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미래의 모든 컴퓨팅은 실시간 생성될 것입니다. 엔비디아가 개척한 ‘가속 컴퓨팅’을 바탕으로 미래의 모든 컴퓨팅이 ‘생성형’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 시간) 미국 새너제이 시그니아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산업혁명 시대 공장에는 물이 투입돼 전기를 생산했지만 생성형 AI로 인한 제2의 산업혁명에서는 데이터가 투입돼 토큰(AI 연산 단위)을 생산하게 된다”면서 엔비디아는 ‘AI 공장’을 구축하는 기업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거 데이터센터는 ‘비용’으로 간주됐지만 AI 공장이 된 데이터센터는 돈을 벌어들인다”며 “AI가 새로운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미래의 모든 컴퓨팅이 ‘실시간 생성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중앙처리장치(CPU) 기반이었던 연산 중심축이 ‘AI 가속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이동하는 한편 과거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집중했던 컴퓨팅 작업이 문자·이미지·영상, 단백질 화학구조, 로봇 운동제어 등을 AI로 실시간 ‘생성’하는 방향으로 뒤바뀔 것이라는 의미다.
글로벌 대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도 여러 차례 강조했다. 황 CEO는 “TSMC와는 다른 어떤 관계보다도 긴밀하다”면서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메모리 업체들까지 포함된 글로벌 대기업들 간 긴밀한 상호작용이 갈수록 더욱 복잡해지지만 그들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AI칩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반도체인 HBM에 대한 입장도 드러냈다. 황 CEO는 “HBM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이며 기술적인 기적과도 같다”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와의 파운드리 협력 관계도 언급했다. 황 CEO는 “미래에는 모든 자동차에 삼성전자 반도체가 탑재될 것”이라며 “TSMC 외 모든 파트너들과도 더욱 가까운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 차량용 반도체를 삼성전자에서 생산하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밝혔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엔비디아의 미래 사업 전략을 제시해 주목을 끌었다. AI 가속기 설계를 넘어서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는 것이 첫 단계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AI 생성 데이터센터 사업이 큰 기회가 되겠지만 한발 더 나아가면 AI 모델을 생산용으로 최적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사업도 무시할 수 없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엔비디아는 전날 로봇 플랫폼 ‘그루트(GR00T)’를 공개하며 AI의 다음 시장으로 로봇공학을 제시했다. 황 CEO의 시선은 로봇 너머를 향해 있다. 바로 ‘양자컴퓨팅’ 기술이다. 황 CEO는 “엔비디아는 양자컴을 직접 개발하지는 않지만 이미 세계 최대 양자컴퓨팅 회사”라며 “각종 개발 도구 지원으로 양자컴퓨터 시대의 도래를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범용인공지능(AGI)에 대한 관점도 소개했다. 그는 “인간 지능에 대한 평가 기준이 다양하듯 AGI를 정의하는 방법도 여럿”이라면서도 “단순히 변호사 시험 등을 인간 이상으로 통과하는 것이 기준이라면 5년 내 달성 가능하다”고 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