이 제1당을 내줬다는 것은 정무라인과 비서실장은 물론이고 경제와 홍보까지도 책임을 져야 하는 대참사”라며 “청와대 참모진부터 교체한 뒤 내각도 개편해야 민심을 조금이나마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청와대 안팎에서는 개각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국무위원은 업무를 주도적으로 처리하기보다는 청와대의 눈치를 보는 데 집중한다는 비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외교와 통일 등 몇몇 부처는 선거 전 여론 악화의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개각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예상이 엇갈린다. 인사청문 절차를 감안해 19대 국회 임기 종료 전에 신속히 하는 게 낫다는 의견과 20대 국회가 원구성을 하고 난 뒤 개각을 하는 게 순리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