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들어 치솟던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이 6월 말 소폭 하락 전환했다. 은행들이 연체 채권을 대거 정리하고 나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은 “연체·부실채권 정리 확대 등 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22일 금감원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5%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말과 비교하면 0.15%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월 말보다는 0.05%포인트 하락했다. 전 대출 부문 연체율이 일제히 5월 말보다 줄어든 가운데 특히 5월 말 0.75%까지 치솟았던 가계 신용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13%포인트 줄어 6월 말에 0.62%를 기록했다. 또 5월 말 0.55%였던 중소 법인 대출 연체율 역시 0.10%포인트 감소한 0.45%를 나타냈다. 은행들이 분기 말 연체 채권 관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연체율은 통상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연체율이 낮아진 것은 은행들이 6월에 연체 채권을 대규모로 정리했기 때문이다. 6월 중 은행의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3조 1000억 원으로 전월(1조 3000억 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통상적으로 분기 말에는 연체 채권 상·매각 규모가 증가하지만 1분기 말(2조 4000억 원)과 비교해도 29.2% 늘었다. 월중 연체 채권 정리 규모가 3조 원을 넘긴 것은 2019년 12월 말(3조 3000억 원) 이후 3년 반 만이다.
금감원 측은 “올해 상반기 중 국내 은행의 연체율은 상승세를 보였으나 2분기에는 연체 정리 확대 등으로 1분기보다 분기 중 상승 폭이 축소됐다”며 “현재까지 은행권 연체율은 코로나19 이전 수준 및 과거 장기 시계열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감원은 “글로벌 경기 둔화 및 통화 긴축 지속 등으로 현재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지속 유도할 예정”이라며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 확충도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