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2월 15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8:09:16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2월 15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2.15 18:08:21 -
매파 연준에 코스피 2360 털썩…기관 4378억 원 순매도 [마감시황]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7:53:44코스피가 1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기조에 2360대로 주저앉았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38.28포인트(1.60%) 내린 2360.97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5.42포인트(0.64%) 내린 2383.83에 개장했다가 장중 한때 2390대를 회복했다. 그러나 기관의 매도 폭탄에 낙폭을 키운 채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88억 원, 4378억 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4598억 원을 순매수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6원 8전 오른 달러당 1303원 1전에 거래를 마치는 등 원화가 약세를 보이며 외국인 수급에 불리한 환경이 조성돼 지수에 부담을 더했다. 연준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시장의 예상대로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연준 위원들이 내년 점도표(금리 전망치)를 상향하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상 지속을 시사해 시장에 실망감을 안겼다. 연준이 내년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지난 9월(1.2%)보다 0.7%포인트 낮춘 0.5%로 제시하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하락 출발해 장 초반 낙폭 반납을 시도했지만, 중국 실물지표 부진(11월 소매 판매 둔화)에 따른 경기 악화 우려가 커지며 재차 하락 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서는 삼성전자(-1.98%), LG에너지솔루션(-2.51%), 삼성바이오로직스(-1.67%), SK하이닉스(-1.96%), 삼성SDI(-0.30%) 등 거의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NAVER(네이버)(-5.68%)와 카카오(-5.79%)는 각각 5% 넘게 내렸다. 기아는 보합세로 마감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이 하락한 가운데 서비스업(-3.22%), 비금속광물(-2.17%), 섬유·의복(-2.07%), 금융업(-1.94%), 전기·전자(-1.87%) 등이 특히 큰 폭으로 내렸다. 음식료품(0.20%)과 기계(0.10%)만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6.32포인트(0.87%) 내린 722.68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3.68포인트(0.50%) 내린 725.32로 출발해 장중 한때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재차 하락 폭을 넓혔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7억 원, 386억 원을 순매도해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은 498억 원 매수 우위였다. 시총 상위 10위권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1.80%), 에코프로비엠(-2.39%), 엘앤에프(-1.96%), 카카오게임즈(-4.80%), HLB(-0.46%) 등 전 종목이 하락했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거래대금은 각각 6조 258억 원, 4조 6449억 원이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2월 15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7:33:5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 옵션 시세(12월 15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7:31:57 -
'매파 파월' 불똥 튄 증시…'카카오형제' 페이·뱅크 9%대 급락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7:17:20산타랠리 기대감이 차갑게 식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으며 그동안 증시 반등을 주도했던 성장주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연말 증시의 의미 있는 반등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경기·실적 악화를 반영해 증시의 하방 압력이 점차 강해질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이 나온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날보다 38.28포인트(1.60%) 내린 2360.97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자 코스피는 2400선 돌파를 목전에 뒀지만 하루 만에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었다. 카카오(035720) 3총사와 네이버 등 성장주들의 낙폭이 컸다. 카카오페이(-9.35%), 카카오뱅크(-9.23%)가 9%대 하락률을 기록했으며 네이버(-5.68%)와 카카오(-5.79%)도 주저앉았다. 삼성전자(005930)(-1.98%), LG에너지솔루션(373220)(-2.51%), SK하이닉스(000660)(-1.96%) 등 주요 종목 역시 하락 마감했다. 투자자들이 기대하던 산타랠리 가능성이 사그라드는 분위기다. 전날까지만 해도 11월 CPI가 인플레이션 둔화를 나타내면서 시장의 기대는 고조됐다. 하지만 연준이 어김없이 매파적 성향을 드러내면서 달아오르던 열기가 빠르게 식었다. 최근 반등의 동력이 됐던 중국의 제로 코로나 완화 기대감이 현실로 전환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반등 가능성을 줄이는 요인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두 차례의 이벤트 결과와 올해 남은 기간 대형 매크로 이벤트가 부재하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시장이 기대하고 있던 본격적인 산타랠리가 전개될 여지는 크지 않다”며 “주요국 증시는 중립 이상의 주가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증권가는 통화정책이라는 변수에 방향성을 정하던 시기를 마무리하고 전체적인 글로벌 경기와 기업의 실적에 따라 주가 흐름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이익 하향 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로는 주식 시장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기업 이익 하향 조정도 끝날 조짐을 찾기 어려운데 현재 주식시장은 가격적인 측면에서 그다지 매력이 높지 않다”고 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연준의 금리 인상 의지가 강화될 때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확대, 경기 모멘텀 약화라는 이중고에 상당 기간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코스피의 하락 추세는 견고해지고 무게감은 더해지는 중”이라고 진단했다. -
현중 vs HSD엔진… STX중공업 인수 놓고 '맞장' [시그널]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7:16:06현대중공업(329180)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이 선박용 엔진 제조업체인 STX중공업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TX중공업 예비입찰에 한국조선해양과 HSD엔진(082740)(옛 두산엔진) 등 2~3곳이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매각 대상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파인트리파트너스가 보유한 STX중공업 지분 47.81%다. 한국조선해양은 증가하는 선박용 엔진 수요에 대응하면서 사업적인 시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STX중공업 인수 검토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측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이 보유한 엔진 기술을 접목시켜 중소형 엔진까지 스펙트럼을 다양화하고, 그룹 내 조선 사업과 시너지를 높여 경쟁력 확보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입찰에 참여한 원매자들은 선박용 디젤 엔진 뿐아니라 STX중공업이 보유한 LNG 엔진 제조 기술력 등에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SD엔진 역시 국내 대표적인 엔진 제조 기업으로 사업 시너지 확보 차원에서 STX중공업 인수를 검토 중이다. 한국조선해양과 HSD엔진을 포함한 원매자들은 다음 주부터 8주간 실사에 돌입한다. 매각 측은 내년 1분기 중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계획이다. 한편 파인트리파트너스는 2018년 STX중공업 지분 66.81%를 987억원에 인수했다. 코스피 상장사인 STX중공업의 시가 총액은 이날 기준 1635억 원이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2월 15일)
증권 국내증시 2022.12.15 15:55:46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2월 15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2.15 15:54:25◇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한국항공우주 삼성SDI 두산에너빌리티 기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K하이닉스 현대로템 LG화학 씨에스윈드 SK이노베이션 일동제약 POSCO홀딩스 한국전력 S-Oil -
[코스피(마감)] 38.28포인트(1.60%) 내린 2360.97 마감
증권 증권일반 2022.12.15 15:37:04[코스피(마감)] 38.28포인트(1.60%) 내린 2360.97 마감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코스피 2360.97(▼38.28, -1.60%)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2.12.15 15:34:12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전 거래일(2399.25)보다 38.28p(-1.60%) 내린 2360.97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523억과 4,431억을 각각 순매도 해 하락장을 주도했으며,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한 개인은 4,601억을 순매수 했다.업종별로는 서비스업(-3.22%), 비금속광물업(-2.17%), 섬유의복업(-2.07%)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고, 음식료품업(+0.20%), 기계업(+0.10%)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였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1.98% 내린 5만 9300원에 장을 마감한 가운데, 코오롱글로벌우(003075)(-11.50%), 코오롱글로벌(003070)(-10.87%), 카카오페이(377300)(-9.35%)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한창(005110)(+29.43%), 경보제약(214390)(+16.49%), 일동제약(249420)(+14.14%)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54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307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23%↓)
증권 News봇 2022.12.15 15:20:2515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34p(-1.31%) 하락한 2367.91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3.06%), 비금속광물업(-2.15%), 섬유의복업(-1.77%)이며, 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0.38%), 전기가스업(+0.30%), 기계업(+0.2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65:3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01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577억, 기관은 2,78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한창(005110)이 28.84% 오른 1,090원을 기록 중이고, 경보제약(214390)(+17.65%), 일동제약(249420)(+14.2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글로벌우(003075)(-11.26%), 코오롱글로벌(003070)(-11.09%), 카카오페이(377300)(-9.6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6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0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36%↓)
증권 News봇 2022.12.15 15:00:2415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2.63p(-1.36%) 하락한 2366.62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95%), 비금속광물업(-2.14%), 섬유의복업(-2.03%)이며, 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0.44%), 전기가스업(+0.30%), 기계업(+0.2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63:3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3,64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765억, 기관은 2,21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한창(005110)이 29.43% 오른 1,095원을 기록 중이고, 경보제약(214390)(+24.74%), 일동제약(249420)(+13.5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글로벌우(003075)(-10.66%), 코오롱글로벌(003070)(-9.57%), 카카오페이(377300)(-9.0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88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27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장중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에 2370선…하락폭 확대
증권 증권일반 2022.12.15 14:47:25코스피 지수가 외국인들의 매도 공세에 낙폭을 확대하고 있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50bp(1bp=0.01%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매파적인(통화긴축 선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의 발언에 하락 중이다. 15일 오후1시27분 기준 코스피는 전날 대비 26.31포인트(-1.10%) 하락한 2372.94를 가리키고 있다. 현·선물 시장에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늘어나면서 하락폭이 확대되고 있다. 개인은 2984억 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1253억 원, 외국인은 1954억 원 각각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 외국인은 2912억 원 순매도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기아(000270)(0.47%), 현대차(005380)(0.31%) 등은 상승했다. NAVER(035420)(-5.17%), SK하이닉스(000660)(-1.59%), 삼성전자(005930)(-1.49%), LG에너지솔루션(373220)(-1.1%),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08%), 삼성전자우(005935)(-0.73%), LG화학(051910)(-0.62%) 등은 하락했다. 상승 업종은 기계(0.29%), 운수장비(0.18%), 전기가스업(0.16%) 등이고, 하락 업종은 서비스업(-2.88%), 비금속광물(-2.11%), 섬유의복(-2.06%), 의료정밀(-1.42%) 등이다. 코스닥은 전날 대비 5.54포인트(-0.76%) 하락한 723.46를 가리키고 있다. 개인은 457억 원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182억 원, 외국인은 253억 원 각각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모두 내림세다. 카카오게임즈(293490)(-4.13%), 펄어비스(263750)(-3.44%), 스튜디오드래곤(253450)(-2.46%), 에코프로비엠(247540)(-2.01%),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65%), 엘앤에프(066970)(-1.65%), HLB(028300)(-1.37%), 셀트리온제약(068760)(-1.32%), 에코프로(086520)(-1.26%), 리노공업(058470)(-0.98%) 순으로 하락했다. 상승 업종은 없다. 하락 업종은 기타 제조(-2.79%), 방송서비스(-2.71%), 통신방송서비스(-2.02%), 인터넷(-1.83%), 디지털컨텐츠(-1.75%) 등이다.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날보다 5원 2전 오른 1301원 5전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간 기준 금리차 확대 우려와 예상보다 매파적인 FOMC에 환율이 상승세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46%↓)
증권 News봇 2022.12.15 14:30:1315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7.08p(-1.13%) 하락한 2372.17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87%), 섬유의복업(-2.01%), 비금속광물업(-1.99%)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0.55%), 기계업(+0.52%), 음식료품업(+0.3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68:3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3,31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915억, 기관은 1,67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한창(005110)이 29.43% 오른 1,095원을 기록 중이고, 경보제약(214390)(+17.91%), 진원생명과학(011000)(+12.8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글로벌우(003075)(-11.14%), 코오롱글로벌(003070)(-10.43%), 카카오페이(377300)(-9.2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67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28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