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중국의 도를 넘은 여론전은 우리 사회의 본질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세례를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경험부족과 21세기 국제정치학의 주요 흐름인 소프트파워에 대한 무지를 드러낸 공산주의 체제의 한계이기도 하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여론이 공존하는 정치체제다. 사드에 관한 찬반양론이 들끓는다고 해서 중국의 협박이 먹혀드는 조짐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큰 착각일 수밖에 없다. “만약 충돌이 발발한다면 한국은 가장 먼저 공격목표가 될 것”이라던 중국 언론의 협박도 이웃으로서의 중국에 대한 신뢰에 완전히 금이 가게 만든 치명적 실수다. 이로써 중국은 믿을 수 없는 이웃이라는 이미지를 굳혀버렸기 때문이다.
지금 중국은 주변국 가운데 과연 진정한 친구가 있는지 자문해봐야 할 시점이다. 그런 마당에 한중관계를 파국으로 몰면 한국마저 완전히 등을 돌리게 되고 중국에는 북한만 남게 된다. 글로벌 사회가 북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조롱에 가까운 이미지를 고려한다면 중국에는 최악의 선택일 수밖에 없다. 중국에서 거론되는 북핵 공조 이탈 주장은 안보리 결의 2270호를 준수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스스로 외교적 고립을 불러올 뿐이다. 중국은 지금 너무 큰 옷을 입고 있는 것 같다. 중국이 글로벌 사회에서 좀 더 환영받는 존재가 되고자 한다면 더 현명하고 원숙해져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