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포상제도는 현장에서 뛰는 전문인력의 연구개발 의욕을 북돋우고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최소한의 보상이다. 그것도 최고과학기술인상과 한국공학상 등 손에 꼽을 정도인데다 포상금 지급규모 역시 외국과 비교하기가 부끄러울 뿐이다. 포상제도는 척박한 여건에서도 독보적인 연구성과를 거둔 과학기술인들의 사기를 높이는 데 가뭄의 단비 같은 역할을 해왔다. 한국연구재단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만 해도 기계공학과 재생의학을 접목하고 슈퍼컴퓨팅과 화학을 결합하는 등 융복합 부문에서 많은 수상자를 배출해왔다. 이런데도 포상금 재원 마련이 어려워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폐지 여부가 거론된다니 안타까운 일이다. 현장에서 “과학기술인들의 사기를 올려줘도 부족한 판국에 영예의 상징마저 없애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비판의 목소리가 높은 것도 당연하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 지난해 정부·민간 포상자 등 과학기술인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더니 자신들이 의료인이나 법조인에 비해 더 존중받는다고 생각한다는 비율은 8.4%에 머물렀다. 우리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위상과 사기가 땅에 떨어져 있다는 참담한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낸 셈이다. 국가 차원에서 사회적 예우와 지원이 미흡하다 보니 정당한 대접을 받지 못한 인재들이 한국을 떠날 기회만 노리는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대 경쟁력은 다름 아닌 고급두뇌다. 과학기술인들이 존경받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자면 현행 포상제도를 오히려 확대·발전시켜나가야 마땅하다. 만약 정부가 과학기술인들을 푸대접한다면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일은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