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시황] 외인·기관 '팔자'에 코스피 2370선 약보합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3:56:17코스피지수가 장중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연준)의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전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순매도세를 이어가며 코스피 지수 하락을 이끌고 있다. 12일 오후 1시 45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39포인트(0.56%) 내린 2375.42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5.46포인트(0.65%) 내린 2373.58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은 468억 원 규모 순매수 중이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529억 원, 98억 원씩 내다팔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05930)(-1.49%), LG에너지솔루션(373220)(-1.94%), SK하이닉스(000660)(-0.61%),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69%), 삼성전자우(005935)(-0.73%), NAVER(035420)(-0.77%)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삼성SDI(006400)(0.62%), LG화학(051910)(0.80%), 현대차(005380)(0.31%), 기아(0.15%)는 강세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FOMC를 앞두고 주요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며 연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시장이 적극적인 대응보다 한발 물러선 관망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여전한데다 미국 물가 하방 압력이 뚜렷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1월 소비자물가 결과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 의사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라며 "그러나 소비자물가 이벤트 이후 기대했던 만큼 인플레이션의 레벨다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전망이 확산될 시, 최종금리 레벨 추가 상향 등을 포함한 내년도 연준의 긴축 경로가 재수정될 것이라는 불안심리가 새롭게 생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윤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 약세 영향과 물가, 통화정책 관련 중요 이벤트 관망심리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이라고 말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34포인트(0.46%) 내린 716.20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2.61포인트(0.36%) 내린 716.88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261억 원, 96억 원씩 사들이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171억 원 규모 순매도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 중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46%), 에코프로비엠(247540)(-0.59%), 에코프로(086520)(-0.18%), 셀트리온제약(068760)(-1.22%), 리노공업(058470)(-3.54%)이 하락세다. 반면 엘앤에프(066970)(0.52%), 카카오게임즈(293490)(1.17%), HLB(028300)(1.07%), 펄어비스(263750)(4.70%), 스튜디오드래곤(253450)(7.10%)은 상승세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3.04%↓)
증권 News봇 2022.12.12 13:30:0712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41p(-0.56%) 하락한 2375.63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3.04%), 의료정밀업(-3.03%), 섬유의복업(-2.45%)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59%), 운수장비업(+0.32%), 금융업(+0.2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1:39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56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548억, 기관은 16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19.59% 오른 2,595원을 기록 중이고, 국제약품(002720)(+13.21%), 제일파마홀딩스(002620)(+12.9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18%), 제주은행(006220)(-7.58%), 한국수출포장(002200)(-6.3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12개, 상승종목은 34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95%↓)
증권 News봇 2022.12.12 13:00:0812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36p(-0.64%) 하락한 2373.68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3.06%), 섬유의복업(-2.19%), 의료정밀업(-1.95%)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41%), 금융업(+0.27%), 운수장비업(+0.1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57:43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2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52억, 기관은 19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15.67% 오른 2,510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3.43%), 국제약품(002720)(+11.8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92%), 제주은행(006220)(-7.49%), 코오롱글로벌(003070)(-6.1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1개, 상승종목은 35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94%↓)
증권 News봇 2022.12.12 12:30:0812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91p(-0.71%) 하락한 2372.13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94%), 섬유의복업(-2.20%), 비금속광물업(-1.84%)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62%), 금융업(+0.12%), 운수장비업(+0.1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0:4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80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97억, 기관은 22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15.44% 오른 2,505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2.94%), 국제약품(002720)(+12.8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18%), 제주은행(006220)(-7.30%), 세아제강지주(003030)(-6.1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10개, 상승종목은 34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2373.23, 하락세(▼15.81, -0.66%) 지속
증권 News봇 2022.12.12 12:00:27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장 중반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12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81p(-0.66%) 내린 2373.23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4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75억, 기관은 174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2.99%), 섬유의복업(-2.16%), 비금속광물업(-1.84%)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계업(+0.67%), 종이목재업(+0.20%), 운수장비업(+0.19%)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1.49% 내린 5만 950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동국제강(001230)(-8.55%), 제주은행(006220)(-7.39%), 세아제강지주(003030)(-6.13%)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조일알미늄(018470)(+18.43%), 제일파마홀딩스(002620)(+15.92%), 국제약품(002720)(+13.56%)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494개, 상승종목은 35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건설업(-2.97%↓)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68%↓)
증권 News봇 2022.12.12 12:00:15오후 12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3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2.97%), 섬유의복업(-1.98%), 비금속광물업(-1.84%)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기계업(+0.58%), 금융업(+0.21%), 종이목재업(+0.19%)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건설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30(매도):7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건설업은 최근 7일 동안 -6.39%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18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건설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HDC랩스가 -0.25%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DL이앤씨우(-0.19%), 남광토건(-0.10%)이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우진아이엔에스(+0.93%), 수산인더스트리(+0.44%), 동아지질(+0.37%)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675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며, 기계업과 화학업을 주로 매수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97%↓)
증권 News봇 2022.12.12 12:00:0812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17p(-0.68%) 하락한 2372.87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97%), 섬유의복업(-1.98%), 비금속광물업(-1.84%)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58%), 금융업(+0.21%), 종이목재업(+0.1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3:3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4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75억, 기관은 174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조일알미늄(018470)이 18.66% 오른 2,575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6.42%), 국제약품(002720)(+13.0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55%), 제주은행(006220)(-7.49%), 세아제강지주(003030)(-5.8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97개, 상승종목은 35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3.01%↓)
증권 News봇 2022.12.12 11:30:0512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12p(-0.63%) 하락한 2373.92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3.01%), 섬유의복업(-1.57%), 비금속광물업(-1.52%)이며, 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0.78%), 기계업(+0.50%), 종이목재업(+0.2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33:67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5:3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81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703억, 기관은 19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국제약품(002720)이 15.18% 오른 4,970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4.43%), 영진약품(003520)(+13.0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92%), 제주은행(006220)(-7.39%), F&F홀딩스(007700)(-5.7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0개, 상승종목은 35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76%↓)
증권 News봇 2022.12.12 11:00:0612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49p(-0.56%) 하락한 2375.55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76%), 섬유의복업(-1.87%), 비금속광물업(-1.50%)이며, 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1.14%), 기계업(+0.95%), 운수장비업(+0.2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2:38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1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59억, 기관은 11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제일파마홀딩스(002620)가 14.43% 오른 11,500원을 기록 중이고, 국제약품(002720)(+13.09%), 영진약품(003520)(+11.0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55%), 동부건설우(005965)(-7.34%), 제주은행(006220)(-6.1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83개, 상승종목은 3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63%↓)
증권 News봇 2022.12.12 10:30:0312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96p(-0.63%) 하락한 2374.08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63%), 섬유의복업(-2.10%), 비금속광물업(-1.54%)이며, 강세업종은 기계업(+0.74%), 의료정밀업(+0.29%), 운수장비업(+0.1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1:39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85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661억, 기관은 22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제일파마홀딩스(002620)가 15.92% 오른 11,650원을 기록 중이고, 국제약품(002720)(+12.63%), 영진약품(003520)(+12.4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18%), 동부건설우(005965)(-6.36%), 코오롱글로벌우(003075)(-5.7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24개, 상승종목은 31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시황] 美 FOMC 앞두고 관망세…코스피 2370선 약세
증권 국내증시 2022.12.12 10:03:27코스피지수가 장 초반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연준)의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전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800억 원이 넘는 물량을 내던지며 코스피 지수 하락을 이끌고 있다. 12일 오전 9시 41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89포인트(0.62%) 내린 2373.99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5.46포인트(0.65%) 내린 2373.58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은 766억 원, 65억 원씩 순매수 중이다. 반면 외국인은 838억 원 규모 내다팔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위 종목 중에서는 LG화학(051910)(0.8%)이 강세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1.3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60%), 삼성전자우(005935)(-1.10%), 삼성SDI(006400)(-0.31%), NAVER(035420)(-1.54%)는 하락세다. 4분기 부진한 실적이 전망되는 국내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005930)(-1.32%)와 SK하이닉스(000660)(-1.47%)도 동반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FOMC를 앞두고 주요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며 연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시장이 적극적인 대응보다 한발 물러선 관망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여전한데다 미국 물가 하방 압력이 뚜렷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1월 소비자물가 결과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 의사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라며 "그러나 소비자물가 이벤트 이후 기대했던 만큼 인플레이션의 레벨다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전망이 확산될 시, 최종금리 레벨 추가 상향 등을 포함한 내년도 연준의 긴축 경로가 재수정될 것이라는 불안심리가 새롭게 생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59포인트(0.36%) 내린 716.92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2.61포인트(0.36%) 내린 716.88에 출발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은 449억 원, 19억 원씩 사들이고 있다. 반면 외국인은 375억 원어치 순매도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들 중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31%), 에코프로비엠(247540)(-0.10%), 카카오게임즈(293490)(-0.12%), 셀트리온제약(068760)(-0.91%), 리노공업(058470)(-3.17%)이 약세다. 반면 엘앤에프(066970)(1.24%), HLB(028300)(0.61%), 펄어비스(263750)(4.37%), 에코프로(086520)(1.05%), 스튜디오드래곤(253450)(3.85%)는 상승세다. 한편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0.90%)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0.7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0.70%)가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3% 상승하며 전문가 예상치(0.2% 상승)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에 대한 경계심리를 드러냈다. -
건설업(-2.76%↓)이 약세인 가운데, 코스피도 하락 흐름(-0.61%↓)
증권 News봇 2022.12.12 10:00:05오전 10시 0분 현재 총 18개 코스피 주요 업종 중 15개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2.76%), 운수창고업(-1.33%), 섬유의복업(-1.32%)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의료정밀업(+1.24%), 기계업(+0.39%), 운수장비업(+0.11%) 등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하락률이 가장 높은 건설업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29(매도):7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건설업은 최근 7일 동안 -6.18% 하락했으며(기간상승률 18위), 동일 기간 동안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건설업 내 주요 종목 동향을 보면 진흥기업우B가 -0.39%로 약세를 보이고 있고, 동아지질(-0.37%), HDC랩스(-0.25%)가 역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태영건설우(+1.20%), 수산인더스트리(+0.44%), 범양건영(+0.37%) 등은 상대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755억 순매도를 기록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76%↓)
증권 News봇 2022.12.12 10:00:0312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63p(-0.61%) 하락한 2374.41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76%), 운수창고업(-1.33%), 섬유의복업(-1.32%)이며, 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1.24%), 기계업(+0.39%), 운수장비업(+0.1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64:3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외국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개인은 715억, 기관은 39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755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영진약품(003520)이 15.74% 오른 4,045원을 기록 중이고, 제일파마홀딩스(002620)(+14.93%), 국제약품(002720)(+14.8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9.29%), 동부건설우(005965)(-6.78%), 코오롱글로벌우(003075)(-6.5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20개, 상승종목은 32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건설업(2.42%↓)
증권 News봇 2022.12.12 09:30:0212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71p(-0.45%) 하락한 2378.33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42%), 전기가스업(-1.03%), 전기전자업(-0.96%)이며, 강세업종은 의료정밀업(+0.96%), 철강금속업(+0.14%), 화학업(+0.1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건설업이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56:44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 동반 매수세를 보이고 있으나, 외국인의 '팔자' 기조에 밀리고 있다. 개인은 541억, 기관은 138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68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국제약품(002720)이 12.75% 오른 4,865원을 기록 중이고, YG PLUS(037270)(+8.95%), 유니드비티플러스(446070)(+7.4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국제강(001230)(-8.18%), 다이나믹디자인(145210)(-5.41%), 코오롱글로벌(003070)(-5.3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08개, 상승종목은 31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LIG넥스원, 한국거래소가 인정한 '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우수법인'
산업 기업 2022.12.12 09:28:28LIG넥스원(079550)이 한국거래소가 주관하는 ‘2022년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우수법인’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 법인에 대해 기업지배구조 보고서공시를 의무화하고 있고 올해부터는 자산 총액 1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의무화 대상을 확대했다. 거래소는 제시된 ‘기업지배구조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배구조 현황을 충실하고 투명하게 공시하는 상장사를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우수법인으로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주주의 권익보호를 위해 공시 규정 등을 준수하고 이행했고 주주 및 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자에 투명하게 공시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이사회의 책임경영, 감사기구의 독립성 확보, 공시 중요성에 대한 임직원 교육, 지배구조의 건전성을 입증해 종합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공시 우수법인은 3년 간 불성실 공시법인 지정 유예(1회), 연 부과금 및 추가·변경 상장 수수료 면제, 공시담당자 해외업무 연수 등의 혜택을 받는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주주와 투자자 보호에 최선을 다해온 결과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우수법인으로 선정됐다”며 “앞으로도 주주가치 제고와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을 통해 회사의 투명성, 건전성이 반영된 지배구조를 확립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