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발 자유화에 대한 토론을 하는데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네요"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체감하는 학생 문해력 저하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학생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고 답변한 비율이 91.8%(저하 52.5%, 매우 저하 39.3%)에 달했다.
답변자의 절반가량(48.2%)은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했다.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도 46.6%나 됐다.
이 외에도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문항엔 30.4%가,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기도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엔 21.4%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학생들의 문해력이 부족해 난감했던 사례를 묻는 문항에는 5000여 명 이상의 교원이 실례를 들어 답변했다.
각각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 '왕복 3회라고 했는데 왕복을 이해 못함' '고교 3학년 학생이 풍력이 뭐냐고 물음'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욕하냐고 말함' '체험학습 계획표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 먹냐고 물음'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고 있음’ '사회 시간에 단어를 이해 못하는 친구가 90%' 등이었다.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으로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 매체 과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또 이들은 '디지털 기기 보급으로 손글씨 쓰기가 줄었는데 학생 필체가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94.3%가 '가독성이 나빠졌다'고 답하며 디지털 기기가 문해력뿐만 아니라 필체도 악화시켰다고 인식했다.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독서활동 강화(32.4%)에 가장 많이 호응했다. 이 외에도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가 뒤를 이었다.
교총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 치기도 곤란한 현실은 정말 심각한 문제"라며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 기기 과의존‧과사용을 해소할 법‧제도 마련 및 독서·글쓰기 활동 강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