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이 무덤으로 변한 데는 이유가 있다. 자영업자 10명 중 6명은 50~60대 이상이다. 대부분 일에 치이고 집 장만, 자식 걱정만 하다 인생 2막을 고민할 겨를도 없이 은퇴를 맞은 이들이다. 신기술을 배울 시간도, 능력도 없다. 제대로 준비를 못했으니 먹고 살기 위해 너도나도 편의점이나 카페·음식점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 가운데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비중이 50%에 이른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은 정보기술(IT)·바이오 등 첨단산업에 집중돼 있다. 고령층 대책은 공공근로 같은 임시직이 고작이고 그나마도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은퇴교육도 별 도움이 안 된다. 재도약, 인생 재설계 등 이름만 거창했지 실제로는 이론과 박람회 관람, 서류 작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 설문에서 창업교육을 받은 적 없다는 응답이 80%를 넘는 이유다.
벤처 중심 또는 형식적인 교육으로는 은퇴 또는 은퇴 예정자들이 아무런 도움도 받을 수 없다. 실질적인 지원이 되려면 퇴직 전에 인생 2막을 준비할 시간과 제대로 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일부 대기업에서 시행 중인 직무 연관 교육을 사회 전체로 확산시키고 시기도 퇴직임박 시점이 아닌 입사 이후로 앞당길 필요가 있다. 자영업이 무덤이 되지 않으려면 은퇴는 직장으로부터의 퇴출이 아닌 새로운 사회로의 진입이라는 인식전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