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파식적] 책 읽는 기업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22 18:54:22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는 1만4,000여권의 책을 소장한 개인 도서관을 가장 아낄 만큼 유명한 독서광이다. 그는 어릴 적 마을 도서관이 오늘의 성공을 만들었다고 말하곤 한다. MS가 사내 도서관에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임직원들에게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도 이런 경영철학이 깔려 있을 것이다. MS에 입사하면 가장 먼저 도서관에서 주최하는 점심 식사에 참석해 도서관 활용법부터 배우는 게 오랜 관 -
[만파식적] 반씨 소보(小譜)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21 18:54:06반(潘)씨는 중국에서 온 ‘도래성(渡來姓)’이다. 기성(거제의 옛 지명)·광주·남평 등 세 본관이 있지만 원류인 시조 반부(潘阜)는 한림학사를 거쳐 이부상서를 지낸 남송시대의 관리였다. 몽골 정벌을 황제에게 간했으나 간신인 가사도(賈似道)의 꾀임으로 죽임이 당연히 예상된 몽골에 사신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원 세조는 그를 아껴 죽이지 않고 벼슬을 제안했으나 그는 사양한다.그 무렵 원나라 수도 대도(大都·베이징)에 -
[만파식적] 위작 열전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20 18:31:09추사 김정희의 작품은 걸출함만큼 위작이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시중에 유통되는 작품 중 절반, 심지어 70% 이상이 ‘가짜’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선게비불(禪偈非佛)’ ‘승련노인(勝蓮老人)’ ‘검가(劍家)’ 등 주요 전시회에 출품됐던 상당수 작품들이 위작 시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 2002년에는 전시됐던 주요 추사 작품 중 진품은 9개에 불과하고 나머지 48개는 타인의 것이거나 위작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이러 -
[만파식적] 화폐개혁 빛과 그늘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9 18:41:32북한은 2009년 11월30일 구권 100원을 신권 1원으로 교환하는 ‘깜짝’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경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암시장을 폐쇄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역효과만 초래했다. 물가는 10배나 뛰었고 교환하지 못한 돈을 강물에 내다 버리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당계획 재정부장이었던 백남기와 북한의 2인자였던 장성택이 처형당한 이유다. 소련 붕괴도 화폐개혁 실패가 일조했다. 1991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은 -
[만파식적] ‘료칸(旅館)외교’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8 18:46:08지난 2009년 카자흐스탄을 방문했던 이명박 대통령은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 이색적인 정상회담을 가졌다. 회담 장소는 ‘바냐’로 불리는 전통 사우나였고 두 정상은 통역자만 배석시킨 채 허심탄회하게 경제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카자흐스탄으로서는 옛 종주국이던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등 몇몇 정상에게만 행했던 최고의 환대였다. 중앙아시아나 러시아에서는 사우나가 주요 협상장으로 활용될 정도로 돈 -
[만파식적] 북극 얼음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5 18:56:35북극곰에게 해빙(海氷 ·바다얼음)은 생존의 필수조건이다. 바다표범 등 겨울철 먹이 사냥도 그렇지만 암수가 만나 번식하고 새끼를 기르는 대부분의 생존활동을 얼음 위에서 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TV에서 방영된 ‘북극곰의 눈물’도 여름철에 육지로 나왔다가 바다가 얼지 않아 북극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북극곰에 대한 캐나다 작은 마을의 구조활동을 다루고 있다. 구조는 마취상태의 곰을 헬기로 더 추운 북쪽으로 옮겨놓는 -
[만파식적] 계란 대란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4 18:35:0913가지 필수비타민과 미네랄이 다량 함유돼 있고 고단백질과 항산화제가 들어 있는 완전식품. 70㎈의 열량을 보유하고 있어 체중관리는 물론 뇌 기능 활성화와 임산부 건강에 특히 좋은 보양식. 서민 반찬 계란이다. 한국에서 고아들을 1,000여명이나 돌봐 ‘고아들의 아버지’라고까지 불렸던 일본인 전도사 소다 가이치씨조차 계란이 몸에 좋다는 사실을 알고 아이들 몰래 매일 한 알씩 챙겨 먹었다고 한다. 이로 인해 그는 죽는 -
[만파식적] ‘3G 내각’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3 18:30:002008년 말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첫 행정부의 내각 명단을 발표하자 대다수 언론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경쟁자였던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을 국무장관에 기용하는 등 개인적 친분보다는 경험·능력 위주로 뽑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그 중에서 뉴욕타임스(NYT)의 분석이 눈길을 끌었다. 아이비리그와 그에 버금가는 대학 졸업생들이 이전 정부보다 훨씬 많이 등용됐다는 것이다.실제로 힐러리를 포함한 -
[만파식적] '아키타 견'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2 18:28:16지난해 3월 일본 도쿄대에는 ‘90년 만의 만남’이라며 반려견 한 마리가 주인을 반갑게 맞이하는 이색적인 동상 하나가 세워졌다. 동상의 주인공은 1920년대 농학부 교수를 지냈던 우에노 히데사부로 박사와 그의 반려견 하치였다. 하치는 우에노 박사가 생전에 애지중지하면서 자식처럼 키웠던 ‘아키타 견’이었다. 하치는 우에노 박사가 살아 있을 때 매일 시부야 역으로 나가 귀가하는 주인을 배웅하고 마중했다. 그러던 어느 -
[만파식적] 터키판 금 모으기 운동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11 17:57:501차 세계대전 직후 독일은 프랑스·영국 등 승전국에 갚아야 할 전쟁배상금 1,320억 금화 마르크를 마련하는 숙제를 해결해야 했다. 하지만 나라가 폐허가 되고 재정마저 고갈된 상황에서 해결할 능력이 있을 리 없었다. 독일 정부는 고민 끝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프리츠 하버에게 이 임무를 맡겼다. 하버가 생각해낸 방법은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것. 그의 이론에 따르면 1톤의 바닷물에서 200g의 금을 추출할 수 있었다. -
[만파식적] 사병 급식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08 18:35:43최근 3년7개월 만에 종영한 TV 오락 프로그램 ‘진짜 사나이’에 이른바 ‘먹방(먹는 방송)’ 에피소드가 유독 많이 나왔다. 군 생활을 수십 년 전에 한 이들에게는 군대 음식을 너무 맛있게 먹고 그것도 몇 번이나 식판을 싹싹 비우는 출연자의 모습이 이채롭기까지 했다. 고된 훈련 과정에다 쇠라도 먹을 나이의 어린 출연자뿐 아니라 중년 출연자까지 그러는 것을 보고는 ‘방송이니까’ ‘설마 그럴까’ 하는 의심까지 들 정도 -
[만파식적] 대통령 경호비용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07 18:40:24대통령의 해외 순방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비용이 든다. 경호 문제 때문이다. 관련 예산은 ‘기밀경호 내역’이어서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지만 지난 2013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주일 일정으로 세네갈 등 아프리카 3개국을 방문했을 때 든 비용은 무려 1억달러(약 1,117억원)에 달했다는 추산이다. 미 해군 항모와 상륙함이 동원되고 특수 통신장비가 장착된 퍼레이드용 방탄 리무진 14대 등 차량 56대도 실어날랐다. 오 -
[만파식적] ‘젓가락질’ 면접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06 18:31:022014년 말 어느 이동통신사 2차 면접장. 지원자들이 면접장에 들어서자 임원 한사람이 공 3개씩을 주며 “저글링(juggling)을 해보세요”라고 주문했다. 일순간 지원자들의 얼굴에 당혹감이 묻어났다. 지원자들이 하나둘 허공에 공을 던지기 시작했지만 저글링에 성공한 사람은 없었다. 떨어진 공이 바닥을 굴러다니자 공을 막으려는 사람, 다른 지원자에게 공을 던진 사람 등으로 면접장은 한순간 아수라장이 됐다고 한다.모 전자 -
[만파식적] ‘트위터 정치’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05 19:03:03“Hello, Twitter! It’s Barack(안녕, 트위터! 나 버락일세).” 지난해 5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 계정을 열면서 올린 첫 인사말이다. 전 세계를 통틀어 대통령이 직접 관리하는 유일한 트위터였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의 트위터는 불과 4시간 만에 100만명의 팔로어를 돌파하면서 세계 신기록도 갈아치웠다. 오바마는 미국 대통령을 의미하는 ‘POTUS’를 트위터 계정으로 삼아 ‘아빠, 남편, 그리고 미국의 44 -
[만파식적] 27센트짜리 탐욕
오피니언 사내칼럼 2016.12.04 18:30:00“은행가를 죽여라.” 월스트리트 금융사에 대한 극단적 적개심을 드러내는 이 표현은 영화 ‘라스트홈’에 나오는 대사다. 미국 플로리다의 건설노동자 데니스 내쉬는 회사부도로 주택담보대출이 연체돼 집이 압류된다. 아들, 홀어머니와 함께 길거리로 나앉게 된 내쉬는 오히려 부동산 브로커에게 1,000가구의 연체자들을 한 달 내 퇴거시키는 일을 제안받는다. 고민하던 그에게 제안자는 “100명 중 한 명만 방주에 타는 거야.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https://img.sedaily.com/Html/common/footer_logo.png)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