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 취업자들은 지인을 통해 구직 정보를 얻은 반면 미취업자들은 취업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정보를 얻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사자의 임금 수준도 크게 차이를 보였다.
26일 서울경제(서울연구원 발간) 최근호에 실린 서울의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취업자들이 구직정보를 얻은 경로 1위가 친구 또는 선후배(21.0%)인 반면 미취업자들은 민간 취업사이트나 카페(26.8%)로 나타났다. 취업자는 학교 교수, 부모나 친척, 지인 등에게서 주로 정보를 얻었지만 미취업자들은 공공기관 취업사이트 등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 것.
이 결과는 한국고용정보원이 2014년 8월부터 11월까지 만 22∼36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청년패널조사를 활용한 것이다. 서울연구원(조달호 선임연구위원)이 서울 청년취업자 표본 수 907명에 가중치를 부여했다.
이에 따르면 취업자들은 스펙 중 업무관련 자격증, 학벌, 학점 등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미취업자들은 학벌, 업무자격증, 영어회화 능력 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서울 청년취업자는 남성이 55.8%로 여성 보다 많다. 대졸 이상 학력이 53.4%로 절반이 넘는다.
또한 서울 청년 취업자는 도매·소매업(14.2%), 제조업(13.8%), 출판·영상·정보(9.9%), 보건 및 사회복지(8.5%) 업종에 주로 종사한다.
부동산·임대업(82.3%), 건설업(77.4%), 제조업(73.0%) 순으로 남성이 많고 여성은 교육서비스(81.3%), 보건·사회복지(76.5%) 업종에 몰려있다.
청년 취업자의 월 평균 임금은 239만 4,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261만 8,000원)이 여성(211만 6,000원) 보다 50만 원 이상 더 받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 학력자의 평균 임금은 200만2,000원인데 대졸 이상은 271만9,000원으로 70만 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 평균은 253만 1,000원인데 임시직은 185만 5,000원, 일용직은 89만6,000원으로 격차가 컸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 318만 9,000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부동산 임대(284만 7,000원), 제조업(268만 6,000원) 순이다. 교육서비스 업종 종사자는 193만 3,000원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왔다.
한편 서울에서도 고령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확대되는 반면 청년층의 경제활동은 위축되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6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31만 7,000여명으로 5년 전보다 34.9% 늘었다. 작년 말 고용률도 26.0%로 같은 기간 2.4%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청년층(15∼29세) 경제활동인구는 작년 말 97만여명으로 2010년에 비해 6.0% 줄었다. 고용률도 44.6%로 1.0%포인트 올라가는 데 그쳤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