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1일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648개 대형사업장의 지난해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총 20만 5,091t으로1년 전보다 7만 2,604t(26%)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계는 전국 대형사업장(1~3종) 4,104개 중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648개 사업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총 7종의 연간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다.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질소산화물이 14만 5,934t(71%)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황산화물 5만 1,706t(25%), 먼지 4,577t(2%), 일산화탄소 2,284t(1%) 등이 뒤를 이었다. 미세먼지 주요 원인물질인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20만 2,218t으로 2019년 대비 7만 2,544t(26%)이 감소했다. 환경부는 사업장 배출허용기준 강화, 질소산화물 배출 부과금 신설, 대형 사업장 자발적 감축 협약 확대 등의 정책 효과와 경기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발전업의 총배출량이 7만 7,936t(3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시멘트제조업 5만 295t(25%), 제철제강업 4만 4,491t(22%), 석유화학제품업 1만 8,911t(9%)으로 뒤따랐다.
2019년 대비 감소량은 발전업에서 3만4,282t이 감소해 가장 많았다. 이어 제철제강업(1만3,380t), 시멘트제조업(1만3,292t), 석유화학제품업(8,021t) 순으로 감소했다. 환경부는 발전업은 계절관리제 및 발전량 감소에 따른 석탄 사용량 감소, 제철제강업은 방지시설 개선 등이 배출량 감소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추정했다.
시도별 배출량은 충남 3만 6,693t(18%), 강원도 3만 6,285t(18%), 전남 3만 3,599t(16%), 충북 2만 367t(10%), 경북 1만 8,581t(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발전업과 제철제강업이 많고, 강원은 시멘트제조업이 밀집돼 있으며, 경남과 전남은 제철제강업 및 석유화학제품업이 입지하는 등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탓이다.
지난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상위 10개 사업장의 배출량은 9만 4,019t으로 전체 배출량(20만 5,091t)의 45.8%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상위 10개 사업장의 배출량 비중은 지속해서 감소했으며, 2019년 대비 3만 6,990t(28.2%), 2016년 대비 3만 6,990t(5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물질 배출량 상위 업종에 속한 배출량 상위 2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오염물질 감축을 유인한 정책은 배출허용기준 강화, 자발적 감축 협약,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부과, 오염물질 측정농도 공개 순이었다. 주요 오염물질 저감 방법은 방지시설의 교체 또는 신설, 연료 교체 및 대체 연료 사용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환경부의 대기오염물질 감축 정책과 대형 사업장의 적극적인 감축 노력으로 대기오염물질이 지속해서 감축하고 있다"며 "앞으로 대기오염총량제 유연성을 높이는 등 비용 효과적인 감축 정책을 발굴하는 한편 영세 사업장 대상 방지시설 설치 지원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