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보편관세를 부과하자 미 산업계와 노조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북미 공급망에 의존하는 자동차 업계에서는 관세 조치가 초래할 혼란이 결국 미 기업과 소비자들을 겨냥할 것이라는 강한 우려를 내놓았다.
1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포드·제너럴모터스(GM)·스텔란티스 등 미 자동차 ‘빅3’를 대표하는 미국자동차정책위원회(AAPC)의 맥 블런트 회장은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 직접 협상한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자동차와 부품은 관세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 자동차 업계는 협정에 맞춰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며 “미국 내 차량 제조 비용을 높이고 인력 투자를 방해하는 관세로 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존 보젤라 미국자동차혁신협회(AAI) 회장 역시 “북미의 원활한 자동차 무역은 3000억 달러(약 437조 원)의 경제적 가치를 차지한다”며 “이는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뿐 아니라 산업 일자리, 자동차 선택 및 구매력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자동차는 부품부터 완성차에 이르기까지 북미 간 공급망이 가장 밀접하게 결합된 산업 중 하나다. 미국산 차량 부품 가치의 최대 40%가 멕시코에서, 11%는 캐나다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완성차 역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만들어지는 비중이 상당하다. 수익성이 높은 픽업트럭의 경우 제너럴모터스(GM)는 약 40%를, 포드는 12%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관세 조치가 단기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과 수요 감소로 이어져 결국 인력 감축과 일자리 감소를 초래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철강과 석유화학 등 업계 단체와 노조들도 소비자에게 끼칠 영향과 경쟁력 약화과 공급망 혼란 등을 이유로 관세 철회를 촉구했다. 85만 명의 노동자를 대변하는 미 철강노조(USW)는 성명에서 “오랫동안 고장난 무역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개혁을 요구해왔지만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을 몰아세우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미 석유화학 업계 단체(AFPM) 역시 “북미 이웃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에서 제외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식품 등 소매 업계에서는 관세 조치에 따른 미 소비자 가격 충격과 인플레이션 재발 등을 우려했다. 데이비드 프렌치 전미소매협회(NRF) 수석 부사장은 “급격한 관세 조치에 따른 비용이 미 가계와 노동자·중소기업에 전가되지 않도록 심각성을 가지고 협상을 계속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보편관세가 시행되는 한 미국인들은 일상적인 소비재에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 주요 언론에서도 비판이 잇따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