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8월 기준 표본 3만2000가구에 속한 비임금근로자 중 최근 2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한 자영업자를 조사한 것.
우선 종잣돈을 의미하는 사업자금을 규모별로 보면 500만원 미만이 전체의 28.3%로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500만∼2000만원 22.0%, 2000만∼5000만원 21.1%, 5000만∼1억원 16.6%, 1억∼3억원 10.9%, 3억원 이상 1.2% 순. 절반 이상이 2000만원도 안 되는 종잣돈으로 자영업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사업 시작 시점을 2년 내에서 1년 내로 좁히면 종잣돈 500만원이 31.5%, 500만∼2000만원이 21.8%로 영세업자의 비중이 더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종잣돈 조달방법을 보면 본인 또는 가족이 마련한 돈(68.8%)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자영업에 뛰어든 이의 절반 이상(57.4%)은 직전 직업이 임금근로자였던 것. 응답자 중 88.9%는 사업 준비기간이 1년 미만에 불과했으며 1∼3개월도 52.0%에 해당했다.
직원(유급고용원)을 두지 않고 혼자 또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 사업하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3만7000명(60.3)으로 2년 전보다 11만1000명 늘었다. 이 비율은 2008년 8월 조사에서 60.3를 기록한 이후 9년 만에 최고치인 것.
올해 8월 기준 전체 비임금근로자 685만7000명 중 60세 이상은 201만2000명으로 전체의 29.3에 해당했다. 이는 2007년 8월 조사를 시작한 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통계청 빈현준 고용통계과장은 “사업자금 규모 등 전반적인 조건이 악화한 것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증가한 영향”이라며 “지난해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직업을 잃은 이들이 생업을 위해 자영업에 뛰어든 영향이 있다”고 밝혔다.
자영업자의 산업재해 보험 가입률은 이전보다 높아졌지만 전체 자영업자의 절반 수준에 달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산재보험 가입률은 52.8%로 2015년보다 7.5%포인트 올랐다.
산재보험 가입률은 남자(56.6%)가 여자(42.0%)보다 높았고 산업별로는 광·제조업(72.4%),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56.4%) 등 순이었다. 음식숙박업의 산재보험 가입률은 2년 전보다 10.6%포인트나 올랐지만 여전히 43.3%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