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든지 미국 정부가 기업들을 활용해 우리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양 교수는 “트럼프가 다른 이슈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는 지적도 했다. 이미 그런 조짐은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열흘 전 글로벌 자동차 업체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한국산 등 미국에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한 20%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 논란을 비켜가려고 철강처럼 자동차에 국가안보를 적용할 것이라는 소리도 들린다. 반도체도 미국의 공격 리스트에 올랐다는 관측까지 있어 우려스럽다.
지난 1년간 경험했듯 트럼프는 선제 무역공세를 통해 미국 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고 한다. “무역전쟁은 좋은 것이고 이기기 쉽다”거나 “한국은 무역에 관해서는 동맹국이 아니다”라는 노골적인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전방위 통상압박이 집요하게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지난 3월 말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한미 FTA 협상 브리핑 자리에서 “트럼프가 백악관에 있는 동안은 계속 통상 리스크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이런 분위기를 우리 통상당국도 인식하고 있는 것 같아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아는 것으로 그쳐서는 곤란하다. 철저한 준비를 해야 제2, 제3의 통상압력에 대처할 수 있다. 무엇보다 대미 통상 상시대응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국제공조와 함께 재계의 인맥을 활용해 미 의회·정부의 통상정책 입안자 등에게 우리의 입장을 충분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