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KT·삼성 "5G 서비스 2019년 상용화"

일본보다 1년 앞당겨 5G 고지 선점 평창서 시범서비스 후 전국

KT, 버라이즌과 기술개발 한창

28GHz 대역 기반 AR·VR 콘텐츠도

美 대역과 동일...국제표준화 무난할 듯

삼성, 핵심모뎀칩 개발 서두르기로





KT와 삼성전자 등 국내 통신·전자업계가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될 5세대(5G) 이동통신서비스 상용화를 일본보다 1년 빠른 2019년에 달성하기로 했다.

29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27일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으로 열린 ‘정책해우소’회의에서 5G서비스 상용화 시점을 기존 2020년보다 앞당겨 2019년 상반기에 단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는 해당 시점에 맞춰 5G용 단말기(스마트폰 등)와 통신장비 개발 등을 마칠 수 있다고 화답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날 상용화 시점을 못박진 않았으나 5G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할당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해 큰 틀에서 의견을 함께 했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기존 통신전파 주파수 공급계획이던 광개토플랜을 전면적으로 수술해 새로운 중장기 주파수공급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5G뿐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전기차, 인공위성 등 다양한 주파수 정책이 담길 예정”이라고 전했다.

◇“도쿄보다 먼저 5G 고지 선점”=KT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시범서비스를 선보인 뒤 이듬해 상반기 전국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다. 5G용 후보군으로 꼽히는 여러 주파수 대역중 28기가헤르츠(GHz)대역을 목표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미국 버라이즌과 손잡고 28GHz 대역에서 5G 기술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5G 상용화가 이뤄지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콘텐츠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앞서 2000년대 세계 최초로 롱텀애볼루션(LTE) 전국통신망을 구축·상용화해 4세대(4G) 이동통신서비스의 최강국 자리를 차지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일본은 LTE 서비스에서 우리나라에 선수를 빼앗겨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했는데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5G기술을 선보여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라며 “KT 등 국내업계는 이번에도 일본보다 앞서겠다는 포부”고 말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이 5G용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한 핵심 부품인 모뎀칩 개발을 2019년까지 당겨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전자분야 전문가는 “삼성전자가 세계 스마트폰 1위 점유율을 차지한 것은 조기 4G 상용망을 바탕으로 경쟁사보다 다양한 상용기술들을 테스트해본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전했다. 인텔과 퀄컴 관계자들도 이날 회의에서 2019년 모뎀침 개발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통신전파를 중계할 기지국과 중계기 등은 노키아와, 에릭슨이 개발 중이다.

◇국제표준 확정보다 앞당겨 위험부담= 다만 세계 5G 표준규격은 2019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결정하게 돼 성급한 개발과정에서 위험부담이 따른다는 지적도 나온다. KT 등이 상용화를 추진하는 28GHz주파수 대역은 지난 2015년 ITU가 발표했던 5G용 주파수대역 후보군에서 제외돼 있다.

하지만 KT 등 국내 주요 업체들은 미국이 28GHz대역을 기반으로 삼아 5G 국제 규격화를 밀고 있다는 점에서 자신감을 보인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최근 버라이즌에 5G용으로 28GHz대역 사용을 허가했다. 학계 관계자는 “미국의 규격이 무난히 국제표준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전망”이라고 소개했다.

이밖에 이날 회의에선 사물인터넷 서비스 용도로 2017년 말 종료되는 아날로그방송이 사용 중인 3.4~3.6GHz대역 등에서 가용 주파수 발굴 여부도 논의됐다. 업계는 전기차와 관련해 85킬로헤르츠(kHz) 대역을 무선충전용 주파수로 공급해달라는 건의했다.

◇4차 혁명 지원방안 마련 시동=이번 해우소 회의에선 5G 이외 분야의 주파수 신규 공급 필요성도 제기됐다. 우선 사물인터넷 서비스 용도로 3.4~3.6GHz대역 등에서 가용 주파수 발굴 여부가 논의됐다. 해당 주파수 대여은 현재 아날로그 방송중계용으로 사용중인데 아날로그 방송이 2017년말께 종료되므로 여유가 생긴다. 전기차와 관련해선 85킬로헤르츠(kHz) 대역을 무선충전용 주파수로 공급해달라는 업계 의견이 제안됐다. 그동안 국내에선 20kHz와 65kHz대역을 주로 무선충전용 주파수로 사용해왔는데 해외의 주파수대역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출 등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새 대역으로 주파수 활용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밖에도 군용 주파수의 경우 사용기한이 만료되는 주파수 대역은 민간용 등을 활용토록 반납하는 방안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대신 신규 개발 무기들을 위한 주파수의 선제적 확보 필요성이 논의됐다.

기존의 광개토플랜은 주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중심으로 짜여진 탓에 이처럼 광범위한 용도의 주파수 활용 밑그림은 빠져 있다. 따라서 미래부는 앞으로 마련할 새 중장기 주파수공급계획에서 광개토플랜에서 다루지 못했던 포괄적인 주파수 정책을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