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대 주력 신산업으로 밝힌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이른바 ‘빅3’ 산업을 이끌 부품소재 중소·벤처기업 250개를 집중 육성한다. 이들 분야는 미국 등 선진기술과 격차가 크기 때문에 분야별 국내외 전문가와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등을 지원키로 했다.
11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정부의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미래차 관련 대책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 중소벤처기업 혁신성장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4월 시스템반도체, 5월 바이오헬스산업, 10월 미래자동차 산업 전략 등을 잇따라 발표했다.
우선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3년 간 50개 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선정기업에 글로벌 반도체 설계기업인 영국 암(Arm)사와 설계와 공정 단계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 세계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빠르게 줄일 계획이다.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우리나라는 삼성을 제외하면 세계 시장점유율이 1%로 미미하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우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이 개발한 후보 물질을 대기업이 실용화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100개 기업을 선정, 집중 육성키로 했다. 특히 해당 기업은 신약 후보물질 개발 이전 단계와 임상실험 전 단계의 연구개발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 기술력은 최고기술국가인 미국과 3.8년이나 기술격차가 벌어져 있다. 정부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세계시장 석권 등 의약품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임상 등 자금 부족으로 기술수출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인공지능(AI) 기반 융복합 기술개발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차는 자율주행과 친환경차 기업을 각 50개씩 총 100개를 육성한다. 자율주행의 경우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술인 5G를 기반으로 기업의 기술확보와 제품 테스트를 위한 실증지원에 대한 지원이 주로 이뤄진다. 정부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인 독일 다임러와 이 회사의 자회사인 메르세데스 벤츠와 이미 기업 발굴, 기술 협력체계를 완성했다.
이렇게 선정된 250개 기업에 대해서는 사업화 지원부터 연구개발, 정책자금, 기술보증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을 하게 된다. 지원체계의 컨트롤 타워 역할은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위원장인 미래기업지원위원회에서 맡는다.
신설되는 이 위원회는 국내외 전문가와 각 부처 실무자로 구성된다. 산하에는 기업혁신추진단과 기업혁신멘토단을 마련해 지원 성과 점검, 과제 기획을 담당한다. 추진단장을 맡은 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예산이 확정과 동시에 대책을 추진할 전문기관을 선정하고 내년 2월쯤에는 해당 기업들을 선정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정부과제에 선정되면 기업이 스스로 원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었지만, 앞으로는 대학이나 기업, 전문가, 정부 등이 나서 기업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술과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종곤기자 ggm11@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