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2.35%↑)
증권 News봇 2022.10.25 13:00:0825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58p(+0.38%) 상승한 2244.74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35%), 전기전자업(+1.47%), 비금속광물업(+1.40%)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2.84%), 건설업(-2.15%), 철강금속업(-1.7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2:68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00억, 기관은 69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10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4.37% 오른 1,48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1.70%), DB하이텍1우(000995)(+16.3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1.68%), 이엔플러스(074610)(-10.06%), 씨에스윈드(112610)(-8.1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21개, 하락종목은 52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1.49%↑)
증권 News봇 2022.10.25 12:30:0825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9.87p(+0.44%) 상승한 2246.03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42%), 전기전자업(+1.49%), 비금속광물업(+1.10%)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2.64%), 건설업(-2.09%), 철강금속업(-1.6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2:68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31억, 기관은 60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48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7.73% 오른 1,52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3.74%), 성신양회우(004985)(+12.5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9.67%), 이엔플러스(074610)(-8.94%), 씨에스윈드(112610)(-7.7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22개, 하락종목은 53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2237.49, 상승세(▲1.33, +0.06%) 지속
증권 News봇 2022.10.25 12:00:36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25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3p(+0.06%) 오른 2237.49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365억, 기관은 43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4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의약품업(+1.96%), 전기전자업(+1.09%), 비금속광물업(+0.80%)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계업(-3.23%), 건설업(-2.42%), 화학업(-1.99%)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6.89% 오른 1,51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3.90%), 경동인베스트(012320)(+11.9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코오롱우(002025)(-12.23%), 이엔플러스(074610)(-8.66%), 씨에스윈드(112610)(-8.1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69개, 하락종목은 58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약품업(+2.02%↑)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12%↑)
증권 News봇 2022.10.25 12:00:25오후 12시 0분 현재 의약품업이 2.02% 오른 14,525.64p(▲287.68)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전기전자업(+1.24%), 비금속광물업(+0.80%) 등도 힘을 보태고 있다. 반면 기계업(-3.17%), 건설업(-2.43%), 화학업(-2.04%)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의약품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0(매도):40(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약품업은 최근 7일 동안 6.53%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2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약품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팜젠사이언스(004720)가 +24.06%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유나이티드제약(+4.36%), 셀트리온(+3.65%)이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JW중외제약(-0.28%), 일양약품우(-0.25%), 한미약품(-0.20%)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365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비금속광물업과 의약품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2.02%↑)
증권 News봇 2022.10.25 12:00:2225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60p(+0.12%) 상승한 2238.76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02%), 전기전자업(+1.24%), 비금속광물업(+0.80%)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3.17%), 건설업(-2.43%), 화학업(-2.0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1:69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365억, 기관은 43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4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7.31% 오른 1,515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3.90%), 경동인베스트(012320)(+11.8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2.23%), 이엔플러스(074610)(-8.66%), 씨에스윈드(112610)(-8.3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71개, 하락종목은 58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19%↑)
증권 News봇 2022.10.25 11:30:1925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4p(+0.08%) 상승한 2238.00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11%), 전기전자업(+1.19%), 통신업(+0.54%)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3.21%), 건설업(-2.63%), 화학업(-1.9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397억, 기관은 41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3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SG글로벌(001380)이 23.95% 오른 1,475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21.86%), 성신양회우(004985)(+14.9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2.77%), 이엔플러스(074610)(-8.75%), 씨에스윈드(112610)(-8.1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276개, 하락종목은 58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19%↑)
증권 News봇 2022.10.25 11:00:1725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72p(+0.48%) 상승한 2246.88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2.49%), 전기전자업(+1.91%), 비금속광물업(+0.86%)이며, 약세업종은 기계업(-2.81%), 건설업(-2.58%), 철강금속업(-1.7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2:38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74억, 기관은 50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0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팜젠사이언스(004720)가 18.87% 오른 7,560원을 기록 중이고, SG글로벌(001380)(+17.65%), 경동인베스트(012320)(+15.4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2.23%), 이엔플러스(074610)(-8.10%), PI첨단소재(178920)(-7.7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58개, 하락종목은 49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80%↑)
증권 News봇 2022.10.25 10:30:1725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02p(+0.36%) 상승한 2244.18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1.80%), 전기전자업(+1.48%), 비금속광물업(+0.91%)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74%), 기계업(-2.48%), 철강금속업(-1.4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3:67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69억, 기관은 31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3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팜젠사이언스(004720)가 23.43% 오른 7,850원을 기록 중이고, 경동인베스트(012320)(+14.98%), 한화투자증권우(003535)(+8.0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코오롱우(002025)(-11.50%), 이엔플러스(074610)(-9.50%), 우진(105840)(-6.5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63개, 하락종목은 48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84%↑)
증권 News봇 2022.10.25 10:00:2625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01p(+0.58%) 상승한 2249.17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1.84%), 전기전자업(+1.61%), 비금속광물업(+1.52%)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20%), 기계업(-2.04%), 철강금속업(-0.9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2:68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200억, 기관은 43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65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3.03% 오른 78,000원을 기록 중이고, 팜젠사이언스(004720)(+18.08%), 성신양회우(004985)(+7.9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이엔플러스(074610)(-9.40%), 코오롱우(002025)(-7.30%), 우진(105840)(-6.6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64개, 하락종목은 3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약품업(+1.84%↑)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58%↑)
증권 News봇 2022.10.25 10:00:21오전 10시 0분 현재 의약품업이 1.84% 오른 14,499.46p(▲261.50)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전기전자업(+1.61%), 비금속광물업(+1.52%) 등도 힘을 보태고 있다. 반면 건설업(-2.20%), 기계업(-2.04%), 철강금속업(-0.96%)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의약품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1(매도):3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약품업은 최근 7일 동안 4.58%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2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약품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팜젠사이언스(004720)가 +18.40%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파미셀(+5.75%), 한올바이오파마(+4.01%)가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동성제약(-0.30%), 환인제약(-0.29%), 동아에스티(-0.20%)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200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 美 증시 훈풍에 힘입어 이틀째 상승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09:40:44코스피가 미국 뉴욕증시 호조에 힘입어 2거래일째 상승세다. 25일 오전 9시 25분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15포인트(0.54%) 오른 2247.71에 거래 중이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88포인트(0.04%) 오른 2237.04에 출발했다. 코스피 투자주체별로는 개인과 기관의 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같은 시간 개인은 192억 원을, 기관은 77억 원을 사들이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홀로 269억 원을 매도하는 중이다. 코스피 시가총액은 대체로 혼조세다. 오전 9시 25분 기준 삼성전자(005930)가 전일 대비 0.87% 하락한 5만 7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가운데 SK하이닉스(000660)(-0.54%)도 소폭 하락세다. 전일 기대 이하의 실적을 발표한 현대차(005380)가 0.62%가량 내리며 기아(000270)(-0.92%)도 하락 중에 있다. 반면 같은 시간 LG에너지솔루션(373220)(0.20%), 삼성SDI(006400)(1.69%) 등은 소폭 상승 중에 있다. 이날 코스피 상승에는 간밤 뉴욕증시가 호조세를 보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7.06포인트(1.34%) 오른 3만 1499.62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59포인트(1.19%) 상승한 3797.3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92.90포인트(0.86%) 뛴 1만 952.61로 장을 마감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심리가 영향을 주며 상승 마감했다”며 “이 영향을 받아 국내 증시도 상승 출발 후 견고한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서 연구원에 따르면 전일 큰 폭의 하락을 보였던 중국 증시 방향성에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코스닥 역시 상승 중에 있다. 오전 9시 25분 코스닥은 전일 대비 6.47포인트(0.94%) 오른 694.97에 거래 중이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27포인트(0.33%) 오른 690.77에 출발했다. 코스닥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눈에 띈다. 같은 시간 외국인은 129억 원을, 기관은 59억 원을 팔아치우는 중이다. 반면 개인은 186억 원을 매수하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빨간 불이 켜졌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1.98%), HLB(028300)(1.28%), 셀트리온제약(068760)(1.55%) 등 제약주가 1%대 상승세를 보이고 있꼬 카카오게임즈(293490)(0.39%) 등의 게임주도 소폭 상승세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47540)(-0.93%), 엘앤에프(066970)(-1.56%) 등의 2차전지주는 소폭 하락 중에 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18%↑)
증권 News봇 2022.10.25 09:30:1425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90p(+0.67%) 상승한 2251.06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90%), 전기전자업(+1.62%), 의약품업(+1.18%)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1.76%), 기계업(-1.14%), 철강금속업(-0.9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4:3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34:66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2억, 기관은 17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4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7% 오른 82,400원을 기록 중이고, 플레이그램(009810)(+13.36%), 팜젠사이언스(004720)(+13.0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이엔플러스(074610)(-7.45%), 우진(105840)(-6.52%), 일진머티리얼즈(020150)(-6.1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518개, 하락종목은 29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삼성운용 "배당주ETF 2종 분배금 분기 지급으로 전환"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09:16:58삼성자산운용은 ‘삼성 KODEX 고배당(279530)' 상장지수펀드(ETF)와 ‘삼성 KODEX 배당가치(325020)' ETF 2종의 분배금 지급 방식을 연 1회 지급에서 분기 지급으로 변경한다고 25일 밝혔다. 연 1회 지급에서 분기 지급으로의 전환은 가급적 자주 현금 흐름을 확보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행됐다. 최근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증시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일정 수준의 현금 흐름 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 자산이나 연금 운용에 적극적이면서 근로소득 외의 이자, 배당 소득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수요에도 부합한다. 기존에는 분기 배당이 크지 않아 대부분 연 지급식으로 진행했으나 최근 코스피 내 분기 배당 기업이 늘어나면서 배당 재원이 확보됐고, 특히 국내 배당주 ETF의 경우 다른 ETF 대비 유의미한 분기 배당이 예상되는 종목들을 많이 편입하고 있어 가장 먼저 전환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삼성자산운용 측은 설명했다. 삼성 KODEX 고배당 ETF는 배당수익률이 높으면서도 변동성이 낮은 국내 배당주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FnGuide 고배당 Plus 지수’를 기초 지수로 추종한다. 이 지수는 전년도 배당수익률이 기초 유니버스의 상위 30%이면서 변동성이 낮은 약 50개 종목을 편입하고 있다. 2017년 10월에 상장된 이 ETF는 △세아특수강 △대신증권우 △삼성화재우 △기업은행 등이 상위 보유종목으로 순자산은 약 381억 원이다. 분배금이 포함된 수정기준가 기준 설정 이후 수익률은 9.1%(21일 기준)이며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은 -10.8%다. 최근 3년간 연간 주당 분배금은 각각 2020년 290원, 2021년 440원, 2022년 490원씩 지급됐다. 삼성 KODEX 배당가치 ETF는 국내 대형주를 중심으로 배당수익률이 높고, 밸류와 수익성 지표가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FnGuide SLV 배당주형 지수’를 추종한다. 이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500개 종목 중 배당관련 지표가 우수한 상위 150 종목을 편입한다. 2019년 5월에 상장된 이 ETF는 △삼성전자 △LG화학 △SK하이닉스 △기아 등이 상위 종목으로 순자산은 1386억 원이다. 설정 이후 수익률은 18.7%(21일 기준)인데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은 8.6%다. 최근 3년간 연간 주당 분배금은 각각 2020년 270원, 2021년 340원, 2022년 385원씩 지급됐다. 이 ETF들의 첫 분기 분배금은 11월에 지급되며 분배금 지급기준일은 10월 31일이다. 분배금 수취를 목표로 하는 투자자는 10월 27일까지 매수하면 된다. 분배금 지급은 지급기준일 익영업일로부터 7영업일 이내 지급될 예정이다.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운용3팀장은 “이번 국내 배당주 ETF 2종의 분배금 지급 주기를 연 1회에서 분기 1회로 변경한 것은 특히 현금 흐름 확보에 관심이 많은 연금 투자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삼성자산운용은 앞으로도 투자자들의 투자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2237.04.. 개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0.88, +0.04%)
증권 News봇 2022.10.25 09:05:13코스피가 개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전일의 상승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25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88p(+0.04%) 오른 2237.04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352억, 기관은 62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41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업(+0.69%), 종이목재업(+0.61%), 의약품업(+0.61%)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기전자업(-0.37%), 건설업(-0.26%), 철강금속업(-0.07%)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34% 오른 82,000원을 기록 중이고, 플레이그램(009810)(+20.48%), 에스엠벡셀(010580)(+9.6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우진(105840)(-5.61%), 한신기계(011700)(-5.50%), 롯데하이마트(071840)(-4.0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53개, 하락종목은 31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개장)] 0.88포인트(0.04%) 오른 2237.04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2.10.25 09:01:36[코스피(개장)] 0.88포인트(0.04%) 오른 2237.04 출발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