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49%↓)
증권 News봇 2022.10.19 15:00:1719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05p(-0.49%) 하락한 2238.90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37%), 의료정밀업(-1.80%), 유통업(-1.06%)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67%), 철강금속업(+1.27%), 운수창고업(+0.3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56:4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80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561억, 기관은 38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솔루스첨단소재(336370)가 11.95% 오른 34,200원을 기록 중이고, 인디에프(014990)(+11.91%), 한미글로벌(053690)(+10.8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지주(004990)(-8.27%), 티에이치엔(019180)(-4.95%), AJ네트웍스(095570)(-4.9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95개, 상승종목은 26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거래소, 공매도 과열종목 확대…시장 안정화 기대
증권 증권일반 2022.10.19 14:41:19한국거래소는 19일 강화된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도를 코스피·코스닥·코넥스 시장에서 오는 2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제도는 개별종목의 주가 하락률, 공매도 비중,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배율, 공매도 비중 평균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다음날 하루 차입 공매도를 금지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거래소는 적출 유형을 추가해 공매도 비중이 과다한 종목을 적출하기로 했다. 새로 추가되는 유형은 △당일 전체 거래대금 대비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 30% 이상 △주가 하락률 3% 이상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배율 2배 이상이다. 과열종목 지정 후에도 주가 하락률이 과도하면 추가적으로 공매도 금지 기간을 일별로 추가 연장할 방침이다. 공매도 금지일 또는 금지 연장일에 해당 종목의 주가 하락률이 5% 이상일 경우 금지 기간을 다음 거래일까지 연장한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과열종목 지정건수와 지정일수가 15% 내외 증가하면서 공매도 급증으로 인한 종목별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79%↓)
증권 News봇 2022.10.19 14:30:2119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11p(-0.45%) 하락한 2239.84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1.80%), 건설업(-1.58%), 통신업(-1.04%)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90%), 철강금속업(+1.16%), 운수창고업(+0.2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4:66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56:4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외국인은 501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개인은 436억, 기관은 17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13.56% 오른 1,030원을 기록 중이고, 솔루스첨단소재(336370)(+11.62%), 한미글로벌(053690)(+9.6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지주(004990)(-7.88%), LG디스플레이(034220)(-5.05%), AJ네트웍스(095570)(-3.9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21개, 상승종목은 31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의료정밀업(-1.36%↓)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13%↓)
증권 News봇 2022.10.19 14:01:04오후 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9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의료정밀업(-1.36%), 통신업(-1.11%), 건설업(-1.10%)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비금속광물업(+2.71%), 철강금속업(+1.80%), 운수장비업(+0.75%)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의료정밀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의료정밀업은 최근 7일 동안 5.38%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4위), 동일 기간 동안 개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의료정밀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덴티움이 -2.43%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에스디바이오센서(-1.40%), 케이씨텍(-1.25%)이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한컴라이프케어(+2.74%), 디아이(+0.69%), 케이씨(+0.66%)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553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비금속광물업과 화학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9:5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09%↓)
증권 News봇 2022.10.19 14:00:1919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0p(-0.08%) 하락한 2248.15로,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1.14%), 건설업(-1.09%), 통신업(-1.02%)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89%), 철강금속업(+1.83%), 운수창고업(+0.6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35:65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63:3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553억, 기관은 138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4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17.97% 오른 1,070원을 기록 중이고, 솔루스첨단소재(336370)(+12.77%), 일성건설(013360)(+12.5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지주(004990)(-6.72%), LG디스플레이(034220)(-4.71%), SPC삼립(005610)(-4.3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34개, 상승종목은 40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50:50으로 보합세,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39%↓)
증권 News봇 2022.10.19 13:30:1119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1p(-0.14%) 하락한 2246.84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1.39%), 통신업(-0.95%), 섬유의복업(-0.93%)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24%), 철강금속업(+1.87%), 운수창고업(+0.5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62:38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개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외국인은 460억, 기관은 6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57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18.52% 오른 1,075원을 기록 중이고, 일성건설(013360)(+13.32%), 솔루스첨단소재(336370)(+12.2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롯데지주(004990)(-4.78%), LG디스플레이(034220)(-4.71%), SPC삼립(005610)(-4.3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52개, 상승종목은 39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화학업(0.56%↑)
증권 News봇 2022.10.19 13:00:1119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36p(+0.10%) 상승한 2252.31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67%), 철강금속업(+1.43%), 운수창고업(+0.87%)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98%), 통신업(-0.96%), 유통업(-0.7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화학업이 65:35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40:6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77억, 기관은 390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0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19.07% 오른 1,080원을 기록 중이고, 솔루스첨단소재(336370)(+13.58%), 한미글로벌(053690)(+10.2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6.97%), SK네트웍스우(001745)(-4.15%), LG디스플레이(034220)(-4.0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88개, 하락종목은 35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67%↓)
증권 News봇 2022.10.19 12:30:0919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28p(+0.15%) 상승한 2253.23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91%), 철강금속업(+1.58%), 기계업(+1.11%)이며, 약세업종은 통신업(-1.04%), 의료정밀업(-0.92%), 유통업(-0.7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44억, 기관은 46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947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0.73% 오른 1,095원을 기록 중이고, 솔루스첨단소재(336370)(+14.40%), 한미글로벌(053690)(+11.9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7.77%), 아모레G3우(전환)(-4.48%), SK네트웍스우(001745)(-4.1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84개, 하락종목은 33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2257.78, 상승세(▲7.83, +0.35%) 반전
증권 News봇 2022.10.19 12:00:18개장 초 하락세로 출발했던 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중반 강세 전환했다.19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83p(+0.35%) 오른 2257.78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30억, 기관은 67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24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업(+2.84%), 기계업(+1.67%), 운수창고업(+1.42%)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0.72%), 음식료품업(-0.51%), 유통업(-0.39%)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3.48% 오른 1,120원을 기록 중이고, 세방전지(004490)(+17.82%), 솔루스첨단소재(336370)(+16.0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에이엔피(015260)(-7.97%), SK네트웍스우(001745)(-4.31%), 롯데지주(004990)(-4.0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69개, 하락종목은 27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비금속광물업(+2.82%↑)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33%↑)
증권 News봇 2022.10.19 12:00:14오후 1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2개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비금속광물업(+2.82%), 기계업(+1.56%), 운수창고업(+1.44%) 등이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의료정밀업(-0.83%), 음식료품업(-0.52%), 유통업(-0.38%)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비금속광물업은 외국인의 순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비금속광물업은 최근 7일 동안 11.15%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1위), 동일 기간 동안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비금속광물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포스코케미칼이 +4.64%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동양2우B(+2.86%), 대림B&Co(+2.27%)가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부산산업(-0.47%), 제일연마(-0.36%), 조선내화(-0.13%)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530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비금속광물업과 화학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50:50으로 보합세, 매도강세 업종은 화학업(0.50%↑)
증권 News봇 2022.10.19 12:00:1119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44p(+0.33%) 상승한 2257.39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82%), 기계업(+1.56%), 운수창고업(+1.44%)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83%), 음식료품업(-0.52%), 유통업(-0.3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화학업이 62:38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36:64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530억, 기관은 67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24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1.83% 오른 1,105원을 기록 중이고, 세방전지(004490)(+17.69%), 솔루스첨단소재(336370)(+16.0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7.97%), SK네트웍스우(001745)(-4.31%), 롯데지주(004990)(-4.0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568개, 하락종목은 27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51:49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42%↓)
증권 News봇 2022.10.19 11:30:0519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88p(+0.53%) 상승한 2261.83로, 51(매도):49(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21%), 기계업(+2.08%), 철강금속업(+1.88%)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0.57%), 음식료품업(-0.42%), 유통업(-0.0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7:63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86억, 기관은 64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16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솔루스첨단소재(336370)가 16.20% 오른 35,500원을 기록 중이고, 한미글로벌(053690)(+15.15%), 인디에프(014990)(+14.6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7.97%), AJ네트웍스(095570)(-4.10%), SPC삼립(005610)(-3.1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10개, 하락종목은 23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53:47으로 매도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46%↑)
증권 News봇 2022.10.19 11:00:0519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28p(+0.63%) 상승한 2264.23로, 53(매도):47(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11%), 철강금속업(+2.04%), 기계업(+1.78%)이며, 약세업종은 음식료품업(-0.33%), 유통업(-0.0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65:35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8:62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75억, 기관은 523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01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솔루스첨단소재(336370)가 20.79% 오른 36,900원을 기록 중이고, 인디에프(014990)(+18.52%), 솔루스첨단소재1우(33637K)(+13.0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8.17%), AJ네트웍스(095570)(-3.83%), 진흥기업우B(002785)(-3.0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75개, 하락종목은 18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50:50으로 보합세, 매도강세 업종은 음식료품업(0.09%↓)
증권 News봇 2022.10.19 10:30:0519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85p(+0.48%) 상승한 2260.80로, 50(매도):50(매수)의 보합세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2.35%), 운수장비업(+1.88%), 철강금속업(+1.85%)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0.52%), 전기전자업(-0.27%), 통신업(-0.1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음식료품업이 63:3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40:6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359억, 기관은 38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8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3.48% 오른 1,120원을 기록 중이고, 솔루스첨단소재(336370)(+13.09%), 에이블씨엔씨(078520)(+11.2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이엔피(015260)(-6.57%), CJ씨푸드1우(011155)(-3.97%), AJ네트웍스(095570)(-3.5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621개, 하락종목은 22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시그널] 경영권 매각 '미샤'에 중화권 큰 손들 관심
증권 국내증시 2022.10.19 10:12:28화장품 브랜드 미샤의 경영권이 시장에 매물로 나온 가운데 중화권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미샤가 한때 중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모으며 브랜드 인지도에 강점이 있는 만큼 코로나 펜데믹 이후 경영 풍파를 이겨낼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는 투자회사 4곳과 중국계 유통업체 2곳 등 다수의 중화권 기업들이 에이블씨엔씨(078520) 인수에 관심을 표하고 있다. 에이블씨엔씨는 미샤를 운영하는 코스피 상장사다. 현재 IMM 프라이빗에쿼티(PE)가 지분 59.2%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IB업계 관계자는 "중화권 재무적, 전략적 투자사들이 기밀유지협약을 맺고 티저 형태 투자설명서(IM)를 수령해 갔다"면서 "연매출이 168억 달러에 이르는 유통업체도 롱리스트에 포함되는 등 중국계 투자자들의 관심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IMM PE는 2017년 에이블씨엔씨 지분 25.5%를 1882억 원에 매입했고, 이후 1년 동안 공개 매수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지분을 늘렸다. 이 과정에서 약 2300억 원이 추가 투입됐는데, 이중 약 1200억 원은 인수 금융을 통해 조달했다. IMM PE는 지난달 채권단과 협의를 거쳐 내년 6월로 인수 금융 만기를 연장하고 본격적인 지분 매각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시장에선 에이블씨엔씨가 5년 전 경영권 변동 당시와 비교해 높은 가치를 받기가 쉽지 않다는 견해가 적지 않았다. 실제 국내 화장품 로드숍의 몰락과 함께 실적이 내리막길을 걷는 데다 한국 화장품 업체 매출을 견인했던 중국 시장 내 인기 역시 꺾이고 있기 때문이다. 에이블씨엔씨 주가는 18일 종가 기준 주당 4405원으로 시가총액은 1191억 원에 그쳤다. 하지만 브랜드 초기 중저가 상품 이미지가 강했던 미샤가 최근 브랜드 개선에 성공했고, 중국 등 해외에서는 여전히 '한국 로드숍의 원조'라는 프리미엄을 얻고 있어 인수시 강점도 분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매각 주관을 맡고 있는 크레디트스위스 역시 이같은 부분을 내세워 국내·외 투자자들을 모으는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 측은 특히 에이블씨엔씨의 실적이 올 들어 흑자 전환에 다가서자 반전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에이블씨엔씨 매출은 1216억 원, 영업이익은 2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특히 북중미와 일본에서 지난해 대비 매출이 각각 74.4%, 16.3% 증가해 선진국 매출과 인지도가 두터워지고 있는 것이 매각시 조명을 받을 전망이다. 에이블씨엔씨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국내 투자자들은 중화권 기업들의 투자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현지 전략적 투자자가 지분 인수에 참여하면 중화권에서 미샤가 새 유통 경로를 확보하며 다시 욱일승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매각 측에서 여러 경로로 투자자를 접촉하는 건 당연한 일이어서 실제 성사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중화권 회사가 미샤의 지분 인수에 참여하면 향후 영업 활동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어 업계도 적잖이 신경을 쓰는 듯 하다”고 말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