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등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교육적 성취와 관련 깊은 유전자 위치를 처음으로 규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와 김재영 연구원, 명우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대만과의 국제 협력을 통해 한국과 대만의 바이오뱅크 17만 6400명의 샘플을 토대로 전장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교육 성취도와 유전의 상관관계가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교육적 성취는 인지 능력을 반영해 일생 동안 얼마나 교육 받았는지를 의미한다. 보통 최종 학력으로 측정된다. 환경과 유전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알려졌는데 유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진행돼 한국인을 포함한 다른 인구집단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동아시아인의 전장유전체 연관성 분석을 통해 교육적 성취와 관련 깊은 유전자 위치 102곳을 밝혔다. 동아시아인의 교육적 성취와 유전과의 연관성을 수십 만명 규모의 대규모로 분석한 첫 사례다. 연구팀에 따르면 유럽인에서 교육적 성취와 관련 있다고 확인된 유전적 구조와 배경, 효과 등이 동아시아인에서도 상당 부분 일치했다.
다만 연구팀은 “교육적 성취에는 사회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번 결과를 개인의 교육적 성취를 예측하는 용도로 활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육적 성취와 연관된 유전변이들은 전체 교육적 성취의 차이를 10% 수준에서 설명하는 데 그쳤고 유전 변이를 이용해 개인의 교육적 성취를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한국인의 특성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데 무게 중심을 뒀다. 유전 연구 역량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오면서 동아시아인의 교육적 성취에 대한 유전적 구조를 이해하고, 인종 간 공유되는 유전적 특성이 많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명 교수는 “이번 결과를 통해 교육수준이 치매, 정신장애 등 다양한 질환들과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 연구가 가능하다”며 “질병의 예방과 치료 방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로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 협력을 통해 다양한 인구 집단을 토대로 교육적 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유전 변이를 한층 정확하게 식별한 것도 의미있는 성과로 꼽힌다. 원 교수는 “향후 다양한 인구 집단 기반의 유전 연구를 촉진하고 교육적 성취와 유전적 상호작용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의 중견연구 지원사업, 신진연구지원사업, 신진중견연계사업, 보건복지부와 과기부가 추진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삼성서울병원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관련 논문은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인간행동’ 최근호에 실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