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출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74.2%에 달했다. 이는 산업의 수출 의존성이 큰 독일과 일본·중국이 각각 48.6%, 52.2%, 49.6%인 것과 비교해 지나치게 높다. 또 이들 국가의 소비재 수출 비중은 각각 25.4%, 16.6%, 23.1%인 반면 우리나라는 11.8%에 그쳐 상대적으로 수출구조의 불균형이 큰 편이다. 이러한 중간재 중심의 교역 구조는 우리 수출을 경기변동에 과도하게 영향을 받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 세계시장을 무대로 산업의 수출 역량을 키우려는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무역구조 안정화 차원에서 우선 보완해야 할 과제다.
지난 30년간 꾸준히 성장한 세계경제 덕에 중국·인도 및 신흥국들의 중산층이 급성장했다. 이는 세계화와 맞물려 소비시장을 대폭 성장시켰으며 때마침 획기적으로 발전된 전자상거래는 소비재 시장의 규모와 상업적 중요성을 한층 더 키웠다.
소비재 시장 진입은 기업 차원의 제품 성능과 품질뿐 아니라 국가 위상이나 이미지에도 영향받는 경우가 많아 막대한 홍보 비용을 들여도 효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1960~1970년대 경제개발 기간을 거쳐 1980~1990년대 경제 도약기까지도 세계 소비자들에게 글로벌 기업의 인지도를 확보한 우리 기업들이 크게 늘지 않은 이유다. 그러나 일단 소비재 수출에 성공하면 해당 기업뿐 아니라 국가 이미지와 K브랜드 전반의 위상이 제고되며 이는 여타 소비재 수출을 견인하는 시너지를 창출한다.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공고해지고 문화·예술·스포츠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한류가 이를 뒷받침하는 현시점에서 K브랜드는 우리 산업의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한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일궈온 국가 브랜드를 발판으로 전 부처가 합심해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한류, 온라인 소비, 서비스 연계 등 최신 소비 트렌드를 활용한 수출 지원을 강화한다. 드라마·영화·음악 등을 다각적으로 이용하는 한류 마케팅을 확대하고 한류 체험을 소비로 이어가는 K박람회와 홍보관을 늘린다. 또 온라인 수출 지원을 위한 디지털무역종합지원센터를 전국에 확산해 전자상거래 수출 전 주기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소비재 수출 기반을 확충한다. 업종별 수출 역량을 보유한 전문무역상사들이 소비재 수출 초보 기업의 발판이 되도록 매칭 기회를 넓힌다. 또 소비재 수출보험 지원 규모를 9조 5000억 원까지 늘리고 수출바우처 지원 대상 기업, 공동물류센터, 소비재 거점 무역관을 확대하는 등 전반적인 수출 저변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주요 시장에 대한 시장 트렌드와 수입 규제 대응을 강화하는 한편 식품·화장품·생활용품·의류·의약품 등 5대 유망 소비재 품목의 수출 애로 해소에 주력한다. 인허가·인증 등 애로 해소를 위해 주요국들과 상호인정 품목을 141개에서 171개로 확대하고 할랄·코셔 인증도 최대한 확보한다.
앞으로 소비재 수출을 위해 우리 정부는 단순히 제품 홍보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산업의 미래와 K브랜드를 걸고 세계 무대에서 경제외교를 위한 범정부적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