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맵모빌리티가 내년에 차량을 이용 시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상생활 전반과 연계되는 인공지능(AI) 모빌리티 에이전트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지도·장소·교통량·방문 패턴 등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에 AI를 결합해 이용자들이 차량과 스마트폰 어디에서든 이용자 맞춤형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다.
전창근 티맵모빌리티 프로덕트 담당 부사장은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티맵 내에 통합 AI 에이전트를 탑재할 예정”이라며 “음성 에이전트와 챗(텍스트) 에이전트를 통합해 멀티모달을 구현하고 사용성을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멀티모달은 AI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음성·텍스트·이미지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티맵모빌리티는 이같은 로드맵을 추진하는 중간 단계로 전날 음성 AI 위주로 안내 체계를 개편한 새로운 티맵 서비스를 발표했다. 티맵에 SK텔레콤의 AI 서비스 ‘에이닷’ 등 여러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적용해 개발한 서비스다. 이번 개편으로 사용자는 “스타벅스에 들렀다 집에 가자”거나 “가까운 최저가 주유소 들렀다가 집으로 가자”라고 말하면 의도를 이해해 경유지와 도착지를 한 번에 설정해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주차 가능한 카페 찾아줘”, “지금 영업하는 식당 어디야”, “아이와 함께 가기 좋은 곳 알려줘” 등 상황별·취향별 검색과 조건·테마별 검색도 지원한다. 운전 중 문자메시지 전송이나 일반적인 검색 기능도 가능하다.
티맵모빌리티는 내년부터 로드맵의 3단계로 모빌리티 AI 에이전트를 본격 강화하면, 평소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한 정보와 차량 내 이용 정보가 결합해 더욱 개인화된 맞춤형 AI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중 주요 뉴스 서비스를 통해 들었던 기사 중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을 운전 후에 다시 자세히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식으로 차량 안팎에서 AI 에이전트가 연동되는 형태다. 전 부사장은 “제미나이나 오픈AI를 넘어서는 엣지 있는 기능은 결국 개인화라고 본다”며
“이를 위해서는 메모리 기능이 중요하다. 이용자의 과거 발화를 상황에 맞게 이해하고 추천하는 ‘맥락 이해’가 필수적이며 티맵모빌리티는 이런 점에서 강점을 지닐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티맵이 챗GPT 등 범용 AI와 달리 이용자의 과거 방문 장소·이동 동선 등 특화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서하 티맵모빌리티 D&I 담당은 “차량 내 모빌리티 음성인식 서비스의 절반 이상이 내비게이션과 장소 관련”이라며 “이동 전 과정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데이터 사업의 지속가능성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