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그널] 시장침체 이어지자…IPO 대어들 내년으로 상장 늦춘다
증권 IB&Deal 2022.10.17 16:57:21연내 증시 입성이 예상됐던 기업공개(IPO) 시장 대어들의 상장 시점이 일제히 내년으로 밀리고 있다. 기준금리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에 자본시장의 침체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아 IPO 업계는 사실상 올해 신규 상장은 일찌감치 손을 뗀 모습이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 업체인 아이지에이웍스는 한국거래소에 코스피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 신청서를 제출할지를 놓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아이지에이웍스가) 내년에나 상장 심사 신청서를 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IPO 과정에서 2조 원 안팎의 기업 가치가 기대된 빅데이터 부문 유니콘 기업이다. 8월 회사가 공식적으로 “10월 중 예심을 신청하겠다”고 밝혀 올해 증시의 마지막 대어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아이지에이웍스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42% 증가한 1810억 원을 기록하고 흑자 전환에도 성공해 IPO 시장에서는 ‘상장을 해볼 만하다’는 전망에 힘을 실었다. 그러나 지난달 2차전지 분리막 업체인 더블유씨피(393890)가 수요예측과 일반 청약에 실패하면서 아이지에이웍스도 IPO 시점을 두고 보수적인 태도로 돌아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주요 공모주로 꼽힌 컬리·케이뱅크의 목표 상장 시점도 내년으로 밀리는 모양새다. 컬리는 8월 말, 케이뱅크는 지난달 20일 각각 거래소의 상장 예심을 통과했다. 하지만 두 회사 모두 언제 공모를 시작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금리 급등과 지수 하락이 맞물려 IPO 과정에서 원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IB 업계는 두 기업이 3분기 실적을 반영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수요예측과 일반 청약을 실시해 내년에 상장을 마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다만 증시 침체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어 이들 회사의 IPO 완주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도 커지는 실정이다. 회사 측의 몸값 기대치와 시장 눈높이 사이의 괴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 지난해 말 4조 원 수준의 몸값에 투자를 받은 컬리의 상장 후 시가총액은 1조 원대 수준으로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앵커PE 등 컬리에 투자한 재무적투자자(FI)들이 IPO 과정에서 산정된 기업가치에 불만이 생기면 상장 철회권을 발동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323410) 등 비교 기업들의 주가가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 부담이다. 다른 IPO 대어들도 증시 데뷔 목표 시점을 내년으로 잡으며 시장에서 발을 뺐지만 내년이라고 상장 작업이 순항할지도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주 증권신고서를 철회한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상장 예비 심사 승인 효력이 남아 있는 내년 3월 내 IPO를 재추진할 수 있다고 시사했지만 ‘쪼개기 상장 논란’이나 ‘몸값 고평가 논란’ 등 회사를 둘러싼 문제점들이 해소되지 않고는 증시 입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조~2조 원 수준의 몸값이 거론되는 골프존(215000)카운티도 내년 초 상장을 마무리할 것으로 점쳐지나 계열사인 골프존커머스가 13일 저조한 수요예측 실적으로 상장을 철회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 골프존커머스와 마찬가지로 주요 주주의 구주매출과 국내 골프 산업의 역성장 우려가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올 초만 해도 SK쉴더스·원스토어 등 자회사를 잇달아 증시에 올리려 했던 SK스퀘어(402340) 역시 IPO 신중론으로 돌아선 것으로 전해진다. -
‘먹통 참사’에 무너져내린 카카오그룹주…"브랜드 이미지 타격 크다"
증권 국내증시 2022.10.17 16:48:43데이터센터 화재로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가 주말 내내 먹통이 된 카카오(035720) 그룹주의 주가가 일제히 추락했다. 증권가는 이번 참사로 브랜드 이미지가 실추되면서 150억~200억 원 정도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일제히 목표 주가를 하향했다. 같은 업종의 네이버는 플랫폼 규제 강화 정책 등 이번 참사의 역풍을 함께 맞는 듯했으나 가까스로 상승 마감에 성공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는 전 거래일보다 3050원(5.93%) 내린 4만 8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4만 6500원(-9.53%)까지 주가가 추락하면서 신저가를 새로 썼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서 밀려났던 카카오는 12위인 포스코홀딩스와의 격차가 6000억 원까지 줄어들었다. 그룹주인 카카오뱅크(323410)(-5.14%), 카카오페이(377300)(-4.16%)가 신저가를 경신했으며 코스닥 시장의 카카오게임즈(293490)(-2.22%)도 하락 마감했다. 이날 증발한 ‘카카오 4형제’의 시가총액은 2조 561억 원 수준이다. 카카오의 데이터센터가 입주해 있던 SK(034730) C&C의 지주사인 SK 주가 역시 전 거래일보다 7500원(3.64%) 내린 19만 8500원까지 추락했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데이터센터 화재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규모 보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SK의 주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SK는 이날 공시를 통해 “이번 화재로 인한 SK 주식회사의 매출 등 재무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함께 화재 피해를 입었던 네이버의 주가가 이날 카카오와 함께 수직 추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으나 네이버는 소폭 상승 마감에 성공했다. 이날 네이버는 장중 한때 3% 넘게 주가가 하락하기도 했으나 전 거래일보다 1500원(0.91%) 오른 16만 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먹통 참사’로 카카오에 대한 시장의 시각은 더욱 암담하게 바뀌고 있다. 증권가는 이번 사태가 100억 원에서 200억 원 규모의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유진투자증권은 카카오의 목표 주가를 기존 10만 6000원에서 6만 5000원으로 38.7%나 하향했다. 이번 서비스 오류 사태로 직접적인 보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다 카카오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었다는 이유에서다.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실상 전 국민이 이번 사태로 불편함을 겪었고 카카오의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의 브랜드 프리미엄이 퇴색했다”며 “이번 사태로 광고와 커머스 영역 확장에 불필요한 제동이 걸렸다”고 말했다. -
[마감시황] 코스피, 2200선 회복…외국인 순매수 11거래일째 이어져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2.10.17 16:36:17코스피가 외국인 순매수세에 힘입어 2200선을 회복했다. 외국인 순매수세는 11거래일 연속 이어졌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7.16포인트(0.32%) 오른 2219.71에 장을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장보다 25.38포인트(1.15%) 내린 2187.17에 개장했지만 상승 폭을 키워나갔다. 장중 2221.05까지 오르며 222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677억 원, 531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외국인은 지난달 29일부터 11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였다. 기관은 3178억 원 순매도했다. 코스피는 장이 시작할 때 직전 거래일 미국 증시의 급락 여파로 1%대 하락세를 보였지만 외국인이 순매수세로 전환하며 반전에 성공했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대외 악재 불거지며 갭 하락 출발했으나 일부 노이즈 완화되며 상승 전환 마감했다. 코스피는 2200선을 회복했다"며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대규모 미사일 공격 불필요 발언에 전쟁 우려 완화됐고 영국 트러스 행정부의 재무장관 경질과 법인세 동결안 철회 등이 금융시장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시총 상위 10위권 종목은 대부분 상승했다. 삼성전자(005930)(0.53%), LG에너지솔루션(373220)(1.7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2.98%), 삼성SDI(006400)(0.33%), LG화학(051910)(0.35%), 네이버(NAER)(0.91%) 등은 상승했다. SK하이닉스(000660)(-0.31%), 기아(000270)(-0.43%), 셀트리온(068270)(-2.59%) 등은 하락마감했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역대급 ‘먹통’ 사태가 발생한 카카오(035720)는 5.93%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도 전 장보다 3.76포인트(0.55%) 오른 682.00에 거래를 마쳤다.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63포인트(1.57%) 내린 667.61로 출발했으나 상승 폭을 확대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406억 원, 177억 원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509억 원 순매도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17일)
증권 국내증시 2022.10.17 15:43:33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17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17 15:40:27◇기관·외국인 순매수 주요 종목=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전자(005930) 포스코케미칼(003670) SK하이닉스(00066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한국항공우주(047810) 한화솔루션(009830) 삼성SDI(0064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코스모신소재(005070) LG화학(051910) 하나금융지주(086790) 현대차(005380) 삼성에스디에스(018260) KT&G -
[마감 시황] 개인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 코스피 2219.71(▲7.16, +0.32%) 상승 마감
증권 News봇 2022.10.17 15:35:12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2212.55)보다 7.16p(+0.32%) 오른 2219.71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529억, 외국인은 2,640억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었으며, 기관은 3,177억을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업(+4.33%), 종이목재업(+1.53%), 의약품업(+1.11%)이 강세를 보였으며, 건설업(-2.78%), 서비스업(-1.23%), 전기가스업(-0.34%)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9.92%), 유니온(000910)(+20.97%)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화천기계(010660)(-23.30%), 한미글로벌(053690)(-13.69%), 세아베스틸지주(001430)(-9.38%)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36개, 하락종목은 322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마감)] 7.16포인트(0.32%) 오른 2219.71 마감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2.10.17 15:33:46[코스피(마감)] 7.16포인트(0.32%) 오른 2219.71 마감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4.32%↑)
증권 News봇 2022.10.17 15:20:2217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24p(+0.33%) 상승한 2219.79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4.32%), 종이목재업(+1.50%), 전기전자업(+0.88%)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76%), 서비스업(-1.28%), 전기가스업(-0.3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관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630억, 외국인은 2,390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02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9.73%), 유니온(000910)(+19.7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23.39%), 한미글로벌(053690)(-13.85%), 세아베스틸지주(001430)(-9.3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545개, 하락종목은 32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13%↓)
증권 News봇 2022.10.17 15:00:1917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78p(+0.31%) 상승한 2219.33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4.17%), 종이목재업(+1.06%), 의약품업(+1.01%)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92%), 서비스업(-1.18%), 유통업(-0.2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관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727억, 외국인은 2,320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051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6.06%), 콤텍시스템(031820)(+19.2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23.73%), 한미글로벌(053690)(-15.61%), 세아베스틸지주(001430)(-9.3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515개, 하락종목은 35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07%↑)
증권 News봇 2022.10.17 14:30:1317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23p(+0.24%) 상승한 2217.78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4.13%), 종이목재업(+0.93%), 의약품업(+0.84%)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3.14%), 서비스업(-1.26%), 유통업(-0.4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61:39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4:66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관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1,048억, 외국인은 2,247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30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7.61%), 콤텍시스템(031820)(+20.6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24.69%), 한미글로벌(053690)(-15.61%), 세아베스틸지주(001430)(-9.1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70개, 하락종목은 38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비금속광물업(+3.67%↑)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07%↑)
증권 News봇 2022.10.17 14:01:13오후 2시 0분 현재 비금속광물업이 3.67% 오른 2,480.59p(▲87.82)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전기전자업(+0.86%), 종이목재업(+0.84%) 등도 힘을 보태고 있다. 반면 건설업(-3.35%), 서비스업(-1.38%), 유통업(-0.90%)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비금속광물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54(매도):46(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비금속광물업은 최근 7일 동안 2.09%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2위), 동일 기간 동안 기관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비금속광물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유니온머티리얼(047400)이 +27.99%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유니온(000910)(+20.77%), 포스코케미칼(+6.25%)이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한국석유(-0.47%), 한일현대시멘트(-0.28%), 성신양회(-0.26%)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2,021억 순매수를 기록 중이며, 전기전자업과 비금속광물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02%↑)
증권 News봇 2022.10.17 14:00:1317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2p(+0.05%) 상승한 2213.57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67%), 종이목재업(+0.82%), 전기전자업(+0.77%)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3.32%), 서비스업(-1.36%), 전기가스업(-0.7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64:3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2:68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관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1,409억, 외국인은 2,021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448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7.99%), 유니온(000910)(+20.9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23.65%), 한미글로벌(053690)(-16.40%), 세아베스틸지주(001430)(-9.1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04개, 하락종목은 45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시황] 코스피, 외국인 매수세 전환에 2200선 회복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2.10.17 13:38:39코스피지수가 외국인의 장중 매수세 전환에 2200선을 회복했다.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가 폭락한 영향으로 1%대 하락 출발했지만 낙폭을 줄이고 있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역대급 ‘먹통’ 사태가 발생한 카카오(035720) 그룹 카카오는 5%대 낙폭을 보이고 있다. 17일 오후 1시 24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34포인트(0.15%) 하락한 2209.21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25.38포인트(1.15%) 내린 2187.17 출발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들과 외국인투자가들은 각각 1685억 원, 1736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반면 기관투자가들이 3451억 원 순매도하며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최근 미국 증시가 폭락한 영향이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1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03.89포인트(1.34%) 하락한 2만 9634.8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6.84포인트(2.37%) 떨어진 3583.07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27.76포인트(3.08%) 밀린 1만 321.39로 장을 마감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영국 정부에 대한 신뢰 부족,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소매판매 둔화 등 경기 침체 이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미 증시가 전 거래일 하락한 점은 한국 증시에 부담이 된다"며 "특히 달러화 강세로 원화 약세가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은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한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4.5% 하락과 전기차 및 2차 전지 업종이 부진한 것도 한국 증시에서 관련주의 부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도 부담이다"고 밝혔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들은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0.84%), LG화학(051910)(-1.40%), 기아(000270)(-0.43%), 셀트리온(068270)(-2.87%)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카카오(-5.45%)는 급락했다. 삼성전자(005930)(0.89%)와 LG에너지솔루션(373220)(0.62%),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36%), 삼성SDI(006400)(0.17%), 네이버(NAVER(035420))(0.60%)는 소폭 상승 중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날보다 1.22포인트(0.18%) 내린 6677.02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 대비 10.63포인트(1.57%) 내린 667.61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947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637억 원, 236억 원 순매도 중이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3.41%↓)
증권 News봇 2022.10.17 13:30:1317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45p(-0.29%) 하락한 2206.10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3.41%), 서비스업(-1.70%), 유통업(-1.11%)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64%), 종이목재업(+0.41%), 전기전자업(+0.3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기관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개인은 1,718억, 외국인은 1,811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55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7.41%), 유니온(000910)(+21.1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23.82%), 한미글로벌(053690)(-15.92%), 세아베스틸지주(001430)(-9.9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1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4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26%↑)
증권 News봇 2022.10.17 13:00:0917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13p(+0.01%) 상승한 2212.68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3.51%), 전기전자업(+0.76%), 종이목재업(+0.72%)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82%), 서비스업(-1.56%), 전기가스업(-1.0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업은 30:70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외국인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관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1,670억, 외국인은 1,616억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3,32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인디에프(014990)가 29.98% 오른 698원을 기록 중이고, 유니온머티리얼(047400)(+27.41%), 유니온(000910)(+19.9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화천기계(010660)(-15.79%), 한미글로벌(053690)(-14.97%), 세아베스틸지주(001430)(-8.5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06개, 하락종목은 44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