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0월 25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17:25:50 -
코스피,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세에도 소폭 하락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16:02:36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도 소폭 하락한 채 거래를 마쳤다. 25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09포인트(0.05%) 내린 2235.07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88포인트(0.04%) 오른 2237.04에 출발해 2240선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코스피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87억 원, 607억 원을 사들였다. 반면 개인은 홀로 1347억 원을 내던지며 차익실현에 나선 모습이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도 대체로 상승세로 마감했다. 삼성전자(005930)가 전일 대비 0.35% 오른 5만 7700원에 거래를 마쳤고 SK하이닉스 또한 전일 대비 1.85% 오른 9만 3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0.39%), 삼성SDI(006400)(0.77%), 네이버(0.62%) 등도 소폭 상승했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 기대 이하의 실적을 발표한 영향으로 장중 한때 16만 원까지 빠지며 52주 신저가를 경신했으나 장 막판 회복하며 전일 대비 0.62% 오른 16만 2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다만 이날 LG화학(051910)은 외국인 매도세에 전일 대비 4% 하락한 55만 2000원에 마감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간밤 미국 증시 호조에 상승 출발했던 국내 지수가 장중 중국 증시 변동성과 함께 외국인 매수세가 축소되며 하락전환하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가 이어졌다”며 “기업 실적 발표에 따라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코스닥 지수는 소폭 상승 마감했다. 25일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5포인트(0.05%) 오른 688.85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27포인트(0.33%) 오른 690.77에 출발했다. 코스닥 투자자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660억 원, 212억 원을 매수한 반면 외국인 홀로 925억 원을 팔아치웠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은 혼조세로 마감했는데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3.20%), 셀트리온제약(068760)(1.24%), HLB(028300)(0.64%) 등 제약주가 상승한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3.27%), 엘앤에프(066970)(-3.36%), 에코프로(086520)(-3.57%) 등 2차전지주는 3%대 약세를 보였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25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15:47:3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25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5 15:44:08◇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삼성전자(005930) 삼성SDI(006400) LG에너지솔루션(373220) 셀트리온(068270) 포스코케미칼(003670) SK하이닉스(00066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엔씨소프트(036570) 한화솔루션(009830) POSCO홀딩스(005490) KT&G NAVER(035420) 기아(000270) 삼성생명(032830) -
[마감 시황] 개인의 '팔자' 기조.. 코스피 2235.07(▼1.09, -0.05%)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2.10.25 15:34:06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전 거래일(2236.16)보다 1.09p(-0.05%) 내린 2235.07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787억, 기관은 604억을 각각 순매수 했으나, 개인은 1,346억을 순매도하며 하락장을 주도했다.업종별로는 기계업(-2.79%), 건설업(-2.73%), 화학업(-1.98%)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고, 의약품업(+1.83%), 비금속광물업(+1.08%), 음식료품업(+0.65%)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였다.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4개 종목이 하락 마감한 가운데, 코오롱우(002025)(-18.25%), 코오롱(002020)(-10.36%), 씨에스윈드(112610)(-8.66%)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SG글로벌(001380)(+23.53%), 팜젠사이언스(004720)(+19.50%), DB하이텍1우(000995)(+19.32%)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528개, 상승종목은 335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마감)] 1.09포인트(0.05%) 내린 2235.07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15:33:41[코스피(마감)] 1.09포인트(0.05%) 내린 2235.07 마감 -
[투자의 창] 시장 착시현상에 속지 않기
오피니언 사외칼럼 2022.10.25 15:28:02긴축적 통화정책 시행에서 시작된 경제 심리 악화는 경기 침체를 앞당기고 있다. 9월 글로벌 주식시장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시장금리 급등 영향으로 채권시장도 안전하지 않았다. 외환시장에서는 환율이 요동치며 각종 금융위기 시나리오가 난무하는 가운데 이달 들어 3분기를 측정할 수 있는 거시지표가 발표되고 있다. 3월부터 시작된 긴축정책의 효과는 아직 미미한 결과만을 보이고 있어 남은 연말까지 거시지표의 변화가 긴축정책의 실질적인 영향으로 해석될 것으로 보인다. 주가와 금리·환율 등 금융지표가 예상을 벗어나는 오버슈팅 시그널을 보이게 되자 각 지표의 바닥 찾기가 경제주체들 사이에서 가장 큰 화두다. 매크로 악재에 대한 편향적이고 과대 해석에 따른 쏠림 현상은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이 변동성을 새로운 추세의 시그널로 잘못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게 만든다. 우리는 시장의 잡음과 착시에 속임을 당하지 않기 위해 펀더멘털의 원칙과 기준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적정 가치를 밑도는 저평가 영역에 진입했을 때 공포에 압도당해 얼어붙지 않고 과감히 리스크를 선택해 그에 상응하는 높은 수익을 얻는 감각을 얻게 될 것이다. 어느덧 코스피지수는 사상 최고치 대비 1000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경제와 주식시장은 그동안 유동성의 힘으로만 구름 위를 걸어왔던 것일까. 지난 2년의 투자 붐은 온전히 유동성 효과뿐이었을까. 겸손의 자세를 넘어 스스로를 비하하는 것은 성장과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팬데믹 이전의 한국 경제는 지나치게 반도체 산업과 중국 특수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였다. 코스피가 2000포인트를 맴도는 것은 특정 산업과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컸던 영향이 크다. 세계경제를 강타한 코로나19 경기 침체를 수습하기 위해 우리 경제에도 유동성이 공급됐고 유동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수출 자원, 효율성이 강화된 유통 시스템, K컨텐츠로 업그레이드된 소프트 파워 등이 한국 경제의 질적 성장을 가져왔다. 이런 성과를 주식시장에 반영시킨다면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이 수축되는 상황에서도 시장이 버틸 수 있는 마지노선이 분명히 있지 않을까. 현재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는 코로나19 이전보다 주가가 하락한 경우가 꽤 많이 발견된다. 이들의 지난 3년간 재무제표를 보면 분명 성장의 결실을 발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디스카운트된 평가를 받는 경우가 있다. 시장의 쏠림 현상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진 국면에서 이를 대세 하락의 시그널로 잘못 해석하는 사례가 이 중에는 있을 수 있다. 물론 정확한 바닥, 포인트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그것은 신의 영역이다. 하지만 지켜내야 할 적정 가치를 설정하고 적정 범위를 찾아낸 후 가격이 이를 벗어난다면 다시 투자자에게는 투자의 시간이 돌아올 것이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18%↓)
증권 News봇 2022.10.25 15:20:2525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07p(-0.09%) 하락한 2234.09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73%), 기계업(-2.72%), 철강금속업(-1.96%)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1.66%), 비금속광물업(+1.09%), 음식료품업(+0.6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0:4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536억, 기관은 57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06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3.53% 오른 1,47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18.55%), DB하이텍1우(000995)(+16.4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8.07%), 코오롱(002020)(-10.02%), 씨에스윈드(112610)(-8.1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16개, 상승종목은 34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서비스업(0.10%↓)
증권 News봇 2022.10.25 15:00:2125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85p(-0.13%) 하락한 2233.31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2.87%), 건설업(-2.73%), 화학업(-2.10%)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1.65%), 비금속광물업(+1.42%), 음식료품업(+0.6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서비스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559억, 기관은 46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7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4.37% 오른 1,48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17.77%), DB하이텍1우(000995)(+16.4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8.43%), 코오롱(002020)(-8.98%), 한신기계(011700)(-7.7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63개, 상승종목은 28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42%↑)
증권 News봇 2022.10.25 14:30:2325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05p(0.00%) 상승한 2236.21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49%), 의약품업(+1.42%), 전기전자업(+0.92%)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3.03%), 건설업(-2.67%), 화학업(-2.1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55억, 기관은 50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9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4.79% 오른 1,485원을 기록 중이고, DB하이텍1우(000995)(+22.24%), 팜젠사이언스(004720)(+17.9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8.07%), 씨에스윈드(112610)(-10.08%), 코오롱(002020)(-9.8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91개, 하락종목은 55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약품업(+1.90%↑)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12%↑)
증권 News봇 2022.10.25 14:00:59오후 2시 0분 현재 의약품업이 1.90% 오른 14,508.19p(▲270.23)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비금속광물업(+1.55%), 전기전자업(+1.06%) 등도 힘을 보태고 있다. 반면 기계업(-3.15%), 건설업(-2.49%), 철강금속업(-2.30%)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의약품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1(매도):3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약품업은 최근 7일 동안 6.61%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2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약품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팜젠사이언스(004720)가 +21.70%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SK바이오사이언스(+5.72%), 에이프로젠제약(+4.24%)이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하나제약(-0.36%), 일동제약(-0.18%), 광동제약(-0.17%)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521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전기전자업과 비금속광물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96%↑)
증권 News봇 2022.10.25 14:00:1925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95p(+0.13%) 상승한 2239.11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1.96%), 비금속광물업(+1.70%), 전기전자업(+1.07%)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3.12%), 건설업(-2.46%), 철강금속업(-2.3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21억, 기관은 64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09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DB하이텍1우(000995)가 22.24% 오른 105,00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1.54%), SG글로벌(001380)(+18.9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6.79%), 코오롱(002020)(-9.84%), 한신기계(011700)(-9.7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06개, 하락종목은 53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시황] 코스피, 2240대 등락…외국인 '사자'에 다시 빨간불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13:56:45코스피가 2240선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25일 오후 1시 40분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4.65포인트(0.21%) 오른 2240.43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장중 한때 2230선까지 하락했으나 외국인 매수세에 다시 2240선을 회복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0.88포인트(0.04%) 오른 2237.04에 출발했다. 코스피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00억 원, 435억 원을 매수하고 있는 반면 개인은 홀로 657억 원을 팔아치우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에서는 대체로 빨간불이 켜졌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가 각각 1.39%, 1.96% 상승하며 1%대 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373220)(2.55%), 삼성SDI(006400)(1.69%) 등도 상승세다. 반면 3분기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발표한 현대차(005380)는 전일 대비 0.31% 내린 16만 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기관 순매수세 유입에 상승하고 있다”며 “지난 주 말부터 이어진 금융시장 분위기 반전 속에 대형 기술주 실적을 앞두고 간밤 미국 증시가 상승하는 등의 영향을 받아 코스피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스닥 지수 역시 상승세다. 오후 1시 40분 코스닥은 전일 대비 0.60포인트(0.09%) 오른 689.10에 거래 중이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27포인트(0.33%) 오른 690.77에 출발했다. 코스닥 투자가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9억 원, 59억 원을 팔아치운 반면 개인 홀로 186억 원을 사들이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대체로 상승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98%), HLB(028300)(1.28%), 셀트리온제약(068760)(1.55%) 등 제약주가 1%대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93%), 엘앤에프(066970)(1.56%) 등 2차전지주는 소폭 하락세다. 앞서 발표된 테슬라의 3분기 실적 부진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2.43%↑)
증권 News봇 2022.10.25 13:30:1025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9.66p(+0.43%) 상승한 2245.82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43%), 전기전자업(+1.61%), 비금속광물업(+1.58%)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2.69%), 건설업(-2.31%), 철강금속업(-2.0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1:39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64억, 기관은 74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21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팜젠사이언스(004720)가 24.06% 오른 7,890원을 기록 중이고, SG글로벌(001380)(+21.01%), DB하이텍1우(000995)(+16.4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4.05%), 코오롱(002020)(-8.98%), 한신기계(011700)(-8.5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19개, 하락종목은 53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거래소,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시행
증권 증권일반 2022.10.25 13:25:36한국거래소가 코스닥 시장에서 재무실적과 시장평가,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들을 선별하고 연계상품 개발 등을 추진한다. 거래소는 25일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 지정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신청과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 11월21일부터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코스닥 시장은 그 동안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시장 대비 저평가되는 등 시장의 매력도가 저하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간 소속부 제도 개편, KOSDAQ150 지수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이 시도됐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는 미흡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거래소 관계자는 "1500개가 넘는 다양한 성장단계의 기업들을 하나의 시장으로 관리하면서 일부 부실기업의 이슈가 시장 전체로 확산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이로 인해 코스닥 우량기업은 상대적으로 역차별을 받고 패시브 자금 유입도 부족해 몸값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인식이 만연함에 따라 코스닥 기피 현상이 심화됐다"고 세그먼트 지정제도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세그먼트 지정제도는 지정요건 충족 기업들의 신규지정 신청(신청주의)→거래소 심사를 통해 지정→연 1회 지정유지 요건 충족여부 심사 후 지정 유지여부 결정의 구조로 운영된다. 시장평가(시총) 및 재무실적 요건, 기업지배구조 요건, 기타요건(기업건전성, 회계투명성 등) 등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으로 지정된다. 거래소는 시장평가 및 재무실적의 경우 신규지정시 대비 완화해 적용하되, 기업지배구조 미달, 기업 건전성 훼손 등 사유가 발생할 시 지정취소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매년 5월 첫 영업일에 신규지정 및 지정취소 조치를 일괄 실시한다.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으로 지정된 기업들은 △투자수요 확충(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지수 발표 및 연계상품(ETF 등) 개발 추진) △지정기업 대상 서비스(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IR 개최, 국문공시의 영문번역 서비스 제공, 상장수수료(추가·변경) 및 연부과금 면제) △인지도 제고 지원(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전용 홈페이지 개설을 통한 원스톱 투자정보 제공) 등의 혜택을 받는다. 이 외에도 거래소 홈페이지 등에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만을 별도로 검색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향후 HTS·금융포털 등으로 확대 추진하며, 거래소는 추후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 대상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거래소는 코스닥 측면에서 코스닥 브랜드 가치 제고를 통해 코스닥 시장 전반에 걸친 투자수요 확대와 상장사의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시장 브랜드 가치 향상으로 우량기업들의 시장에 대한 소속감을 강화하고, 유망한 혁신 기업들의 상장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투자자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이 안정적·장기적으로 코스닥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관련 지수, ETF 등을 코스닥시장 대표상품으로 개발해 기관, 외국인 등 중장기 성향 투자자의 투자 확대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정기업에게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지정은 코스닥을 대표하는 블루칩 기업임을 인증하는 홍보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른 투자자금 추가 유입 효과 등을 통해 기업가치 재평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거래소는 11월1일까지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 지정 신청서를 접수 받고, 11월20일까지 거래소 심사를 진행해 대상 기업을 확정한다. 11월 21일에는 대상기업을 발표하고 출범 기념식을 개최한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