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의 새 지배구조는 예상됐던 지주사 체제가 아니라 오너의 지분인수 방식을 동원한 것이어서 의미가 남다르다. 다른 그룹과 달리 ‘사업 지배회사→완성차→ 계열사’로 이어지는 수직적 사업구조로 투명한 지배구조를 갖추고 계열사 간 자율책임경영 체제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적인 판단이 돋보인다. 미래 신사업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형 인수합병(M&A)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지주사라는 우회로를 포기하고 시장과 소통하면서 순환출자를 깨겠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대주주의 지분 매각과 함께 최소 1조원의 양도세를 떠안는 통 큰 결정을 내린 것도 주목할 만하다. 재계 2위 그룹으로서 ‘세금은 제대로 내야 한다’는 대주주의 인식이야말로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현대차가 명분과 주주·기업가치를 살리는 정공법을 택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작금의 현대차는 경쟁력 하락과 통상갈등의 여파로 내우외환에 직면해 있다. 이런 엄혹한 시기일수록 탄탄한 경영 리더십을 바탕으로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강자의 위상을 되찾는 게 시급한 과제다. 계열사 간 투명경영을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면 소모적인 편법지원 논란도 사라질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시장의 요구에 부응했다”고 평가했듯이 본연의 경영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당국의 열린 자세도 필요하다. 현대차가 새로운 지배구조를 발판으로 삼아 한국 대표주자로 다시 질주할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지지가 절실한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