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내년 3월부터 울산·대구·광주 과학기술원과 손잡고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한다. 이에 따라 삼성은 기존 연세대·성균관대·카이스트·포항공대를 포함해 오는 2029년부터 연간 450명의 반도체 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 됐다. 반도체 계약학과 소속 학생들은 졸업 후 협력기업에 취업이 보장된다.
삼성전자는 27일 울산과기원(UNIST) 및 대구과기원(DGIST), 광주과기원(GIST)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기로 협약했다. 이에 따라 이들 과기원 3곳은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반도체 계약학과는 학사·석사 교육을 통합해 '학·석통합 학과'로 운영되며 교육 기간은 총 5년이다.
특히 이번 계약학과는 반도체 제어 기술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짜 반도체 미세화 한계 돌파에 무게중심을 둘 예정이다.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중심 교육을 받게 되며 반도체 설계와 소프트웨어 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하게 된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기존 계약학과 커리큘럼이 설계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 육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공정 전문가를 키워내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며 "반도체 분야 전반에서 균형잡힌 인재를 골고루 양성하는 체계가 구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삼성과 손잡고 반도체 인재를 육성하는 국내 대학교는 총 7곳으로 늘어나게 됐다. 3개 과기원에서 졸업생이 배출되는 2029년을 기준으로 △연세대 140명 △카이스트 100명 △성균관대 70명 △포항공대 40명 △UNIST 40명 △DGIST 30명 △GIST 30명 등 총 450명의 반도체 전문 인재가 배출된다. 반도체 계약학과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삼성전자 취업이 보장되는 것은 물론 등록금 전액과 일부 생활 장학금 혜택 등을 볼 수 있다.
이번 계약학과 신설로 비교적 수도권에 편중돼 있던 인재 육성 기회도 지방으로 분산된다. 3개 과학기술원을 '지역 반도체 인재 양성 허브'로 활용해 지방 인재 육성과 산업 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완성한다는 게 삼성의 복안이다.
실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해 회장 취임 이후 지방 현장을 집중 방문하면서 "지역 경제와 동반성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해왔다. 현재 기업 경영 여건이 어렵기는 하지만 어려울 때일수록 더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게 이 회장의 소신이다.
실제 삼성은 반도체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방국립대 및 박사장학생 후원, 사내 설비를 활용한 대학 연구 지원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지원에 들어가는 자금만 연간 1000억 원에 이른다.
이날 광주에서 열린 GIST 협약식에 참석한 송재혁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계약학과 신설로 반도체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는 인재를 지속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래길 GIST 총장직무대행도 "삼성전자의 세계적 기술력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