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전 세계 최소 13개 중앙은행이 일제히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특히 한국 시간으로 22일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필두로 무려 11개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회의 결과가 나오는 기준금리 ‘슈퍼 데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이 금리를 최소 50bp(1bp=0.01%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이상의 보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7일(현지 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주 금리를 결정하는 주요국은 미국·중국·일본·영국·스위스·스웨덴·노르웨이·브라질·대만·인도네시아·필리핀·남아프리카공화국·이집트 등 총 13개국에 달한다. 가장 관심이 쏠리는 곳은 단연 미국이다.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여는 연준의 결정은 한국 시각으로 22일 오전 3시에 나온다. 18일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 75bp를 인상할 확률은 82%, 100bp 인상 가능성은 18%로 나왔다. 75bp가 인상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3.0~3.25%가 돼 한국 기준금리(2.5%)와의 차이를 더욱 벌리게 된다.
이와 관련해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에 출연해 “미국의 기준금리가 결국 4.5% 이상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며 “만약 5%를 넘더라도 나는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투자은행(IB) 노무라가 미국의 내년 2월 기준금리를 4.75%로 내다봐 주요 IB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제시한 가운데 서머스 전 장관은 이를 뛰어넘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은 셈이다. 9월 FOMC에서는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도 나오기 때문에 미국의 향후 기준금리 수준을 보다 명확하게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영국중앙은행(BOE)도 기준금리를 1.75%에서 2.25%로 50bp 인상할 것으로 보이며 스위스 중앙은행은 -0.25%에서 0.5%로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스위스는 2014년 이후 약 8년 만에 ‘마이너스 기준금리’를 벗어나게 된다. 노르웨이 역시 예금금리를 1.75%에서 2.25%로 올릴 것으로 점쳐진다.
아시아 중앙은행들도 줄줄이 긴축에 나선다. 대만이 22일 금리를 1.5%에서 1.625%로 올릴 것으로 예상되며 같은 날 인도네시아도 정책금리인 7일 역환매조건부채권(REPO) 금리를 3.75%에서 4.0%로 인상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필리핀은 3.75%에서 4.25%로 빅스텝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남아프리카공화국(5.5%→6.25%), 이집트(11.25%→11.50%) 역시 22일 금리를 결정한다. 이보다 앞선 20일 스웨덴은 금리를 0.75%에서 1.5%로 올릴 가능성이 높다. 종합하면 이번 주에만 7개 중앙은행이 금리를 최소 50bp 이상 올리는 ‘빅스텝’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기록적인 고물가를 잡고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자국 화폐가치 하락을 막기 위한 조치다. 영국의 경우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9%(전년 대비)로 전월의 10.1%보다 소폭 둔화했지만 여전히 40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씨티은행은 내년 초 영국 물가 상승률이 18%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위스의 8월 물가 상승률은 3.5%로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1993년 이후 약 30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미국 달러 대비 영국 파운드 가치는 37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으며 인도네시아·남아공의 화폐가치 역시 약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중국과 일본은 여전히 금리 인상 대열에서 벗어나 독자 노선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중국 인민은행(PBOC)은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각각 3.65%, 4.3%로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금리를 낮춰왔지만 8월 산업 활동 동향이 예상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오자 상황을 지켜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역시 돈 풀기를 고수하고 있는 일본은행(BOJ)도 22일 회의에서 현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의 엔저에 대한 입장, 수정 경제 전망 등에서 이렇다 할 변화가 감지되면 외환시장이 출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에 속도가 붙으면서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필립 레인 유럽중앙은행(ECB)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한 콘퍼런스에서 “물가 상승을 촉진하는 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내년에도 금리를 높여야 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고통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로존 정책금리는 7월 50bp, 이달 75bp가 올라 예금금리 기준으로 0.75%다. 전문가들은 적정 금리를 1.5~2%로 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내년 봄 2.5%를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최근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WB) 총재는 “더 많은 국가들이 침체에 빠지면서 세계경제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하고 있다”며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면 신흥국에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