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금속광물업(+1.68%↑)이 강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상승 흐름(+0.20%↑)
증권 News봇 2022.10.07 12:00:15오후 1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9개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비금속광물업(+1.68%), 화학업(+0.88%), 전기전자업(+0.84%) 등이 상승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서비스업(-1.93%), 섬유의복업(-1.04%), 운수장비업(-0.97%)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상승률이 가장 높은 비금속광물업은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비금속광물업은 최근 7일 동안 1.14% 상승했으며(기간상승률 12위), 동일 기간 동안 개인의 매수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비금속광물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아세아시멘트가 +5.11%로 가장 강한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포스코케미칼(+2.84%), 유니온머티리얼(+2.55%)이 뒤를 받치고 있다. 반면 한국석유(-0.42%), 태경비케이(-0.34%), 한국내화(-0.18%) 등은 하락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794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며, 종이목재업과 섬유의복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금융업(0.72%↑)
증권 News봇 2022.10.07 12:00:087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45p(+0.20%) 상승한 2242.31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68%), 화학업(+0.88%), 전기전자업(+0.84%)이며, 약세업종은 서비스업(-1.93%), 섬유의복업(-1.04%), 운수장비업(-0.9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금융업이 53:47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33:67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1,611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794억, 기관은 834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이 29.83% 오른 10,750원을 기록 중이고, 대우부품(009320)(+21.52%), 흥국화재2우B(000547)(+20.6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0.35%), 카카오뱅크(323410)(-6.91%),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5.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48개, 하락종목은 41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14%↓)
증권 News봇 2022.10.07 11:30:097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1p(-0.05%) 하락한 2236.65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19%), 의료정밀업(-1.52%), 기계업(-1.18%)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82%), 화학업(+0.70%), 전기전자업(+0.5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32:68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융업은 50:5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79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829억, 기관은 96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이 29.83% 오른 10,750원을 기록 중이고, 대우부품(009320)(+22.42%), SK네트웍스우(001745)(+21.2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0.78%), 카카오뱅크(323410)(-7.65%),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6.7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6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9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03%↓)
증권 News봇 2022.10.07 11:00:057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19p(-0.10%) 하락한 2235.67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45%), 운수장비업(-1.40%), 의료정밀업(-1.25%)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26%), 전기전자업(+0.57%), 화학업(+0.5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54:4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85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977억, 기관은 86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이 29.83% 오른 10,750원을 기록 중이고, 대우부품(009320)(+21.21%), 한국주강(025890)(+18.2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0.99%), 카카오뱅크(323410)(-8.15%), DB하이텍1우(000995)(-7.4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2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6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약품업(1.21%↓)
증권 News봇 2022.10.07 10:30:067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69p(-0.30%) 하락한 2231.17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61%), 섬유의복업(-1.53%), 운수장비업(-1.28%)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0.68%), 전기전자업(+0.51%), 금융업(+0.1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32:68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55:4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75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076억, 기관은 65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이 29.83% 오른 10,750원을 기록 중이고, 대우부품(009320)(+20.30%), 삼성출판사(068290)(+14.5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1.10%), 카카오뱅크(323410)(-7.90%),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7.4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52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9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서비스업(-2.54%↓)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65%↓)
증권 News봇 2022.10.07 10:00:09오전 10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6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서비스업(-2.54%), 운수장비업(-1.48%), 섬유의복업(-1.34%)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비금속광물업(+0.56%), 의료정밀업(+0.03%)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서비스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서비스업은 최근 7일 동안 -6.03%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19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서비스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이리츠코크렙이 -0.19%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미래에셋글로벌리츠(-0.12%), 대성홀딩스(-0.11%)가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삼성출판사(068290)(+17.81%), 한미글로벌(+6.86%), 쏘카(+4.15%)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1,356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며, 종이목재업과 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철강금속업(0.81%↓)
증권 News봇 2022.10.07 10:00:047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47p(-0.65%) 하락한 2223.39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2.54%), 운수장비업(-1.48%), 섬유의복업(-1.34%)이며, 강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0.56%), 의료정밀업(+0.0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철강금속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61:39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60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356억, 기관은 24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다이나믹디자인(145210)이 29.83% 오른 10,750원을 기록 중이고, 대우부품(009320)(+24.24%), 삼성출판사(068290)(+17.8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0.67%), 카카오뱅크(323410)(-7.65%), 하이브(352820)(-7.2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95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4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시황] 외인·기관 매도에 코스피 하락…삼전 5거래일만 하락
증권 국내증시 2022.10.07 09:42:20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마저 '쇼크' 수준의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 7일 오전 9시 3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9.14포인트(0.41%) 내린 2228.72에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지수는 20.02포인트(0.89%) 내린 2217.84로 출발, 장중 한때 2215.08로 떨어졌다. 외국인은 1169억원, 기관은 98억원어치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1269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삼성전자는 0.71% 하락했으며 SK하이닉스(000660)는 0.33% 올랐다. 삼성전자는 5거래일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날 개장 전 올해 3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1.73% 감소한 10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예상치를 밑돈 영향으로 풀이된다. 카카오(035720) 관련주들이 실적 실망감으로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 카카오는 4.74% 내렸으며 카카오뱅크(323410)(-6.17%), 카카오페이(377300)(-10.67%) 등은 신저가까지 추락하고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의 약세 속에서 미국 고용지표 경계심리 등이 주중 상승에 따른 단기 차익실현 물량을 소화하면서 눈치 보기 장세에 들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98포인트(0.56%) 내린 702.03을 기록 중이다. 지수는 5.30포인트(0.75%) 내린 700.71로 출발, 장중 한때 700선이 붕괴됐다. 기관은 414억원, 외국인은 638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1086억원 순매수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22%↓)
증권 News봇 2022.10.07 09:30:027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25p(-0.50%) 하락한 2226.61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서비스업(-1.50%), 운수장비업(-0.96%), 운수창고업(-0.65%)이며, 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0.40%), 전기가스업(+0.06%)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음식료품업은 60:4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26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88억, 기관은 8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대우부품(009320)이 30.00% 오른 2,145원을 기록 중이고, 다이나믹디자인(145210)(+29.83%), SK네트웍스우(001745)(+20.0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카카오페이(377300)(-10.35%), 카카오뱅크(323410)(-6.67%), 흥국화재2우B(000547)(-5.9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4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28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2217.84..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하락 출발 (▼20.02, -0.89%)
증권 News봇 2022.10.07 09:05:02전일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하락 전환했다.7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0.02p(-0.89%) 내린 2217.84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503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356억, 기관은 15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복업(-1.13%), 기계업(-1.12%), 전기전자업(-1.05%)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0.71% 내린 5만 590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흥국화재2우B(000547)(-5.92%), DB하이텍1우(000995)(-5.44%), 화천기계(010660)(-4.85%)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다이나믹디자인(145210)(+29.83%), 대우부품(009320)(+21.52%), SK네트웍스우(001745)(+20.03%)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58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19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개장)] 20.02포인트(0.89%) 내린 2217.84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2.10.07 09:03:56[코스피(개장)] 20.02포인트(0.89%) 내린 2217.84 출발 -
'베트코인' 아시나요…500% 폭등, 너도나도 '폭탄 돌리기'
증권 국내증시 2022.10.06 18:33:16국내 증시에 상장된 베트남 부동산 개발 펀드의 주가가 8거래일 만에 500%가량 급등했다. 올해 말께 청산 예정인 이 펀드의 순자산은 약 100억 원인데 시가총액은 500억 원을 넘어서고 있어 ‘폭탄 돌리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베트남개발1(096300)은 전일 대비 29.84% 급등한 396원에 거래를 마쳤다. 베트남개발은 26일 시초가 68원에 거래를 시작한 후 급등하기 시작해 최근 8거래일(9월 26일~10월 6일) 동안 가격이 무려 482.35% 치솟았다. 거래 대금도 폭등했다. 6일 거래 대금은 약 489억 원을 기록하며 9월 초(약 4000만 원) 대비 1200배 넘게 뛰어올랐다. 지난달 30일에는 하루 거래 대금만 1114억 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베트코인(베트남 코인)’으로 불리고 있다. 베트남개발1은 베트남 현지 부동산 등에 투자해 수익금을 나눠주는 뮤추얼펀드로 최근 베트남에서 논의 중인 주택법 개정안의 수혜주로 소문나며 급등하기 시작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베트남 건설부는 아파트 소유 기한을 건물의 설계수명에 따라 50~70년으로 제한하고 소유 기한이 끝난 아파트에 대해 안전진단 결과 안전하지 않다고 평가되면 비용을 부담해 재건축을 할 수 있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아직 관련 법안은 논의 중이며 확정된 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베트남개발1을 운용 중인 한국투자리얼에셋자산운용 관계자 역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으나 베트남 주택법 관련해서는 들어본 적이 없다”며 “베트남개발1은 이미 청산 과정에 있는 펀드이기 때문에 관련 법이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그었다. 베트남개발1이 자산 대비 고평가돼 있는 것 또한 문제다. 베트남개발1은 보유했던 △카프리 서비스 레지던스 △한비엣 타워 △디이스턴 아파트를 모두 매각해 올해 8월 기준 306억 원의 순자산을 남겼다. 9월 28일 한비엣 타워의 매각 대금 등으로부터 발생한 206억 원을 이미 현금 분배했기 때문에 현재는 약 100억 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6일 기준 시가총액은 무려 545억 원에 해당한다. 실제 자산보다 시총이 445억 원 높은 셈이다. 베트남개발1은 연말 이후 상환에 나설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최근 자산운용 보고서에 따르면 한비엣 타워 매각 관련 펀드의 보증 기간이 종료되는 올해 12월 25일 이후 펀드를 상환하겠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현재 베트남개발1이 가진 현금 100억 원을 상장 주식 수(1억 3768주)로 나누면 주주들은 약 72원 63전을 받게 되는데 6월 종가 대비 현저히 낮아 투자에 늦게 뛰어든 개미들의 경우 손해를 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 외에도 미래아이앤지(007120)(40.89%), KR모터스(000040)(31.72%), 서울리거(043710)(24.21%) 등 동전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들 기업은 코스피지수가 고꾸라지는 약세장에서도 모두 24%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때 미래아이앤지는 출자 법인 해산 사유를 이유로, 서울리거는 러시아의 핵 사용 언급에 따라 상승했으나 이보다는 급등주로 소문나며 개미들의 투자가 몰린 것이 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파악된다. 다만 별다른 호재 없이 급등한 만큼 주가도 쉽게 떨어질 수 있어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2015년 동전주였던 태양금속우(004105)는 급등하며 1만 5000원 선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내리막길을 걸으며 최근에는 2000원 선까지 하락했다. 보루네오 역시 동전주 전락 후 급반등했다가 다시 추락하며 결국 상장폐지된 바 있다. 한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동전주가 왜 동전주가 됐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통상 동전주는 거래량도 적기 때문에 끝물에 들어가면 큰 손해를 입을 수 있어 투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코스닥 투자주체별 매매동향(10월 6일-최종치)
증권 국내증시 2022.10.06 18:12:11 -
[데이터로 보는 증시]코스피 기관·외국인·개인 순매수·순매도 상위종목(10월 6일-최종치)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2.10.06 18:10:58 -
국감 도마 오른 빗썸 지배구조 뭐길래…김주현 위원장 "처음 봐"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2.10.06 17:12:166일 국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코리아(빗썸) 운영사 빗썸홀딩스의 지배구조가 도마에 올랐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이정훈 전 빗썸 의장에 만장일치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이날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감사장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빗썸홀딩스 지배구조는 크게 ‘이니셜투자조합’과 ‘SG브레인테크놀로지’로 나뉘어 있다. 이니셜투자조합은 순환출자를 통해 코스피 상장사 인바이오젠, 코스닥 상장사 버킷스튜디오 및 비덴트를 실질적으로 거느린 회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이니셜1호투자조합은 버킷스튜디오 지분을 총 19.93% 보유한 최대주주다. 버킷스튜디오는 인바이오젠 지분을 총 45.26% 보유하고 있다. 인바이오젠은 비덴트 지분을 19.85% 가진 비덴트 최대주주다. ‘이니셜1호투자조합-버킷스튜디오-인바이오젠-비덴트’로 이뤄진 셈인데, 비덴트는 이니셜1호투자조합에 이어 버킷스튜디오 지분을 6.50% 보유한 2대주주이자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이다. 아울러 이니셜1·2호투자조합, 버킷스튜디오, 인바이오젠 대표는 모두 강지연 씨다. 이때 비덴트는 빗썸홀딩스와 빗썸코리아 지분을 각각 34.22%, 10.22%씩 보유한 지배기업이다. 이뿐 아니라 비덴트는 빗썸홀딩스 지분을 29.98%나 보유한 ‘DAA’의 지분도 3.30%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빗썸홀딩스의 한 편에 강지연 대표의 ‘이니셜’이 있다면 또 다른 편에는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 의장 측이 있다. 이 전 의장과 김병건 BK그룹 회장이 각각 49.9%씩 지분을 보유한 ‘SG브레인테크놀로지(前 컨설팅 SG BK)’를 통해서다. SG브레인테크롤로지가 해외법인 BTHMB홀딩스를 세우고 BTHMB홀딩스가 빗썸홀딩스 및 DAA 지분을 각각 10.70%, 51.83%씩 보유하면서다. 다만 이 전 의장과 김 회장이 서로를 상대로 각각 싱가포르 법원, 국내 법원에 소를 제기하면서 양측은 3년째 소송전을 벌이는 상태다. 수많은 관계자가 얽힌 복잡한 지배구조에 정치권은 불법 자금 동원 의혹도 제기한 상태다. 김 의원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니셜투자조합의 경우 원래 휴대폰 매장에 무선이어폰을 납품하는 자본금 2억 원 상당의 작은 회사였는데 2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해 운용했다”며 “또, 빗썸홀딩스의 실질 소유주로 알려진 이 전 의장은 사기죄로 고소돼 검찰에 기소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편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니셜투자조합의 출자 능력이나 이 같은 지배구조 하의 재무상태가 건전하다고 보느냐. 처음 보느냐’는 김 의원의 질문에 “(처음 보는 것이다.) 빗썸 지배구조는 사실 깊게 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