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SK하이닉스 반도체 팹, 어디까지 가봤니?
산업 기업 2022.07.21 17:03:55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SK하이닉스(000660)에 대해 잘 알고 계신가요? 이 회사는 삼성전자와 함께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표 칩 제조사입니다. SK하이닉스는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사업을 주력으로 합니다. 자회사로 SK하이닉스시스템IC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고요. 각종 전자기기 카메라에서 '눈' 역할을 하는 이미지센서도 생산하고 있죠. 그런데 여러분. 한번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칩이 어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FC-BGA 특집: 반도체 기판 리그 '현폼원탑' <2편>
산업 기업 2022.06.28 17:59:29#지난 FC-BGA 특집 1편에서는 FC-BGA의 컨셉과 IT 기기 내에서의 역할을 살펴봤습니다. 칩과 메인보드 간 중재자 역할을 하는 고급 반도체 기판으로 요약이 됐는데요. 2편에서는 FC-BGA 내부 구조와 국내 기판 생태계를 자세히 살펴보려 합니다. 삼성전기, LG이노텍, 기판 소재 업계의 '현폼원탑' 아지노모토도 등장합니다. ◇FC-BGA를 반으로 자르면 어떻게 될까 FC-BGA 기판의 단면은 케이크 같습니다. 기판의 가장 중간 자리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FC-BGA 특집: 반도체 기판 리그 '현폼원탑' <1편>
산업 기업 2022.06.28 07:55:25IT 시장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 최근에 'FC-BGA'라는 부품에 대한 기사 많이 보시지 않았나요? 이 부품 말이죠. IT 업계에서 정말 대세입니다. 삼성전기(009150)가 2조원 가까운 돈을 FC-BGA 라인에 쏟아붓기로 했고, LG이노텍(011070)은 이 제품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4000억원을 쓰기로 하는 등 국내 주요 부품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고요. 관련 회사들의 매출도 고공 행진을 기록 중입니다. 업계에서는 FC-BGA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윤석열 대통령이 '열공'한 반도체 포토마스크의 정체
산업 기업 2022.06.09 09:02:25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포토마스크를 든 윤석열 대통령의 모습 보셨나요? 윤 대통령은 반도체 전문가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반도체 특강’을 들으면서 이 소재를 유심히 살폈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월 대통령 취임 직후 반도체 웨이퍼를 들어 보였다면, 윤 대통령은 '포토마스크'를 들어 보이며 반도체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사실 포토마스크는 반도체를 처음 접하는 사람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尹-바이든 평택 만남의 또 다른 '킬포인트' : 반도체 장비
산업 기업 2022.05.21 16:46:43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방문 보셨나요? ①바이든 대통령이 공항에서 내리자마자 반도체 공장으로 향하는 모습 ②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3나노(㎚·10억분의 1m) 공정 웨이퍼에 서명하는 모습 ③어마어마 규모의 평택 라인 모습 ④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두 대통령을 소개하는 모습 등 주목할 거리가 다양했죠. 오늘 저는 또 다른 '킬포인트'를 소개해보려고 합니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MLCC 특집: 실례지만…어데~ MLCC입니꺼? <2탄>
산업 기업 2022.04.12 10:50:001탄에서는 MLCC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알아봤습니다. MLCC는 전자 기기 내에서 전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댐’ 역할을 합니다. 이번 편에서는 앞으로 이 부품이 어떤 산업 영역에서 전도유망할지, 기술 포인트는 무엇일지 짚어봤습니다. ◇전장용 MLCC가 뜬다…용량·안정성 모두 잡아야 요즘 MLCC 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산업군은 자동차 분야입니다. 자동차가 전자제품처럼 변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MLCC 특집: 실례지만…어데~ MLCC입니꺼? <1탄>
산업 기업 2022.04.12 09:00:53여러분, 다층세라믹캐패시터(MLCC)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기라는 회사가 MLCC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IT 분야 투자나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참 익숙한 부품일 겁니다. MLCC는 흔히 '전자산업의 쌀' '전자 부품의 댐' 등으로 소개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 왜 MLCC가 전자산업의 쌀로 불리는지, 왜 많은 역할 중에 '댐' 역할을 하는 것인지 한번쯤 생각해보시지 않으셨나요. 그래서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1절 특집: 2019년 日 EUV 수출규제…'그해 우리는'
산업 기업 2022.03.01 13:02:24'그해 우리는.' 여러분, 2019년 여름을 기억하시나요? 국내 반도체 업계의 그해 여름은 악몽 같았습니다. 대한국 일본 수출 규제 사태를 겪은 해이기 때문입니다. 그해 7월. 일본 수출 규제 사태는 일본 정부가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트집 잡으면서 시작됩니다. 일본 기업들이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화학 소재를 한국으로 수출하지 못하게 하면서 말이죠.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 △불화수소 △불화폴리이미드. 일본 반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삼성전자가 제시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살펴봅시다
산업 기업 2022.02.10 09:14:16지난 9일 국내 최대 반도체 전시회인 '세미콘 코리아 2022' 전시회가 개막했습니다. 김형섭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장(부사장)의 기조 연설과 함께 막을 올렸는데요. 이날 김 부사장은 '데이터 시대에 대응하는 실리콘 혁신'이라는 주제로 연설을 진행했습니다. 초연결 시대에 일어나는 데이터 폭증에 대응하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 트렌드를 소개해 많은 청중의 관심을 끌었죠. 반도체 전방위 분야에 걸친 미래 기술과 전망이 발표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DRAM 특집: D램이라 쓰고, '다이나믹 듀오'라 읽는다 <2>
산업 기업 2022.01.24 07:00:00에서는 기본적인 D램 동작 원리를 함께 살펴봤습니다. 2탄에서는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D램 집적도를 올리기 위한 노력, 차세대 D램 구조 등을 분석해봤습니다. 1탄을 먼저 보고 오시면 2탄 이해에 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클릭으로 링크 이동이 안되신다면, 아래 댓글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명: 셀 크기를 줄여라 D램 셀의 크기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미 D램 속에는 수백억개 셀이 있습니다. 하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DRAM 특집: D램이라 쓰고, '다이나믹 듀오'라 읽는다 <1>
산업 기업 2022.01.24 07:00:00D램. 우리는 반도체 기사에서 이 ‘D램’이라는 용어를 참 많이 접하죠. 아마 한국이 세계 D램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 때문일텐데요. 한국은 다양한 반도체 사업 중에서도 D램 분야는 그야말로 '세계 최강국'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세계 D램 시장에서 70%라는 압도적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고요. 기술과 생산능력 역시 자타공인 최고의 위치입니다. 올해도 생산 능력을 크게 늘리며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려고 하는 모습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D 낸드 특집: 잘 봐, 언니들 '쌓기' 싸움이다! <2>
산업 기업 2021.12.28 06:30:00#시작하기 전에 이 기사는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D 낸드 특집: 잘 봐, 언니들 '쌓기' 싸움이다!<1>' 에서 이어지는 기사입니다. 1탄 에서는 3D 낸드 구성과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먼저 보고 오신다면 흐름이 훨씬 이해하기 쉬우실 거예요. 아래 준비한 2탄은 ‘미래 낸드 공정’ 위주로 다뤘습니다. *링크로 넘어가지 않는다면 아래 댓글에 주소를 남겨뒀으니 참고해주세요. ◇낸드플래시 공정, 어떻게 진화할까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D 낸드 특집: 잘 봐, 언니들 '쌓기' 싸움이다! <1>
산업 기업 2021.12.28 06:30:002021년. 정말 '다사다낸'했죠? 저도 반도체 관련 기사를 쓰면서 독자분들께 낸드플래시 이슈 참 많이 전해드린 것 같습니다. 낸드 업계는 정말 숨 가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낸드 업계 1위 삼성전자는 7세대 176단 낸드플래시 양산을 위해 새로운 반도체 팹인 평택 3공장 라인을 내년에 본격 가동할 예정이고요. SK하이닉스도 지난해 10월 공식 발표한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합병(M&A)에 속도를 붙이게 됐습니다. 중국 당국이 지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High-K 특집: 'High-K'는 왜 업계의 슈퍼스타일까?
산업 기업 2021.11.29 06:30:00'하이(High)-K'라는 반도체 용어, 혹시 들어보셨나요? 저는 올해 기사를 쓰면서 이 용어를 정말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왜 그런 건지 다시 돌이켜보니, 삼성전자가 공식 석상에서 High-K 메탈게이트(HKMG)라는 용어를 여러 번 활용해서인 것 같습니다. 차세대 DDR5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 최초로 D램에 High-K를 도입했다는 이야기를 참 많이 강조했었죠. 왠지 모르게 입에 착착 감기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이 있는 반도체 용 -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3D D램 특집: GAA가 D램에 적용될 수도 있다고?
산업 기업 2021.11.08 07:02:35요즘 반도체 업계에서는 3차원(D)이 유행입니다. 이미 익숙해진 3D 낸드플래시 시장은 단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고요. 칩을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3D 패키징 기술도 관련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죠. 하지만 우리에게 아직까지는 익숙하지 않은 3D 용어가 있습니다. '3D D램'. 혹시 들어보셨나요? 우리에겐 생소한 개념이지만, 부쩍 반도체 업계 곳곳에서 3D D램이 언급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다 만들어진 2D D램 칩을 수직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