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am 톡talk
태몽이란 임신 혹은 출산을 예고하는 예지적인 꿈 중 하나이다. ‘나의 태몽은 큰 밤 한톨입니다.’ 태몽의 주인공인 김성희(가명)씨가 말했다. “아버지 누나인 고모가 꾼 태몽이에요. 꿈에 고모의 남동생인 저의 아빠가 몸을 굽혀서 똘망똘망한 큰 밤을 주웠대요. 그런데, 옆에 있던 아빠의 형님인 큰아빠가 시샘하면서 ‘나도 주워야지’ 하고 찾았답니다. 결국, 큰아빠도 밤 한 톨을 주었대요.” “엄마는 처음에 저의 임신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병원에 가서 확인하고 알게 되었대요. 이 꿈을 꾼 후, 1998년 5월에 제가 태어났고, 제 사촌은 한 달 후인 6월에 태어났어요.” 이 태몽은 김성희씨의 어머니가 임신한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그녀의 새언니가 꾸었다. 새언니(김성희씨의 고모)의 꿈은 임산부의 임신 사실보다 시간상으로 앞서고 꿈 꾼이와 임신한 사람이 공간적으로도 서로 다르다. 임신이라는 물리적 사실과 태몽이라는 정신현상 사이에 인과관계는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의미상으로는 일치를 이룬다는 점이다. 이같은 예지적인 꿈의 현상을 이론적으로 규명하려고 노력한 학자들이 있었다. ‘정신 세계와 물질 세계를 깊이 탐구했던 두 학자의 만남’ 이들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심리학자 융(Jung)과 양자물리학자인 볼프강 에른스트 파울리(Wolfgang. E. Pauli, 1900~1958)이다. 전혀 서로 다른 분야를 탐구했던 이 두 천재의 만남은 우연한 계기로 시작된다. 1930년, 당시에 30세였던 파울리는 융을 찾아온다. 융의 나이는 55세였다. 융이 파울리 보다 25살이나 더 많았다. 당시에 파울리는 심리적인 고통때문에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겉으로는 뛰어한 실력을 갖춘 양자물리학자였지만 속마음으로는 나약하고 취약한 한 인간에 불과했다. 파울리는 불행한 유년기를 보냈다. 그의 아버지는 오스트리아 빈 대학의 유명한 화학 교수였는데, 성실한 가장과는 거리가 먼 바람기 많은 위인이었다. 파울리의 어머니는 이를 비관하고 결국 음독 자살한다. 파울리는 젊은 시절 물리학을 연구하면서도, 매음굴에도 자주 출입하면서 방탕하게 지냈다. 그러다 어느 카바레의 무희와 결혼했는데, 1년이 채 못 되어 파국을 맞이한다. 자신의 인생에 중요한 두 명의 여인, 즉 어머니의 죽음과 아내와의 이혼으로 그의 정신은 파국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주색에 빠진 파울리는 여러 차례 뜻하지 않은 망신을 당하게 되자 두려움이 엄습했고, 급기야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원수처럼 여기던 아버지의 권고를 받아들여 심리 치료를 받게 된다. 처음 만난 융은 파울리의 꿈에서 여성 문제가 있음을 파악하고, 당시 자신의 문하로 있던 여의사인 로젠바움에게 보낸다. 그리고 융은 파울리와 지적인 대화를 시작한다. 인간 내면의 정신 세계를 탐구하는 융과 물질의 본질을 연구하는 파울리가 만나게 된 것이다. 어느날 융이 파울리에 대해서 묘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궤도에서 이탈한 32세의 매우 지적인 남자’ 그는 ‘명석한 두뇌를 놓고 따진다면, 아마도 파울리를 능가할 사람이 없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 천재였다. 사실, 융을 찾아오기 6년 전인 1924년, 파울리는 양자역학의 기념비적 성과 중의 하나인 배타원리(exclusion principle)를 발표한다. 1945년, 파울리는 아인슈타인의 추천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는다. 둘은 꿈 분석을 중심으로 한 심리치료를 이어갔다. 파울리는 치유와 더불어 자기성찰의 길을 걷게 되었고, 194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후에도 융과는 치료사와 내담자와의 관계를 넘어선 교류를 하게 된다. 이후 융과 파울리는 거의 26년 동안 치료자와 내담자, 사제 관계, 동료 교사의 관계를 갖는다. ‘태몽현상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동시성이론’ 1952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융과 파울리는 공동으로 ‘자연의 해석과 정신(The Interpretation of Nature and The Psyche)’을 발간한다. 융과 파울리의 공동 작업은 그 자체로서 기록될 만한 독특한 사건이다. 동시성 현상(synchronicity phenomena)을 통해물리학적 발견과 심리학적 발견이 어떻게든 서로 포옹해야 하는 공동의 지점을 탐구한 것이다. 태몽도 동시성 현상이 발현되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융이 동시성 현상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에는 본인 스스로가 예지적인 꿈을 여러 번 꾸게 된 경험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융은 인생의 중요 단계에서 이러한 ‘큰 꿈’, 혹은 ‘의미있는 꿈’을 꾼다고 말했다. 그의 제자인 마리 루이즈 폰 프란츠 (Marie Louise von Franz, 1915~1998) 박사는 “이 같은 꿈의 모티브는 임신·출산, 학교의 시작, 사춘기, 결혼, 인생의 위기, 죽음의 준비 등 매우 중요한 과도기적 단계에서 자주나타난다”고 한다. 1958년, 58세인 파울리는 췌장암으로 먼저 세상을 떠나면서 마지막 말을 남긴다. "지금, 나는 아직도 오직 한 사람 융과 이야기하고 싶구나."
2025.01.25 0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