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자영업자 10명 가운데 9명이 배달앱 서비스 비용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최근 배달앱을 사용하는 경기도 요식업체 소상공인 1,20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경상원은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이슈 브리프 4월호’에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자영업자 배달업 이용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주문을 더 받기 위해 85% 가게가 배달앱을 2개 이상 사용했으며, 4개 이상을 사용하는 업체도 34%가 넘어 배달플랫폼에 다중의 수수료 부담을 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적으로 전체 매출의 4분의 1이 배달앱을 통해 창출됐으며, 예전부터 배달주문 비중이 높은 피자, 치킨의 배달앱 매출 기여도는 35%를 넘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커피·아이스크림·생선회 등 기존 배달시장에 없던 업종이 등장하며 새로이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 사용 이유로 응답자의 93.3%는 ‘매출 증진’을 꼽았으며 이어 업체 홍보(47.1%), 인건비 경감(13.8%) 순이었다. 실제로 ‘배달앱 사용이 영업이익 증가에 효과가 있다’는 응답도 67.1%에 달해 ‘배달앱 사용’과 ‘매출상승’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달 18일 전면 해제되며 오프라인 위주 식당 매출이 증가하고, 배달 위주 식당 매출은 감소하는 등 외식업의 배달앱 의존도는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또 영업기간 10년 이상으로 경영기반이 안정된 가게일수록 배달앱을 통해 높은 수익을 얻지만, 영업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달 서비스 비용에 대해 응답자의 절대다수인 93.8%가 ‘부담된다’고 응답했는데 이 중 64.0%는 ‘매우 부담된다’고 말해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중개수수료(65.6%), 배달료(55.1%)에 대한 부담이 컸는데 응답자의 80.4%가 정률제 중개수수료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이는 기존 정액제(건당 1,000원)였던 단건배달 수수료가 정률제(음식값에 따라 수수료 부과)로 바뀌면서 피로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현재 배달비는 응답 업체(50.7%), 소비자(49.3%)로 절반씩 분담하는 구조이지만, 소상공인이 생각하는 배달비 적정 분담률은 평균 36.3%로 현실과 괴리를 보이고 있었다. 아직 소비자에게 배달비 분담비중 전가 시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로 신중한 입장이나 앞으로 배달비가 인상되면 고객에게 청구(77.4%), 음식가격 조정(71.0%)을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배달비 인상이 소상공인 부담을 넘어 소비자 후생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기타 응답으로는 배달 서비스 포기, 배달앱 미이용 등도 나타나 외식업체의 비용 부담이 한계에 이르렀음을 보여줬다.
배달비용 조정을 위해서는 ‘법률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67.7%)’는 응답자가 ‘플랫폼 간 경쟁을 통한 수수료 절감 유도(30.1%)’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 신뢰수준95% 오차범위±2.81%포인트다.
이홍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장은 “배달앱 활성화가 기존 배달 업종이 아니었던 아이스크림, 생선회 등을 새로이 시장으로 끌어와 시장을 확대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과도한 비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며 “시장참여자 모두가 상생할 방안을 고심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