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조상인의 예(藝)-<40>권영우 '무제']젊은날의 아픈 초상…찢긴 한지에 스며들다
    [조상인의 예(藝)-<40>권영우 '무제']젊은날의 아픈 초상…찢긴 한지에 스며들다
    작가 2017.12.08 16:21:14
    간밤에 눈이 내렸다던가. 사는 동네에 따라 눈이기도 했고 진눈깨비였을 수 있고, 남쪽이라면 비가 내리다 말았을 수도 있겠다. 이도저도 떨어지지 않은 고요한 밤이었다면 추녀 끝에 달랑거리던 물방울이 엮은 고드름이라고 해보련다. 눈이 내리면 꺼내보리라 벼르고 벼르던 권영우(1926~2013)의 1985년 작 ‘무제’이다. 어슴푸레한 겨울밤 갓 내리기 시작한 눈송이처럼 경건하다. 푸른 물감이 스민 화선지 사이로 클로드 아실 드뷔시(1862~1918)의 ‘베르거마스크 모음곡’, 그 중에서도 ‘달빛’의 선율이 배어 나오는 듯하다. 은은함 때
  • [조상인의 예(藝)-<39>심사정 '오상고절'] 바위옆 서릿발 뚫고 핀 국화...'선비의 고독한 절개' 화폭에
    [조상인의 예(藝)-<39>심사정 '오상고절'] 바위옆 서릿발 뚫고 핀 국화...'선비의 고독한 절개' 화폭에
    작가 2017.12.01 17:48:10
    매화는 눈 속에서 꽃망울을 터뜨려 찬바람에 그 향기를 실어 보내고, 난초는 척박한 돌 틈에서 뿌리내려 곧은 꽃대의 맑고 그윽한 향으로 주변을 가득 채운다. 국화는 서리 친 가을에 홀로 피어 추운 겨울을 견뎌내며, 대는 마음을 비우듯 속이 비었으되 단단하고 꼿꼿하게 자라 불굴을 상징한다. 이들 매난국죽(梅蘭菊竹)을 일찍이 군자의 표상으로 칭송하는 이유다. 그중에서도 국화는 서리 치는 늦가을, 다른 꽃들이 다 시들어갈 때 거만하고 고고하게 꽃을 피운다 하여 ‘오상고절(傲霜孤節)’로 불린다. 추위를 이겨내듯 역경과 시련을 극복하고 자신의
  • [조상인의 예(藝)-<38>청전 이상범 '조(朝)']졸졸 흐르는 개울..손흔드는 나뭇잎...고단한 농부의 삶을 위로하다
    [조상인의 예(藝)-<38>청전 이상범 '조(朝)']졸졸 흐르는 개울..손흔드는 나뭇잎...고단한 농부의 삶을 위로하다
    작가 2017.11.24 14:51:50
    동이 채 터오기도 전인 이른 아침, 농부 부부는 일을 하러 나선다. 이들의 일터는 자연이다. 일이라는 게 해도 해도 끝이 없건만 아득함으로 여겨지기보다는 넉넉한 땅의 품 안이 가난해도 아늑할 따름이다. 지게 멘 허리가 휘고 머리에 바구니 짊어진 목이 뻐근해도, 그래도 고향 땅을 지키는 이유다. 졸졸 흐르는 개울이, 착착 줄지어 순응하는 풀무더기가, 손 흔드는 나뭇잎이 이들을 응원한다. 한국적 산수의 전형을 이룬 청전 이상범(1897~1972)의 1954년작 ‘조(朝)’는 이른바 ‘청전양식(靑田樣式)’의 전형을 보여준다. 야산, 수목
  • [조상인의 예(藝)-<37>김종영 '자각상']생생한 나뭇결에 비대칭 얼굴...물성 그대로 살린 '不刻의 美'
    [조상인의 예(藝)-<37>김종영 '자각상']생생한 나뭇결에 비대칭 얼굴...물성 그대로 살린 '不刻의 美'
    작가 2017.11.17 17:56:50
    스스로의 현실을 깨닫고 자각(自覺)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누구나 제 얼굴을 잘 안다고 자부하지만 막상 자화상이라도 그려볼라치면 ‘어렵다’ 여기는 것과도 비슷하다. 남의 얼굴은 내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지만 정작 내 얼굴은 거울이나 카메라 등 비추어진 이미지로만 봐 온 탓인지 언제나 가뭇하다. 하루에도 몇 번씩 셀카(selfie)를 찍는 게 현대인의 일상이라지만 그것이 진정한 자신의 모습이라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한국 추상조각의 선구자’ 김종영(1915~1982)은 지천명이 된 1964년에 첫 번째 ‘자각상
  • [조상인의 예(藝)-<36>변관식 '외금강 삼선암 추색']생명력 안고 치솟은 바위...외금강의 역동적 기운이 꿈틀
    [조상인의 예(藝)-<36>변관식 '외금강 삼선암 추색']생명력 안고 치솟은 바위...외금강의 역동적 기운이 꿈틀
    작가 2017.11.10 17:17:41
    그림을 가로지르며 치솟은 저 우뚝한 것이 나무인가, 절벽인가? 아니 이 장면은 꿈인가, 실재하는 풍경인가? 소정(小亭) 변관식(1899~1976)은 30대에 8년이나 금강산을 누볐고 이후 두고두고 당시의 감동을 머금어 그림을 그렸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외금강 삼선암 추색’은 소정이 그린 여러 점의 금강산 중에서도 작가의 전성기 개성이 드러나는 대표작으로 꼽힌다. 삼선암은 금강산의 만물상 입구 왼쪽에 솟은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의 세 바위를 가리킨다. 구름이 움직이면 마치 하늘에서 신선들이 내려오는 것 같다고 해서 붙은 지명
  • [조상인의 예(藝)-<35>임응식 '가을']삶의 고단함 잊게 하는 볏단…흑백에 담은 시대의 萬感
    [조상인의 예(藝)-<35>임응식 '가을']삶의 고단함 잊게 하는 볏단…흑백에 담은 시대의 萬感
    작가 2017.11.03 16:37:28
    가을걷이도 다 끝나간다. 올해는 농사도 풍년이고 속속 전해오는 주요기업들의 3분기 실적발표 또한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으로 풍년이다. ‘한국 사진계의 선구자’ 임응식(1912~2001)이 풍년 소식에 가을 추수 장면을 담고자 카메라를 들고 나선 것은 1977년의 일이다. 그간 쌀 부족을 이유로 막걸리 제조에 백미(白米)를 쓰지 못하게 하던 것이 이해 풍년을 계기로 허용됐으니 풍년도 대풍이었던 해다. 웅크린 털 짐승처럼 볏단들이 줄지어 쌓여 있다. 엇갈리게 묶인 모양이 마치 손에 손을 잡은 것처럼 정겹다. 고단함을 잊을 정도로 신 나게
  • [조상인의 예(藝)-<34>의재 허백련 '추경산수'] 상록수 틈새로 낯 내민 단풍...가을, 산 깊은 곳까지 찾아들다
    [조상인의 예(藝)-<34>의재 허백련 '추경산수'] 상록수 틈새로 낯 내민 단풍...가을, 산 깊은 곳까지 찾아들다
    작가 2017.10.27 17:40:13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순간부터/ 나무는 가장 아름답게 불탄다// 제 삶의 이유였던 것/ 제 몸의 전부였던 것// 아낌없이 버리기로 결심하면서 /나무는 생의 절정에 선다// 방하착(放下着)// 제가 키워 온/ 그러나 이제는 무거워진/ 제 몸 하나씩 내려놓으면서// 가장 황홀한 빛깔로/ 우리도 물이 드는 날.” 지금은 정치인이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더 유명한 시인 도종환의 ‘단풍드는 날’이다. 시 중간의 ‘방하착’은 불교 용어로 마음을 내려놓으라는 뜻이다. 비 맞고 바람 맞아가며 지켜온 잎사귀에 새 옷 차려 입혀 한껏
  • [조상인의 예(藝)-<33>도상봉 '국화']가을을 따라온 싱그러운 국화...지친 마음을 보듬다
    [조상인의 예(藝)-<33>도상봉 '국화']가을을 따라온 싱그러운 국화...지친 마음을 보듬다
    작가 2017.10.20 14:16:06
    종로구 인사동에 즐비한 화랑 중에서도 ‘선화랑’은 역사나 영향력 면에서 단연 터줏대감으로 통한다. 1977년 선화랑을 연 창업자 고(故) 김창실(1935~2011) 회장은 이화여대 약학과를 졸업한 후 약국을 운영하던 약사 출신이다. 미술 애호가였던 김창실은 인사동 거리가 비포장도로이던 1950년대부터 그림 보러 다니길 즐겼다. 눈 호사가 기뻤을 뿐 선뜻 그림 살 엄두는 내지도 못하던 그녀가 1965년에 처음으로 그림 한 점을 품에 안았다. 둥그런 백자 항아리 위로 하얀 꽃송이들이 흘러넘치듯 탐스럽게 피어오른 도상봉(1902~1977
  • [조상인의 예(藝)-<32>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찬바람 부는 날...아이 업은 아낙의 눈엔 그리움이 가득
    [조상인의 예(藝)-<32>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찬바람 부는 날...아이 업은 아낙의 눈엔 그리움이 가득
    작가 2017.10.13 14:23:45
    고향 다녀온 지 며칠이나 됐다고 또 엄마가 보고 싶다. 돌아서면 곧 또 그리운 엄마, 만날 먹어도 질리지 않고 생각나는 집밥의 연장 선상에 박수근(1914~1965)의 그림이 있다. 나목(裸木) 아래로 젊은 아낙이 아이를 업고 섰다. 그의 눈은 짐을 머리에 인 채 장으로 나가는 여인 쪽, 그 건너편 먼 곳을 응시한다. 하염없이 바라보는 그 눈에는 분명 그리움이 가득하리라. 잎 떨어진 나무 탓인지 찬 바람이 부는 듯하다. 우둘두둘 화강암 같은 질감의 그림 표면 너머로 1950~60년대, 배는 늘 고팠지만 마음만은 넉넉하던 그 시절의
  • [조상인의 예(藝)-<31> 김두량 '월야산수도'] 한가위 보름달 차올랐건만...시린 가을밤, 정적은 더 깊어가네
    [조상인의 예(藝)-<31> 김두량 '월야산수도'] 한가위 보름달 차올랐건만...시린 가을밤, 정적은 더 깊어가네
    작가 2017.09.29 18:50:44
    달이 익어가고 있다. 얼마 지나지 않으면 휘영청 둥근 달이 차오를 터이다. 한가위 보름달 뜬 밤 풍경을 그린 조선 영조 시절의 화원화가 김두량(1696~1763)의 ‘월야산수(月夜山水)’를 꺼내볼 때가 왔다. 보름달이 떠올랐건만 무슨 까닭인지 스산한 마음이 드는 그림이다. 맨살로 밤바람을 맞는 게 서늘해진 기온 탓인지, 뒤숭숭한 세상사 탓인지 혹은 누구를 향한 것인지 알 수 없는 아련한 그리움 때문인지 모를 일이다. 그림 왼쪽 위에 ‘갑자년 중추에 김두량이 그렸다(甲子中秋金斗樑寫)’고 적혀 있다. 당시 갑자년은 1744년이었고, 그
  • [조상인의 예(藝)-<30>이대원 '산'] 생동감 넘치는 가을빛 山...풍요로움·행복을 품다
    [조상인의 예(藝)-<30>이대원 '산'] 생동감 넘치는 가을빛 山...풍요로움·행복을 품다
    작가 2017.09.22 17:35:19
    가을 햇살에 나뭇잎이 파르르 떨린다. 연둣빛 새순도 짙푸른 초록도 아니건만, 초가을 햇빛은 자꾸만 이파리 하나하나를 건드린다. 작당한 듯 바람이 가세해 단풍 들기 전 마지막 생명력을 과시하라며 잎을 들추고 반짝임을 찾아낸다. 그런 영롱한 자연을 바라보는 사람의 마음은 농락당한 듯 어지럽다. 그래서 가을을 타나 보다. 어떤 그림은 남의 숨겨둔 감정을 후벼 파듯 끄집어내거나 아픈 자리 다시 꼬집은 것처럼 흠칫하게 만들곤 한다. 반면 슬픔 하나 없이 마냥 기쁘고 행복하게 만드는 그림이 있으니 이대원(1921~2005)의 작품이 그렇다.
  • [조상인의 예(藝)-<29>강희안 '고사관수도']흐르는 물에 빠져든 선비...속세 벗고 삶의 순리 만끽하다
    [조상인의 예(藝)-<29>강희안 '고사관수도']흐르는 물에 빠져든 선비...속세 벗고 삶의 순리 만끽하다
    작가 2017.09.15 15:01:01
    이 꼴 저 꼴 보기도 싫고 이러쿵저러쿵 거들고 싶지도 않다. 다투고 시비 가려 무엇하랴, 내가 한 발 물러나면 그만인 것을. 그래서 훌쩍 떠났다. 혼자만 아는 숲, 깊숙한 곳에 다다라 호숫가 바위 위에 엎드려 물을 바라본다. 물을 보는 것인지, 물에 비친 나를 보는 것인지, 아니면 물을 보는 척하며 더 먼 곳을 내다보는 것인지. 허리 힘을 빼고, 한쪽 다리를 끌어당긴 품새로 보아 한참을 이렇게 물을 보고 있었고, 한동안 더 물만 바라볼 듯하다. 조선 초기 화단에서 안견이 화원화가를 대표한다면 사대부 출신을 대표하는 화가는 두말할 나
  • [조상인의 예(藝)-<28>안견 '사시팔경도']녹음 짙은 '晩夏'...평화로운 '初秋'...화폭에 담은 사계절
    [조상인의 예(藝)-<28>안견 '사시팔경도']녹음 짙은 '晩夏'...평화로운 '初秋'...화폭에 담은 사계절
    작가 2017.09.08 15:19:42
    여름이 떠나서 가을이 온 건지 쳐들어온 가을에 여름이 쫓겨간 건지는 알 수 없으나, 가을이 왔다. 영원할 것처럼 기고만장하던 여름은 안녕조차 남기지 않았고, 가을은 도둑처럼 몰래 숨어와 더위를 싹 쓸어갔다. 때가 되어 철이 바뀌는 것을 수십 차례 겪었음에도, 계절이 바뀔 때마다 당혹스러운 마음은 매번 반복된다. 그래서 그림 하나를 꺼내 본다. 신라의 솔거, 고려의 이녕(李寧)과 더불어 우리나라 회화사의 삼대가(三大家)로 꼽히는 안견(1410년 경~1464년 이후)의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다. 사계절의 변화를 별스럽지 않게 그러나
  • [조상인의 예(藝)-<27>채용신 '최익현 초상']74세 노인의 이글거리는 눈빛...우국지사의 기개를 담다
    [조상인의 예(藝)-<27>채용신 '최익현 초상']74세 노인의 이글거리는 눈빛...우국지사의 기개를 담다
    작가 2017.09.01 14:42:04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을 기념한 우표첩이 발행과 동시에 ‘완판’됐고 예약을 받아 다음 달까지 제작될 추가 발행분은 약 25만 부에 달한다. 우표 속에는 대통령의 어린 시절부터 결혼식과 취임식, 웃고 울며 때로는 비장하고 때로는 침통한 표정까지 다양한 얼굴이 담겨 있다. 왕조시대의 국왕과 민주주의 국가의 대통령은 전혀 다른 성격의 지도자이나 한 나라를 대표하는 최고 권력자라는 공통 선상에서 봤을 때, 조선에서는 상상도 못했을 일이다. 왕을 그린 그림을 어진(御眞)이라고 한다. 지엄한 왕의 얼굴을 감히 그릴 수가 없다 하여 어좌(御坐)의
  • [조상인의 예(藝)-<26>이형록 '책가도']조선 선비의 서재를 엿보다
    [조상인의 예(藝)-<26>이형록 '책가도']조선 선비의 서재를 엿보다
    작가 2017.08.25 15:58:54
    계절이 바뀌는 시기라 그런지 “옷장이 가득해야 든든하다”는 이가 있는가 하면 “냉장고가 꽉 차면 걱정이 없다”는 사람, “지갑이 두둑해야 안심”이라는 사람도 있다. 채우고 싶은 곳은 제각각일진대 그 중 “책장이 빽빽하면 행복하다”는 이들도 있을 터. 책 사랑이 유난했던 인물이 바로 조선 르네상스의 군주 정조(1752~1800·재위 1776~1800) 임금이다. 그는 책과 책장을 소재로 ‘책가도(冊加圖)’라는 한국 고유의 그림 분야를 개척하게 한 최고의 예술 후원자였다. 조선에서는 예조 산하 도화서가 왕실과 정부를 위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