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한다는 것은 경기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유독 중소기업 연체율만 가파르게 올라간 것도 일감이 없어 공장을 돌리지 못해 대출마저 갚지 못하는 위기에 내몰린다는 점에서 심상치 않은 대목이다. 금감원이 조선과 자동차 분야의 1·2차 협력업체를 중심으로 매출이 급감해 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했다고 설명한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당국은 애써 의미를 축소했지만 최근 부실 우려가 커진 자영업 대출도 연체율 상승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올 상반기 카드론 취급실적이 20조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7%나 급증한 것도 은행권의 대출 규제에 막힌 소상공인들의 자금 수요가 한꺼번에 몰렸기 때문이다.
문제는 앞으로 경기여건이 불투명해지면서 기업 부채와 연체율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금리마저 올라가면 대출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아직 연체율 자체야 위험수위는 아닌 듯 보이지만 철저한 사전 점검체계를 통해 부실 징후를 관리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진 셈이다. 사상 최대의 이자수익을 챙긴 은행들 역시 기업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건전성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 대출은 경기가 나빠지면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아 경제에 치명타를 입히게 된다. 당국은 기업 부실화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대출시장 전반을 점검하고 적절한 지원책을 마련해 더 큰 충격을 막아야 한다.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통해 부채 상환능력을 높이는 것은 연체율을 관리하는 근본 해법이라는 사실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