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되면 이미 0.5%포인트로 벌어진 한미 간 금리격차가 급속히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우리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4,000억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액 등을 근거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입장이지만 안심하기에는 대내외 여건이 녹록지 않다. 1,400조원을 넘는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뇌관이다. 글로벌 무역갈등이 고조되는 마당에 아르헨티나·터키·브라질 등 신흥국의 금융불안도 예사롭지 않다.
미국 금리 인상의 여파가 이 같은 국내외 불안 요인과 결합할 경우 금융시장이 출렁거리고 실물경제에까지 전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14일 미 금리 인상의 후폭풍에 대해 낙관론을 펴면서도 “신흥국 금융불안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국제자본 이동과 투자자들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지켜봐야 한다”며 경계심을 숨기지 않은 이유다. 고민은 한은 등 정책당국의 대응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도 가만히 있기가 쉽지 않다. 자본유출이나 환율·물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도 금리를 올려야 한다. 하지만 성장률이나 가계부채 등을 감안하면 선뜻 금리에 손을 대기도 힘든 상황이다. 그렇다고 예의주시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불안심리 확산을 차단하면서 실물경제에 악영향이 없도록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그래야 미국 금리 인상 등 해외발 충격을 흡수할 완충력을 갖출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