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비서실에서 구조조정본부·전략기획실로 이름이 바뀌어온 그룹 컨트롤타워를 공식 폐지하겠다는 것은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안팎의 부정적 시각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미래전략실은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병폐인 정경유착의 핵심 연결고리로 활용되면서 국민의 거센 비난을 자초해왔다. 그룹 내부에서도 미래전략실이 계열사 지원이라는 본연의 역할보다 막강한 권한을 앞세워 군림하며 시대 변화에 뒤떨어졌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 해도 미래전략실이 부작용 못지않게 나름 순기능을 발휘해온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미래전략실의 역기능은 바로잡되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주력사업의 경영상태를 점검할 전략기능은 어떤 식으로든 유지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스마트카와 바이오 등 특정 계열사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신사업이나 인수합병(M&A) 전략을 지휘할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은 오히려 높아졌다고 봐야 한다. 삼성에 비판적인 김상조 한성대 교수가 “삼성은 국내 계열사만도 약 60개이며 모두 400여개의 계열사가 있다”며 “그룹은 컨트롤타워 없이 경영을 잘하기 힘들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측면에서 그간 추진해온 지주회사 체제 전환과정에 별도의 조직개편을 담거나 SK처럼 별도의 위원회 방식을 통해 의사결정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대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적이고 투명한 경영체제는 우리 기업들의 과제일 것이다. 조직개편이 글로벌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재계의 각성과 분발이 필요한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