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 20주년을 기념해 열린 산림생태복원 왕중왕전에 ‘김천 바람재’가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5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지난 2005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축적된 산림생태복원 성과를 돌아보고 역대 수상 사례지 중 가장 우수한 복원지를 선정하기 위해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을 개최하고 있다.
심사는 상징성, 사업의 관리성, 적용기술의 효과성, 우수성, 확산 가능성 등을 전문가의 현장심사 70%와 국민투표 30%(2,181명 참여)를 합산해 최종 선정했다.
백두대간에 위치한 김천 바람재의 옛 군시설지와 진입로를 산림복원한 구미국유림관리소가 대상을 수상했고 최우수상은 고성 향로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군시설지를 산림복원한 양양국유림관리소와 지리산 노고단 군부대 및 야영장 지형·식생 복원을 한 지리산국립공원 전남사무소가 받았다. 우수상은 백두대간 육십령 마루금 생태축을 복원한 서부지방산림청과 해남 산이 구성지구 해안림을 복원한 전라남도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을 받은 김천 백두대간 바람재 산림복원 사업은 1970년대 군사시설과 진입로로 훼손된 백두대간 마루금을 과거 지형도 등을 활용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고 인근 지역 자생식물과 자연친화적 공법을 적용해 생태계의 빠른 회복을 이끌어낸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사후관리로 식생 천이가 안정적으로 진행돼 향후 유사 사업의 모범 사례로 확산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심사위원과 국민들의 일치된 선택을 받았다.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왕중왕전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산림생태복원의 발전 과정을 국민과 함께 확인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우수 사례들이 널리 공유되어 산림복원 정책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산림복원 워크숍’에서 열릴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