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화상치료 '넘버원'...중증환자 年 1,800건 수술

[똑똑! 전문병원] <11>한림대 한강성심병원

국내 최초로 동종·이종 피부이식과 배양세포이식 성공

흉터 관리위한 플라즈마·안면재건술 등 새 치료법 개발

119 이송중 모바일앱 활용, 환자 도착전 진료준비 끝내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의료진이 다리에 화상을 입은 환자의 환부를 치료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강성심병원




한림대 한강성심병원은 보건복지부 지정 화상전문병원·화상전문응급의료센터와 화상성형클리닉을 운영하며 화상 분야에서 ‘넘버원’의 길을 달려왔다. 협진과 감염관리 등을 위해 화상센터와 심장뇌혈관센터가 별도의 건물을 쓰고 지역응급의료센터까지 갖춘 종합병원이기도 하다.

화상센터의 경우 연평균 2,400명, 1,800건의 급성기(화상 흉터 성형 제외) 화상 환자의 입원과 수술이 이뤄진다. 1년 365일 하루 평균 6.6명의 급성기 화상 환자가 입원하고 4.9건의 급성기 수술이 이뤄지는 셈이다.

화상은 불이나 뜨거운 액체·증기·연기, 화학물질에 노출되거나 감전돼 피부조직 등이 손상된 것을 말한다. 증상에 따라 1~4도로 구분되고 화상을 입은 넓이와 깊이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된다.

화상센터는 화상외과·성형외과·재활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이 긴밀히 협력해 환자 맞춤형 진단, 수술, 재활, 재건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화상으로 인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관리 및 마음명상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입원병동은 중환자실, 회복 단계 환자의 상처관리와 심리 안정을 도모하는 외과 화상병동, 소아·특수화상 환자와 기능적·미용적 재건성형술 및 체표면적의 15% 미만 화상 환자가 입원하는 성형외과 화상병동으로 나뉘어 맞춤형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센터는 국내 최초로 중증 화상 환자에 대한 동종·이종 피부 이식과 배양세포 이식에 성공했다. 화상연구소 운영 등으로 화상 흉터 관리를 위한 플라즈마 치료, 가피절제술·안면재건술 등 새 치료법도 끊임없이 개발해왔다. 중증 화상 환자에 대한 배양세포·피부·피부대체물 이식술, 다양한 부위의 흉터 성형, 특화된 화상 치료 및 재건기술 등 다섯 개의 ‘대한민국 대표 의료기술(보건산업진흥원 선정)’을 보유하고 있다. 생체공학을 이용한 피부조직 재생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바이오 인공피부·장기 등 화상 치료에 필요한 신소재 연구도 활발하다.

화상전문응급의료센터는 중앙119구조본부와의 업무협약으로 응급 화상 환자가 발생하면 화상 전문 의료진이 119 헬기에 함께 탑승해 긴급출동하거나 응급처치 후 인근 헬기장으로 후송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화상·뇌졸중·심혈관질환 환자 등을 골든타임 안에 치료해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119 대원이 환자 이송 중 한림대의료원이 개발한 모바일앱을 활성화하면 병원 의료진에 자동으로 연락돼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 진료 준비를 마칠 수 있다.

화상 수술은 골든타임이 좀 긴 편이다. 쇼크 방지를 위한 수액 치료를 한 뒤 보통 화상 발생 48시간 이후 죽은 피부조직을 제거하는 가피(痂皮·부스럼딱지) 절제술을 한다. 가피는 상처가 나거나 헐었을 때 피부 표면의 결손부에 괸 조직액·혈액·고름 등이 말라 굳은 것을 말한다.

하지만 감전으로 인한 전기화상은 8시간 안에 최대한 빨리 근막 절개술을 해야 한다. 고압의 전류에 감전되면 단단한 근막으로 쌓인 근육이 부어 근막 내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짐으로써 혈액 공급 중단→근육 괴사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작업하다 손을 통해 감전되는 경우가 많은데 골든타임 안에 손바닥 중간에서 아래 팔뚝까지 S자 모양으로 근막을 절개해 열어줌으로써 압력을 낮춰주면 된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화상환자 생존율 높이고 후유증 줄이려면

성형·재활·심뇌혈관 등 치료와 병행해야”

‘화상외과 명의’ 전욱 병원장

“가슴 화상 찬물로 계속 식히다간

저체온증으로 위급상황 맞을수도

병원으로 빨리 이송하는게 최선”



“유능한 화상외과 의사가 있다고 좋은 화상센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성형외과·재활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는 물론 순환기내과·호흡기내과·심장내과·신경과·신경외과·정형외과 등과의 통합진료가 가능해야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화상외과 명의’로 통하는 전욱(50·사진) 한림대 한강성심병원장은 “승용차 운전자가 교통사고로 목뼈(경추)가 부러지고 차에 화재가 발생해 화상을 입었다면 최소한 경추 수술을 할 신경외과 의사와 화상외과 의사가 있어야 한다”며 “급증하고 있는 노인을 포함한 심뇌혈관질환자가 중증 화상을 입으면 뇌졸중·협심증·심근경색증 등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심뇌혈관질환 응급시술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통합진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뜨거운 물이나 화재로 화상을 입은 환자에게는 어떤 응급조치가 좋을까. 그는 “가슴 등에 화상을 입은 환자에게 찬물로 환부를 계속 식히는 잘못된 응급조치를 하는 바람에 저체온증이 생겨 죽기 직전의 상태로 오는 환자도 적지 않다”며 “가급적이면 손을 대지 말고 병원으로 빨리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지근한 물이나 찬물로 화상 부위를 식히는 응급조치는 손 쪽에 화상을 입은 경우로 국한하고 물이 끓는 냄비 등을 엎어 손발 등을 덴 경우에는 씻지 말고 깨끗한 수건으로 덮은 뒤 빨리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화상 수술·치료 과정에서 20년 전과 가장 달라진 부분은 뭘까. 그는 지난 2005년 인체조직관리법이 생기고 사체피부조직은행이 생겨 사체 피부를 이식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을 꼽았다. 이식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덮어주는 개념이다. 그 전에는 가피 절제 후 별다른 조치 없이 화상 부위에서 혈관이 자라날 때까지 2주가량 기다렸다가 환자 자신의 피부를 이식했다. 어린이가 광범위한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부모의 피부를 이식하기도 했다. 그는 “표피·진피가 있는 사체 피부 이식이 가능해진 뒤 체표면적의 30~80%에 화상을 입은 환자의 생존율이 2배까지는 안 되지만 매우 높아졌다”고 했다. 사체 피부, 자기 피부 이식에 건강보험이 적용돼 본인 부담도 많이 줄었다.

자기 피부 이식은 보통 1~2회면 끝난다. 1회에 체표면적의 25%까지 한다. 체표면적의 50%에 화상을 입었더라도 반은 스스로 낫는 2도 화상, 반은 3도 화상이라면 자기 피부를 한 번의 수술로 이식할 수 있다. 근육까지 손상되면 4도 화상을 입은 경우 손상된 근육이 재생되지 않는다.

화재 현장에서 연기를 많이 들이마시면 폐포를 막아버려 숨을 쉴 수 없게 된다. 이를 흡입화상이라고 하는데 다행히 그 전에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면서 기관지 내시경과 식염수로 폐포 등을 씻어내면 생명도 구하고 후유증·합병증도 거의 없다. 상태가 심해 일시적으로 폐·심장 기능이 정지된 경우에는 에크모를 활용해 살려내기도 한다.

그는 연구개발(R&D)에도 열심이다. 그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해 특허권을 가진 ‘동결보존 무세포 동종 진피’는 지금도 화상 치료에 많이 쓰인다. 종잇장과 비슷한 동결건조 사체 피부와 달리 살아 있는 사람의 피부와 거의 비슷해 이식이 잘되고 효과도 좋다.

콜라겐 지지체와 표피·진피를 이루는 상피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중간엽줄기세포 등으로 이뤄진 인공피부도 개발했다. 최근에는 3차원(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손상된 간 기능을 회복시키는 ‘간 블록(Hepatic block Scaffolds)’도 개발했다.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와 줄기세포가 간기능을 하는 세포, 간을 구성하는 간세포나 혈관내피세포, 근육세포 등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간 블록을 간 손상 모델 쥐에 이식해 간기능이 좋아진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그는 “(사람에게 이식했을 때)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없앤 장기 이식용 형질 전환 돼지가 개발됐지만 면역 거부 반응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상황”이라며 “면역 조절 기능이 있는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돼지 간에 듬뿍 넣어줘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유인원에게 적용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