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계속된 폭염으로 전국의 저수지가 말라가는 등 가뭄 걱정이 큰 상태다. 전남에서는 물 부족으로 가뭄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올린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다시 ‘경계’로 격상할 예정일 정도다. 대청호가 있는 충청권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특히 대청댐은 충청권 수백만 가구가 이용하는 식수원이다. 앞으로 1년간 써야 할 물을 확보하기에도 부족한 판에 모아둔 댐 물을 흘려보내라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더구나 김 장관이 대청호에서 배를 타고 녹조 현장을 보고 온 장소는 댐 상류에 있는 소옥천이라는 지천이다. 이곳의 물이 대청댐에 이르려면 약 40㎞를 흘러가야 한다. 이 때문에 소옥천 녹조 현상을 누그러뜨리려면 댐에 보관한 물을 적어도 3분의1은 흘려보내야 효과가 있는데 현재 댐 저수량을 감안하면 3억톤 가까이 방류해야 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수문을 개방하더라도 상류에 있는 녹조가 하류까지 번질 수도 있다. 녹조 해결은커녕 되레 녹조 상태를 악화시키는 셈이다.
댐 문을 여는 손쉬운 방법으로 녹조가 퇴치된다면 왜 진작 그렇게 하지 않았겠는가. 사정이 이런데도 환경운동가 출신인 김 장관은 미련을 못 버리고 있다니 우려스럽다. 수질·수량·재해예방 등을 포괄하는 물 관리 정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게 기본이다. 특히 지난 5월 물관리기본법 등 물관리일원화 3법 통과로 환경부의 수자원 관리 책임이 무거워 졌다.
녹조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덜컥 댐 수문부터 여는 식의 접근은 비상식적이다. 김 장관의 지시에 대해 ‘물 관리 문제를 환경단체 인사처럼 피상적으로만 본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제라도 김 장관은 시민단체 대표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책을 고민해야 하는 자리에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아직 보고 싶은 것만 보는 편협된 시각이 있다면 빨리 벗어나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