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69%↓)
증권 News봇 2022.10.13 12:00:0713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4.88p(-1.13%) 하락한 2177.59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07%), 전기가스업(-3.96%), 건설업(-3.27%)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0.53%), 통신업(+0.0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학업은 53:4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521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48억, 기관은 934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우(008355)가 29.78% 오른 26,800원을 기록 중이고, 금양(001570)(+27.08%), 남선알미늄(008350)(+16.9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인바이오젠(101140)(-10.28%), 한창(005110)(-8.91%), 신송홀딩스(006880)(-8.6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1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8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58%↓)
증권 News봇 2022.10.13 11:30:0713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5.73p(-1.17%) 하락한 2176.74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31%), 전기가스업(-3.88%), 건설업(-3.44%)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0.5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46:5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64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737억, 기관은 96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우(008355)가 29.78% 오른 26,800원을 기록 중이고, 금양(001570)(+19.79%), 남선알미늄(008350)(+17.8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인바이오젠(101140)(-10.03%), 한창(005110)(-8.91%), 우신시스템(017370)(-8.8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25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8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35:6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36%↓)
증권 News봇 2022.10.13 11:00:0413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83p(-0.85%) 하락한 2183.64로,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3.79%), 기계업(-3.65%), 의료정밀업(-2.93%)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0.71%), 통신업(+0.2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18:8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학업은 43:5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51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569억, 기관은 95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우(008355)가 29.78% 오른 26,800원을 기록 중이고, 남선알미늄(008350)(+20.47%), 금양(001570)(+18.7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한창(005110)(-8.80%), 인바이오젠(101140)(-8.61%), 고려산업(002140)(-8.3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808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9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35:6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26%↓)
증권 News봇 2022.10.13 10:30:0513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7.36p(-0.79%) 하락한 2185.11로,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3.49%), 전기가스업(-3.21%), 서비스업(-2.69%)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0.74%), 통신업(+0.4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16:8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융업은 41:59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53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04억, 기관은 96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우(008355)가 29.78% 오른 26,800원을 기록 중이고, 남선알미늄(008350)(+23.98%), 금양(001570)(+15.6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토니모리(214420)(-9.22%), 화천기계(010660)(-9.14%), 인바이오젠(101140)(-8.6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79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9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기계업(-3.19%↓)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62%↓)
증권 News봇 2022.10.13 10:00:08오전 10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5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기계업(-3.19%), 전기가스업(-2.92%), 의료정밀업(-2.66%)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철강금속업(+0.65%), 통신업(+0.34%), 전기전자업(+0.10%)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기계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33(매도):6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기계업은 최근 7일 동안 -8.26%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17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기계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참엔지니어링이 -0.87%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대림통상(-0.32%), 기신정기(-0.30%)가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이엔플러스(+4.19%), 한온시스템(+0.14%)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554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58%↓)
증권 News봇 2022.10.13 10:00:0413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66p(-0.62%) 하락한 2188.81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3.19%), 전기가스업(-2.92%), 의료정밀업(-2.66%)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0.65%), 통신업(+0.34%), 전기전자업(+0.1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철강금속업은 57:43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36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554억, 기관은 83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늄(008350)이 26.32% 오른 2,160원을 기록 중이고, 남선알미우(008355)(+21.07%), 금양(001570)(+16.3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산업(002140)(-8.87%), 인바이오젠(101140)(-8.35%), 쏘카(403550)(-7.4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789개, 상승종목은 10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꽁꽁 얼어붙은 코스닥…연저점 뚫으며 650대로 ‘털썩’
증권 국내증시 2022.10.13 09:54:38코스닥이 연저점을 새로 썼다.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들도 힘을 쓰지 못하면서 급락 중이다. 13일 오전 9시 52분 코스닥은 전날보다 14.94포인트(2.22%) 내린 656.73을 나타내고 있다. 장중 코스닥은 656.70까지 지수가 밀리면서 지난달 30일 기록한 연저점(661.65) 기록을 새로 썼다.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펄어비스(263750)(-10.33%), 카카오게임즈(293490)(-5.66%) 등 게임주들이 급락 중이며 HLB(028300)(-2.99%) 등도 낙폭을 키워가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하락을 주도 중이다. 이들은 현 시점 기준 각각 868억 원, 277억 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이 저점매수에 나서면서 1119억 원 규모를 순매수 중이지만 하방 압력을 낮추지 못하고 있다. -
[오전시황] 美 9월 CPI 앞두고 웅크린 코스피…2190선 상회
증권 국내증시 2022.10.13 09:40:35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가운데 코스피가 소폭 하락하면서 관망세가 짙어지는 모양새다. 13일 오전 9시 37분 코스피는 전날보다 11.15포인트(0.51%) 내린 2191.32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4.18포인트(0.19%) 내린 2198.29에 출발한 뒤 낙폭을 조금씩 키워가는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순매도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210억 원, 785억 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992억 원을 순매수 중이다. 증권가는 앞서 미국 증시 역시 9월 CPI 결과를 앞두고 관망세를 보인 만큼 국내 증시도 경계 심리가 유입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앞서 전날 밤 발표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면서 인플레이션 하향 추세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충족되지 못한 바 있다. 특히 음식료 등 전월 대비 하락 추세를 나타냈던 부문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기대감이 후퇴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본적인 성향은 데이터 의존적인 만큼 시장 참여자들 입장에서도 9월 CPI 및 이후의 지표 결과에 따라 높게 고정된 긴축 강도 및 비관론으로 점철된 증시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을 열어두고 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권 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네이버(-3.70%)와 카카오(035720)(-4.91%)가 긴축 강화 분위기가 짙어지면서 급락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1.04%), SK하이닉스(000660)(0.21%), 기아(000270)(0.73%), 셀트리온(068270)(0.61%) 등도 소폭 상승하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날보다 11.82포인트(1.76%) 내린 659.85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 대비 2.31포인트(0.34%) 내린 669.36에 출발한 뒤 낙폭을 키워가는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들이 757억 원, 236억 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반면 개인은 978억 원을 사들이는 중이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33:6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1.13%↓)
증권 News봇 2022.10.13 09:30:0213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93p(-0.41%) 하락한 2193.54로, 33(매도):6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65%), 전기가스업(-2.14%), 기계업(-1.93%)이며, 강세업종은 철강금속업(+1.22%), 통신업(+0.17%), 전기전자업(+0.1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운수창고업은 46:5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03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246억, 기관은 79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남선알미늄(008350)이 14.91% 오른 1,965원을 기록 중이고, 금양(001570)(+13.89%), 에스엠벡셀(010580)(+13.8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려산업(002140)(-7.45%), 인바이오젠(101140)(-7.07%), 한국석유(004090)(-6.4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93개, 상승종목은 15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2198.29..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하락 출발 (▼4.18, -0.19%)
증권 News봇 2022.10.13 09:05:02전일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하락 전환했다.13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18p(-0.19%) 내린 2198.29로, 38(매도):6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5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81억, 기관은 17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복업(-1.03%), 전기가스업(-0.62%), 서비스업(-0.42%)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통신업(+0.17%), 철강금속업(+0.16%), 의료정밀업(+0.15%)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0.72% 내린 5만 540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6.71%), 플레이그램(009810)(-4.47%), 한국석유(004090)(-4.33%)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금양(001570)(+19.44%), 남선알미늄(008350)(+9.94%), 조일알미늄(018470)(+9.57%)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591개, 상승종목은 19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개장)] 4.18포인트(0.19%) 내린 2198.29 출발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2.10.13 09:03:18[코스피(개장)] 4.18포인트(0.19%) 내린 2198.29 출발 -
불황에도 탄탄…꾸준히 오르는 담배·편의점주
증권 국내증시 2022.10.12 18:50:31초긴축 시대에 경제 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지만 담배와 편의점·제약 등 생활필수재 관련주는 꾸준히 오르고 있다. 금융투자 업계는 경기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고환율·고물가 수혜까지 예상되는 KT&G·BGF리테일(282330) 등을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T&G는 최근 한 달(9월 1~10월 12일) 동안 4.57% 상승했다. 올 들어서는 10% 올랐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최근 한 달 6.85%, 올 들어 17.87% 상승했다. 코스피지수가 지난 한 달간 약 7%, 올 들어 26% 넘게 빠진 것과 대조된다. KT&G는 대표적인 환율 수혜주로 주목 받으며 상승 궤도를 타기 시작했다. 최근 수출 물량이 늘어난 데다 달러 강세로 수출 담배 판가가 상승하며 실적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KT&G의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5473억 원, 4011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당분간 강달러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돼 KT&G의 수혜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편의점 역시 불황에 강한 업종으로 주목 받는다. 편의점은 가공식품 매출 비중이 높아 경기 민감도가 낮고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른 수혜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외식 물가 상승의 대체재 성격으로 소비자들의 편의점 식품 구매 빈도가 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편의점 업종은 유통 채널 중 객단가(약 7000원)가 가장 낮고 지근거리 쇼핑 채널, 24시간 영업이라는 특징 때문에 가격 민감도가 높지 않다”며 “소비 둔화 우려도 히트 상품 출시, 온라인과의 연계 등을 통한 편의점 객수 회복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BGF리테일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한 858억 원으로 추정됐다. GS리테일(007070)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753억 원(-26.6%)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한다. 국내 소비경기 둔화가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4분기에도 BGF리테일의 영업이익은 596억 원(20.1%), GS리테일은 472억 원(83.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편의점주 중에서는 BGF리테일이 낫다는 평가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GS리테일은 리오프닝과 가공식품 물가 상승에 따른 수혜에 출점 수요 증가 효과가 더해지면서 중장기적으로 탄탄한 실적 개선을 보여줄 것”이라며 “유통 업종 최선호주로 BGF리테일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GS리테일에 대해 “4분기부터 주력 부문인 편의점 및 슈퍼마켓 업황 회복과 e커머스 사업 구조 조정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이라며 “추가 하락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이외 경기 방어주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제약주도 부각되고 있다. 10월 들어 신신제약(002800)(14.83%), 안국약품(001540)(5.28%), 동화약품(000020)(5.57%) 등은 큰 폭의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 이동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제약사들의 3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코로나19 재확산에 기인한 감기약 수요 확대에 따른 역기저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병원 내원객 수 증가세가 지속하면서 전문의약품(ETC) 및 일반의약품(OTC) 매출은 견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12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0.12 18:11:57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12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12 18:11:01 -
IPO 관심없고 주가는 33% 하락…헬스케어株 '비실비실' [시그널]
증권 IB&Deal 2022.10.12 18:06:23헬스케어 업체들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계속 힘을 쓰지 못하는 가운데 금리 상승이 지속돼 투자자들의 관심이 얼어붙고 있다. 헬스케어 기업은 대표적 ‘성장주’로 분류되는데 최근 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져 투자 심리 반전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의료기기 관리 솔루션 제공 업체 플라즈맵은 11일 최종 공모가를 7000원으로 공시했다. 이는 기존에 제시한 희망가(9000~1만 1000원) 하단보다 22% 낮은 금액이다. 5~6일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플라즈맵이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39.78 대 1의 경쟁률로 부진한 영향이 컸다. 최근 공모 절차를 완료한 신약 개발 업체 샤페론도 IPO 과정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을 거뒀다. 지난달 29~30일 수요예측에서 26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공모가를 희망가 하단보다 39% 낮은 5000원에 정했다. 공모가를 기존 눈높이 대비 대폭 낮췄지만 샤페론은 일반 청약에서도 9.4 대 1에 불과한 경쟁률을 보이며 흥행에 실패했다. 최근 증시 침체로 IPO 시장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특히 헬스케어 업종의 부진이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상장 절차를 마친 헬스케어 업체들은 총 9곳인데 이 중 6곳이 일반 청약에서 10 대 1에도 못 미치는 경쟁률을 나타냈다. 국내 헬스케어 기업 중 최초로 기술 평가 기관 두 곳에서 최고등급(AA)을 받은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업체 루닛(328130)은 일반 청약에서 8.9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500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해 주목을 받았던 신약 개발 업체 에이프릴바이오(397030)도 4.76 대 1의 경쟁률로 부진했다. 헬스케어 부문 상장사들의 주가 침체도 뚜렷하다. 코스피지수는 연초 대비 26% 하락했는데 같은 기간 KRX 헬스케어 지수는 33% 떨어졌다. 바이오 기업의 증시 소외가 가속화하는 것은 최근 금리 급등세와 관련이 깊다. 헬스케어 업체 상당수는 당장 수익을 내지 못하는 적자 기업이라 미래 현금 흐름 기대치에 따라 기업가치를 인정받는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면 기대 현금 흐름에 적용되는 할인율도 커져 그만큼 현재 몸값이 깎이게 된다. 루닛은 올해 상반기 27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샤페론도 61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다만 ‘실적 모멘텀’이 뚜렷한 바이오 벤처는 IPO 과정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다. 수요예측에서 1556.04 대 1의 경쟁률을 보여 공모가를 희망가 상단인 1만 3000원에 결정한 알피바이오(314140)가 대표적이다. 알피바이오는 연질 캡슐 제조 업체로 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과 함께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46% 늘어난 67억 원을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알피바이오와 같이 실적이 나오는 회사는 긍정적인 수요가 있지만 신약 개발 회사에는 낮은 밸류에도 불구하고 회의적인 시선이 지속 중”이라고 진단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