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가 2개월 연속 2만 명을 넘는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8월 혼인 건수도 지난해보다 20% 늘면서 출산율이 바닥을 딛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정부 안팎에서는 올해 연간 단위로 ‘플러스’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레 내다보고 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에 태어난 아기 수는 총 2만 98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달(1만 8974명)에 비해 1124명(5.9%) 높은 수치였다. 7월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넘기며 14년 만에 가장 높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7.9%)을 기록한 후 두 달 연속 출생아 수 상승세가 이어졌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올해 출생아 수는 지난해(23만 28명)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하반기가 되면 출생아 수가 감소하는데 올해는 6월 1만 8242명으로 저점을 찍은 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월별 누적 기준으로 살펴보면 1~3월 누적 출생아 수는 6만 474명으로 전년 대비 6.2%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꾸준히 감소 폭을 축소했다.
1~8월 누적 출생아 수는 15만 801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5만 8609명)보다 598명(0.4%) 부족했다. 2023년 9월 출생아 수는 1만 8878명이어서 9월에도 출생아 수가 2만 명대를 기록할 경우 월별 누적 기준 출생아 수가 플러스 전환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하는 월별 출생신고 현황을 보면 9월 신고 건수가 2만 299건”이라며 “9월 출생아 수도 지난해 대비 1000명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간 기준 출생아 수가 늘 경우 2015년(0.7%)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하는 것이 된다.
출산 건수가 증가한 것은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후 청년 세대의 결혼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 7527건으로 지난해보다 20% 증가했다. 올해 혼인 건수는 4월(24.5%)과 5월(21.6%)에 전년 동월 대비 깜짝 성장세를 보인 후 5개월 연속 상승했다. 정부 관계자는 “30대 여성 인구와 혼인율이 개선되고 있는 영향”이라며 “코로나19 시기 혼인 건수가 대폭 줄어들었던 것에 대한 기저 효과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지금 결혼·출산을 하는 청년들은 지난해와 올해 초 발표한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며 “6월 발표한 저출생 극복을 위한 대책이 내년 초부터 본격 시행되면 결혼과 출산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 새 정부의 저출생 정책을 대폭 강화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혼인이 전제돼야 출산하는 구조”라며 “혼인 지난해부터 증가세를 꾸준히 이어온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혜미 대통령실 저출생대응수석 역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에서 집중해온 일·가정 양립과 주거 지원 정책 등이 결혼 페널티를 해소한 것 같다”며 “저출생 반전의 신호가 보이기 시작했고 올해가 저출생 반등의 원년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은 이날 9월 국내 인구이동통계도 발표했다. 지난달 이동자 수는 총 46만 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증가했다. 경기(4659명), 인천(1809명), 충남(718명) 등 7개 시도로는 인구가 순유입됐고 서울(-4300명), 부산(-1727명), 경북(-886명) 등 10개 시도에서는 순유출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