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이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등 규제 강화로 가격 상승세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28%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보다 4.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상승 거래는 직전 거래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매된 거래 비중을 말한다. 올 들어 월간 기준으로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은 이번 달이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지난해 12월 40.9%에서 올 1월 44.3%, 2월 48.2%, 3월 49.4% 등으로 꾸준히 증가한 바 있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강남구 등 토허구역 대상 지역에선 상승거래 비중이 오히려 늘었다. 강남구는 이달 상승 거래 비중이 80%로 전월(60%)보다 증가세를 나타냈다. 송파구도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보다 4%포인트 증가한 53%로 나타냈고, 용산구도 3월 58%에서 이달 67%로 늘어났다. 서초구는 이달 매매 거래가 한 건도 없었다. 개별 단지로 보면 지난 13일 잠실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31㎡가 직전 거래(20억 8000만원)보다 51% 오른 31억 5000만 원에 거래됐고 압구정 한양1차 78㎡는 지난 12일 직전 거래(47억 5000만 원)보다 26% 오른 60억 원에 실거래 신고됐다.
반면, 양천구와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등은 이달 상승 거래 비중이 줄었다. 양천구는 3월 55%에서 이달 53%, 동작구는 3월 54%에서 이달 50%, 성동구는 3월 50%에서 이달 46%로 각각 감소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관망세가 명확하지만, 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에선 여전히 투자 심리가 남아 있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지니지 못한 채 정책 추이 등을 살펴볼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