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의 여파가 노동시장으로 빠르게 확산하며 국내 첨단 기술인력 구인난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46.8세다.
오는 2030년에는 50세를 넘어설 전망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취업자 평균연령을 구한 결과다.
SGI는 한국의 취업자 평균연령이 오는 2050년에 53.7세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시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인 43.8세 대비 9.9세 더 많은 수준이다.
SGI는 "노동력 고령화는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실제로 IMF가 2016년 발간한 보고서에는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노동력 고령화가 총요소생산성을 연평균 0.2%포인트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미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비철금속(49.2%) 등 일부 제조업은 50세 이상이 취업자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전남(58.7%), 강원(55.5%),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 50세 이상 취업자의 비중이 높았다.
김천구 SGI 연구위원은 "제조업은 저위기술 산업, 서비스업은 저부가가치·노동집약적 산업을 중심으로 고령 취업자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며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을 겪을 가능성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출산율 부진 현상이 예상보다 심화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취업자의 고령화 속도가 예측치보다 더 빠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SGI는 밝혔다.
SGI는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R&D(연구개발),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 경제로 전환되면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며 "저출생 대책 효율화, 고령층 생산성 제고, 임금체계 개편, 인력수급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