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상회담은 문 대통령 취임 이후 다섯 번째이지만 북한의 대남·대미 압박이 강화되는 시기에 열려 결과가 주목된다. 싱가포르에서 열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어깃장을 놓으며 북핵 해법이 갈수록 꼬이는 양상이어서 더욱 그렇다. 특히 북한은 맥스선더훈련을 문제 삼아 남북 고위급회담 중단을 통보한 데 이어 탈북 종업원의 송환까지 요구하는 등 전방위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한미 정상이 이례적으로 배석자 없이 단독회담을 갖는 것도 북한의 공세에 따른 상황의 위중함을 절감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 로드맵에 대한 의견 조율이다. 미국의 ‘트럼프식 비핵화 모델’과 북한의 단계적·동시적 해법 사이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이 때문에 북측에 요구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의 구체적인 대상과 방법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군다나 문 대통령은 비핵화를 둘러싼 북미 간의 간극을 좁히는 것뿐 아니라 북한의 대남·대미 압박이 미국의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이중의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핵 해법을 둘러싼 국내외적 논란과 의구심을 완전히 잠재워 국민의 걱정을 덜어줘야 한다. 아울러 북미 정상회담을 북핵 해결의 소중한 기회로 만들려면 한미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국익을 최우선으로 삼아 한반도 평화를 위한 주변국과의 공조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문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튼튼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슬기롭게 해내기를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