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發 '패닉셀링'에 홍콩H지수 7% 뚝…ELS 절반 '손실 공포'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4 18:40:04시진핑 3기 출범에 대한 불안으로 중화권 증시 전반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가 하루에만 7% 이상 추가 급락하며 주가연계증권(ELS)의 원금 손실 공포가 극대화되고 있다. 홍콩H지수가 5000선 아래로 내려앉을 경우 발행된 관련 ELS의 절반 이상이 ‘녹인 베리어(원금 손실 구간)’로 진입할 수 있어서다. 24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이날 홍콩H지수는 장중 5075.32까지 내려앉으며 1994년 해당 지수 출시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장 후반 소폭 반등하며 전일 대비 7.30% 내린 5114.48로 거래를 마쳤지만 최근 5거래일 동안에만 11% 이상 급락하며 5000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관련 ELS를 사들인 국내 투자자들의 근심도 커지는 모습이다. 홍콩H지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나 유로스톡스·코스피200과 더불어 국내 지수형 ELS의 기초자산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수 중 하나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관련 ELS의 미상환잔액만도 21조 1870억 원에 이른다. ELS는 계약 만기일까지 주가지수나 특정 종목의 주가 등 기초자산의 가격이 정해진 수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는 파생 상품이다. 원금까지 잃을 수 있는 녹인 구간은 통상 기준가의 45~50%로 설정돼 있기에 주가나 지수가 반 토막 나지 않는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 주가가 50% 이상 하락해 원금 손실 구간에 한 번이라도 진입한다면 통상 3년으로 설정된 만기까지 투자금이 묶일 수 있고 만기가 돼서도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이미 절반 가까운 상품이 녹인 구간에 진입했을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관측이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원금 손실 구간이 5500포인트 이상인 상품의 비중은 전체의 26%로 2조 8000억 원에 이른다. 또 5000~5500포인트에서 원금 손실 구간으로 진입하는 상품 역시 전체의 30%인 3조 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홍콩H지수가 5000포인트 아래로 내려앉을 경우 지수형 공모 ELS의 56%가 원금 손실 가능성에 노출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홍콩 증시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홍콩H지수는 지난해 2월 1만 2228까지 치솟았다가 약 1년 8개월 만에 고점 대비 60%까지 내려 앉았는데, 중국 정부의 공동부유 및 빅테크 규제가 주로 영향을 미쳤다. 알리바바·비야디·텐센트 등 대형 기술 기업의 비중이 높아 타격이 컸던 것이다. 그래도 올 7월까지 7000선은 유지했지만 8월 이후 가속화된 달러 강세 기조 속에 9월 6000선도 무너졌다. 홍콩은 홍콩달러의 가치를 미국달러와 연동시켜 외화 변동성을 제거하는 달러 페그제(달러당 7.75~7.85홍콩달러 유지)를 실시하고 있는데, 달러 강세가 이어지자 외국인 투자가들이 홍콩달러를 미국달러로 바꿔 자금을 빼가는 급격한 자금 유출이 이뤄지며 증시가 추락한 것이다. 이처럼 악재가 산적한 상황에서 시진핑 3기의 출범은 홍콩 증시에서의 ‘패닉 셀링(투매)’을 연출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3기 시진핑 정부 출범에 따라 중국의 강경 기조가 더욱 강화할 것을 우려하며 중국·홍콩 증시가 속락했다”며 “중국 경제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외 정책 기조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24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0.24 18:17:52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24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4 18:13:5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200지수·국채·달러 선물 시세(10월 24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4 18:06:37 -
[마감시황] 中 악재에도 정부 유동성 공급에 코스피 1%대 상승
증권 증권일반 2022.10.24 16:43:52중국의 권력 독점화 우려에 홍콩H지수가 5%대 급락하는 등 대외 악재가 터지며 코스피는 오전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지만, 정부 유동성 공급의 긍정적 측면이 부각되며 1% 상승으로 장 마감했다. 24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23.04포인트(1.04%) 오른 2236.16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35.14포인트(1.59%) 오른 2248.26에 개장했다가 장 중 2250선을 뚫고 2256.67까지 도달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상승 폭 일부를 반납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3248억 원, 1498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개인은 4839억 원을 순매도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8원 내린 1430원에 출발했으나 낙폭을 대부분 되돌려주며 1전 내린 1439원 7전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조절론과 한국 정부의 자금시장 유동성 공급 소식에 상승 출발했다. 전 주만 해도 시장은 패닉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다. 시장은 특히 지난 22일(현지시간)부터 11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날 때까지 2주간 연준 위원들의 외부 공개 발언을 금지하는 ‘블랙 아웃’ 기간에 들어가면서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국내에서는 단기자금시장 경색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50조 원 넘는 돈을 풀기로 하면서 투자자들은 당분간 당국과 경제 동향을 예의주시할 전망이다. 기대와 안도 속에서 장 초반 2250선을 상회했던 코스피는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점차 반납하며 2229.85까지 밀렸다. 이후 2230대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국발 증시 변동성 확대 영향에 코스피도 오후 들어 점차 상승 폭을 반납하는 양상”이라며 “중국의 권력 중앙 집권화로 체제에 대한 우려가 커져 중화권 증시가 하락한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날 홍콩 항셍지수와 홍콩H지수는 중국 경제 사령탑 교체 예고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5∼6%대 폭락했다. 같은 날 발표된 중국 경제 지표도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해 예상치를 웃돌았다. 그러나 9월 소매판매와 수출 증가율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10위권에서는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2.86%), LG에너지솔루션(2.00%), SK하이닉스(1.44%), 삼성바이오로직스(3.07%), 삼성SDI(3.67%) 등 과반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현대차(-3.29%), 네이버(-1.20%), 기아(-3.83%)는 약세로 마감했다. 최근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먹통 사태’를 겪은 카카오는 장 초반 상승세에 5만 원대를 회복했다. 그러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0.82% 하락한 4만 84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전날 정부의 유동성 공급 결정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시장이 안정된 건설업(2.45%), 증권(1.71%)을 필두로 비금속광물(3.25%), 의료정밀(3.17%), 의약품(2.79%) 등 다수 업종이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02포인트(2.08%) 상승한 688.50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1.95포인트(1.77%) 오른 686.43에 출발한 뒤 장 중 693.44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987억 원, 1127억 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3165억 원 매도 우위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도 에코프로비엠(0.56%), 셀트리온헬스케어(2.82%), 엘앤에프(3.88%), HLB(6.24%), 카카오게임즈(0.53%) 등 대부분이 전 거래일보다 상승한 채로 마감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24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24 15:44:44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24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24 15:42:04◇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삼성전자(005930) 삼성SDI(006400)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하이닉스(00066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LG화학(051910) 엔씨소프트(036570) LG이노텍(011070) 포스코케미칼(003670) 현대건설(00072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GS건설(006360) 현대로템(064350) -
[코스피(마감)] 23.04포인트(1.04%) 오른 2236.16 마감
증권 증권일반 2022.10.24 15:34:49[코스피(마감)] 23.04포인트(1.04%) 오른 2236.16 마감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 코스피 2236.16(▲23.04, +1.04%) 상승 마감
증권 News봇 2022.10.24 15:34:20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2213.12)보다 23.04p(+1.04%) 오른 2236.16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1,437억, 기관은 3,246억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었으며, 개인은 4,835억을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업(+3.25%), 의료정밀업(+3.17%), 의약품업(+2.79%)이 강세를 보였으며, 운수장비업(-1.83%), 금융업(-0.31%), 서비스업(-0.21%)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코오롱우(002025)(+29.86%), 성신양회우(004985)(+29.73%)가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이수화학(005950)(-10.45%), 롯데관광개발(032350)(-7.29%), 테이팩스(055490)(-6.30%)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622개, 하락종목은 246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25%↑)
증권 News봇 2022.10.24 15:20:3924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0.25p(+0.91%) 상승한 2233.37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6%), 의료정밀업(+3.22%), 의약품업(+2.72%)이며, 약세업종은 운수장비업(-1.75%), 금융업(-0.44%), 서비스업(-0.2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333억, 기관은 2,89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4,37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을 기록 중이고, 코오롱우(002025)(+29.86%), 성신양회우(004985)(+29.7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이수화학(005950)(-10.23%), 롯데관광개발(032350)(-7.29%), 테이팩스(055490)(-6.1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614개, 하락종목은 24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11%↑)
증권 News봇 2022.10.24 15:00:3024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88p(+0.85%) 상승한 2232.00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86%), 의료정밀업(+2.80%), 의약품업(+2.48%)이며, 약세업종은 운수장비업(-2.02%), 금융업(-0.67%), 통신업(-0.5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1:69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909억, 기관은 2,92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95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을 기록 중이고, 성신양회우(004985)(+29.73%), 코오롱우(002025)(+29.62%)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이수화학(005950)(-8.18%), 롯데관광개발(032350)(-7.98%), 테이팩스(055490)(-5.9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91개, 하락종목은 27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기계업(1.34%↑)
증권 News봇 2022.10.24 14:30:2224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86p(+0.85%) 상승한 2231.98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3.18%), 건설업(+2.59%), 의약품업(+2.41%)이며, 약세업종은 운수장비업(-1.79%), 금융업(-0.71%), 통신업(-0.5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기계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40억, 기관은 2,904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53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을 기록 중이고, 성신양회우(004985)(+29.73%), 성신양회(004980)(+27.2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관광개발(032350)(-7.19%), 테이팩스(055490)(-5.84%), SPC삼립(005610)(-5.7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14개, 하락종목은 25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료정밀업(+3.15%↑)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1.01%↑)
증권 News봇 2022.10.24 14:01:12오후 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5개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의료정밀업(+3.15%), 건설업(+2.53%), 전기전자업(+2.35%) 등이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금융업(-0.75%), 운수장비업(-0.53%), 통신업(-0.53%)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의료정밀업은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료정밀업은 최근 7일 동안 2.87%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4위), 동일 기간 동안 개인과 외국인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료정밀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디아이가 +7.61%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에스디바이오센서(+4.29%), 케이씨(+2.36%)가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우진(-1.26%), 한컴라이프케어(-0.11%)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480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전기전자업과 의약품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9:5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12%↑)
증권 News봇 2022.10.24 14:00:3424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3.24p(+1.05%) 상승한 2236.36로,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3.13%), 건설업(+2.60%), 의약품업(+2.46%)이며, 약세업종은 금융업(-0.67%), 운수장비업(-0.50%), 통신업(-0.4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31:69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80억, 기관은 3,247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81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을 기록 중이고, 성신양회우(004985)(+29.73%), 성신양회(004980)(+28.2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관광개발(032350)(-8.08%), 에이엔피(015260)(-5.87%), SPC삼립(005610)(-5.3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643개, 하락종목은 23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9:5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전자업(2.13%↑)
증권 News봇 2022.10.24 13:30:2224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05p(+0.95%) 상승한 2234.17로,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2.86%), 건설업(+2.34%), 비금속광물업(+2.32%)이며, 약세업종은 금융업(-0.69%), 통신업(-0.25%), 운수장비업(-0.0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전자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16억, 기관은 3,232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72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경동인베스트(012320)가 29.92% 오른 63,400원을 기록 중이고, 성신양회우(004985)(+29.73%), 성신양회(004980)(+29.5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관광개발(032350)(-8.18%), 에이엔피(015260)(-5.87%), 코웨이(021240)(-5.2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3개 종목을 포함해 632개, 하락종목은 23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