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강사진·실속있는 강의…도슨트학교 2기 모집
Pick2025.04.0111:11:37
“도슨트의 기본기를 다지고, 미술관 도슨트로 활동한 기회도 차지하세요!“ 서울경제신문이 사단법인 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이하 서미협)와 공동으로 전시 해설사 육성을 위해 주최한 ‘서울시미술관 도슨트학교’(이하 도슨트학교)가 2기 모집을 7일까지 진행한다. 지난해 하반기 1기를 배출한 도슨트학교는 미술관 해설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으로, 이론과 실습을 아우르는 커리큘럼을 갖췄다. 이번 2기는 주 1회씩 총 15회 수업으로 구성되며, 자격검정 평가를 위한 3회의 실습 수업도 포함돼 있다. 대부분 강좌는 직장인 수강생
"도슨트의 꿈 이루세요!"…도슨트학교 2기 모집
Pick
2025.03.31
13:23:17
“미술 관련 전공자는 아니지만 해외 여행이나 출장을 가면 그 나라 미술관을 찾아다니는 데서 행복을 느꼈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전시를 가기 전에 작품과 작가에 대해 미리 공부하게 됐어요. 점차 내 아이 뿐만 아니라 관람객 누구에게나 감동과 새로운 힘을 줄 수 있게 돕는 ‘도슨트’가 되고 싶은 마음이 커졌습니다. 은퇴 후 자원봉사로만 여겼던 도슨트가 전문적인 전달자로 활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고 ‘도슨트
현대미술, 먼 얘기가 아니다
작가
2025.03.26
17:16:31
‘현대미술은 어렵다’는 인식은 여전하다. 거대한 담론, 낯선 용어, 천문학적인 가격…대중은 현대미술을 ‘먼 세계’로 느낀다. 미술평론가이자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는 조숙현이 예술에세이 ‘가까운 미술’을 쓴 이유다. “정작 우리 곁에 있는 작가들에 대해, 왜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저자는 2009년 겨울, 미술전문 월간지의 기자로 첫발을 디딘 이후 십 수년 간 현대미술의 현장을 가
-
작가 2018.06.15 17:23:03봄이 꽃의 계절이라면 여름은 나무의 계절이다. 여름 나무는 큰 가지 뻗고 울창한 잎 덮어 시원한 그늘을 드리운다. 마을의 터줏대감 같은 느티나무는 동네 사람들의 평안을 빌어주는 믿음직한 존재였다. 아름드리 느티나무에 그네를 매고 나무 그늘을 놀이터 삼아 웃고 떠드는 모습은 이제 옛이야기, 시골에서도 더 이상 볼 수 없는 풍경이 됐다. 도시의 나무는 주로 가로수다. 가수 이용은 1982년 곡 ‘서울’에서 “종로에는 사과나무를 심어보자” “을지로에는 감나무를 심어보자”라고 노래했더랬다. 하지만 지금 서울 사대문 안의 대세는 ‘이팝나무’
-
작가 2018.06.08 17:14:45오는 13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막판 선거운동이 절정에 오른 주말이다. 정치 싸움인 면도 없지 않으나 그 결과가 민생과 직결되는 것 또한 선거인지라 출마자뿐 아니라 유권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지방선거 투표일을 앞두고 ‘진단타려도’를 꺼내 본다. 아침이슬이 닦고 지나간 듯 청명한 풍경이다. 말간 그림의 첫인상과 달리 주인공 격인 나귀 등짝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노인의 모습이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다. 땅바닥으로 꼬꾸라지기 직전인 연초록 도포차림의 선비가 마치 넓적한 나뭇잎 같다. 버둥거리며 휘젓는 두 다리와 옆에 점잖게 선 잘생긴
-
작가 2018.06.01 15:16:17간밤에 모기에게 물렸다. 빨갛게 부어오른 자리를 긁으며 이제 여름이 오나 보다, 생각했다.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 튀어나온다는 ‘경칩’이 우수와 춘분 사이에서 본격적인 봄의 시작을 알리듯 그렇게 계절의 변화는 작은 동물들, 꽃과 나무가 먼저 알려온다. 사람이 생각만 빨랐지 뭐가 그리 잘나서 자연의 동반자를 ‘미물’이라 부르는가 반성할 일이다. 낭창거리는 줄기 끝에 붉은 양귀비꽃이 고개를 치켜들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신사임당(1504~1551)의 작품으로 소장한 ‘초충도’ 8폭 그림 중 ‘양귀비와 도마뱀’이다. 양귀비의 품새가 어찌
-
작가 2018.05.25 14:14:42장미가 지천이다. 반포대교 남단에 조성된 화단부터 용산구청을 지나 돌아가는 삼각지에도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경복궁을 가운데 두고 북촌, 서촌의 담장 있는 집이면 너나없이, 아파트는 곱게 꾸며둔 화단 구석구석 빨간 장미가 고개를 내밀었다. 흔해서 싫다거나 많아서 지겹다는 얘기가 아니다. ‘꽃 중의 여왕’인 장미가 친근하게 곳곳에 피었으니 반갑고 기뻐 스쳐지날 동네 담벼락 한 번 더 돌아보는 게 흐뭇해서 하는 소리다. 그렇게 핀 장미를 한 송이씩 꺾어 담은 듯하다. 빨간장미와 흰장미 사이로 분홍장미와 노란장미가 다투듯 얼굴을 내민
-
작가 2018.05.18 15:42:18눈(雪)보다 더 흰 구름바다에 쪽빛 하늘 조각이 떠 있다. 하늘 위 구름이 아니라 구름바다에 하늘 조각이다. 어느 것이 구름이요 어느 것이 하늘인지, 네가 나인지 내가 너인지, 아니 그런 구분마저 덧없게 만드는 신비로운 깨달음이 혼재한다. 그 사이를 가르며 지나는 한 척의 배(船) 같은 것이 있으니 광배(光背)라 한다. 광배는 부처 등 신성한 존재의 뒤를 감싸는 신비의 빛을 뜻한다. 본래 의미로는 광배가 부처를 상징하는 것이지만 흐린 분홍빛이 오히려 인간의 살 색에 더 가까워 보인다. 그림 속에서만은 신과 사람의 경계마저도 허물어지
-
작가 2018.05.04 16:01:49아이들은 솔직하다. 좋으면 웃고 싫으면 찡그리는 그 감정 표현뿐만 아니다. 더우면 훌렁훌렁 옷 벗어던지고 닭 보이면 마냥 쫓아다니고 소가 보이면 냉큼 올라타 버린다. 자연에서 나고 자라 흙색으로 피부 그을린 아이들이 커다란 황소 곁에 매달려 있으니 어느 것이 땅이고, 어느 것이 아이이고 소인지 그저 한 덩어리처럼 보인다. 봄꽃이 반가운 것은 남녀불문 인지상정이다. 분홍 꽃을 손에 든 입술 도톰한 녀석이 딸아이인가 싶어 봤더니 속옷 한 장 입지 않은 사내아이라 웃음 짓게 한다. 제일 극성인 꼬마가 소의 엉덩짝을 쥐고서는 타고 오르려
-
작가 2018.04.20 17:34:05“꼬꼬댁 꼬꼬댁~~” 햇살 좋고 고요하던 앞마당의 평화가 깨지는 건 순식간이다. 어디서 나타났는지 등 새카만 들고양이가 병아리를 잽싸게 물어 채 갔다. 뒤뜰 살구나무가 연분홍 꽃망울을 막 터뜨릴 즈음 알에서 깬 병아리는 다섯 마리. 이런 느긋함이 영원할 것만 같던 화창한 봄날, 올망졸망 새끼들을 거느린 어미 닭은 한가롭게 모이 쪼는 중이었다. 그런데 이 망할 고양이 녀석에게 새끼 뺏기게 생겼다. 암탉이 푸드덕거리며 쫓아간다. 자식 잃은 어미에게는 고양이 아니라 호랑이도 무섭지 않다. 날지 못하는 날개를 휘저으며 뒤뚱뒤뚱 종종걸음하는
-
작가 2018.04.13 14:55:33광화문 광장이 또 바뀔 것이라 한다. 광화문 복원 공사를 한 지 10년 남짓 지났을 뿐인데 문화재청과 서울시는 한번 더 광화문 본래의 모습을 찾아 대대적인 공사를 시작할 것이라는 계획안을 발표했다. 그토록 찾고자 하는 ‘진짜 모습’이 무엇일까 고민하게 한다. 여기, 100여 년 전의 광화문과 그 주변 모습이 그림으로 남았다. 조선의 마지막 도화서 화원이자 20세기 초 근대화단을 대표하는 안중식(1861~1919)의 ‘백악춘효(白岳春曉)’. 지금은 북악산이라 불리는 청와대 뒷산의 원래 이름은 백악산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북악산이란 명
-
작가 2018.04.06 17:33:48바람에 떨어진 벚꽃인가 싶었더니 다시 휘리릭 날아오르는 것이, 흰 나비였다. 동백 목련이 흐드러지고 개나리 진달래가 꽃망울을 터뜨리더니 드문드문 나비 떠다니는 것도 보이곤 한다. 그저 자연을 바라보는 것만으로 근심 걱정을 떨칠 정도로 밝고 따뜻한 기운이 충만한데, 자칫하다간 챙겨야 할 일마저 깜빡하기 일쑤다. 이게 다 봄 탓이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인 꽃이지만 그보다 더 안달하게 하는 나비다. 느긋한 날갯짓이 쉽게 잡힐 것 같으면서도 요리조리 피해 다니고, 어디 좀 보자 싶으면 이내 눈 밖으로 달아나버린다. 봄비가 조금이라도 굵
-
작가 2018.03.30 16:16:39봄을 안고 온 진달래가 제주도를 한 바퀴 돌고 올라와 전남 여수 영취산을 뒤덮었다. 경남 통영에서는 진달래 화전 지지고 진달래 설기 찌는 달콤하면서도 구수한 냄새가 자욱하다 한다. 진달래축제가 열리는 강화도 고려산까지 꽃 기운이 치고 오는 데는 채 열흘도 걸리지 않을테니,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4월 27일 판문점 일대에도 그림 같은 진달래가 한창일지 모르겠다. 남쪽의 꽃 소식이 봄을 알리듯 오는 1일 북한 평양의 동평양대극장에서 열리는 우리 예술단의 공연 소제목도 ‘봄이 온다’로 붙었다. 그래서 진달래다. 살에 닿는 따스한 바람으로
-
작가 2018.03.23 14:19:14언 땅이 언제 녹을지, 빈 땅에 언제 싹이 틀지를 땅 위에 사는 사람은 알기 어렵다. 우수에 얼음이 녹고 경칩에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것 정도를 선조들의 경험 어린 절기 상식을 통해 가늠할 뿐이다. 하지만 춘분에도 함박눈이 내려 설중매(雪中梅)를 보듬기 일쑤니 이치에 합당한 때는 자연만이 알 뿐이다. 말 한마디 않고도 사람을 뒤흔들어 놓는 윤형근(1928~2007)의 그림이다. 봄을 맞아 차가운 땅에 스멀스멀 돌기 시작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아련하게 번져 나온 색의 움직임이 봄날의 아찔함을 부르는 아지랑이를 피워올린다. 천의
-
작가 2018.03.16 15:58:53아, 밝다. 너무 밝다. 미술관 전시장에서 조명이 비추는 곳에는 작품이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조명 앞에는 아무것도 없다. 막힌 벽뿐이다. 박이소(1957~2004)의 ‘당신의 밝은 미래’는 조명 자체가 작품이다. 아니, 정확히는 공사장 등지에서 쓰이는 야외용 전등과 이를 얼기설기 지탱하고 있는 각목들로 이뤄진 이 허름하고 연약한 조명기구와 함께 빛이 비치는 벽구석까지가 작품이다. 혹시 가까운 곳에 음향기기가 있다면 존 레논(1940~1980)의 ‘이매진(Imagine)’을 틀어놓고 이 작품을 감상하길 권한다. 잠시 머리를 열고
-
작가 2018.03.09 14:31:46봄이다. 매화 철이다. 매화 그림이라 하면 스스로 ‘매화 늙은이’라는 뜻으로 ‘매수’라 호를 붙인 조희룡(1789~1866)이 으뜸이다. 매화를 그리다 흰머리가 됐다고 했을 만큼 매화를 좋아한 그는 ‘석우망년록’이라는 저서에서 매화에 몹시 빠져있음을 고백했다. “나는 매화를 지나치게 좋아해서 잘 때는 내가 직접 그린 매화 병풍을 눕는 자리 주위에 둘러쳤고, 매화 시가 새겨진 벼루(梅花詩境硯)를 쓰고 매화 이름이 들어간 먹(梅花書屋藏煙)을 사용한다. 앞으로 매화 시 백 편을 지을 작정인데 시가 완성되면 내가 사는 곳에 매화백영루(梅花
-
작가 2018.03.02 14:49:05볕이 따뜻해졌다. 그늘을 벗어나 볕 자리를 찾아 섰어도 찬바람이 마냥 시리기만 하던 겨울이 끝나간다. 햇볕에 서면 이제 온기가 느껴진다. 어찌나 햇빛이 좋은지 둥치 굵은 고목의 그림자가 검지 않고 파랗다. 태양빛이 너무 환하면 잠시 깜빡이는 눈앞이 보랏빛으로 아찔하게 뒤덮일 때가 있다. 그 파릇한 기운의 그림자가 지붕을 타고 올라 하늘까지 치솟았다. 그림자와 하늘이 같은 파란색이다. 이른 봄볕이 얼음뿐 아니라 그림자마저 녹인 모양이다. 오지호(1905~1982)의 ‘남향집’은 겨울 끝자락 봄 첫머리에 걸리기 탁월한 그림이다. 화가는
-
작가 2018.02.23 14:41:38아주 어릴 적, 꽹과리 소리 캉캉 울리던 농악대 풍물놀이를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을 더듬어 본다. 너무나 강렬했고 조금 놀라기도 했던 것 같다. 당장 나가 어깨춤을 들썩일 정도는 아니었지만 싫지도 않았다. 시원함과 통쾌함이 남았다. 유럽을 대표하는 축제 중 하나인 스위스 루체른의 카니발을 마주했을 때의 첫 느낌도 당혹스러움에 가까웠다. 이 많은 사람들이 왜 이러나, 집단 광기 아닌가 싶었을 정도로 흥에 취한 사람들이 낯설었다. 더 놀라운 것은 마을 주민들뿐만 아니라 어색해하던 이방인까지 어느새 하나가 되어 즐기게 되더라는 사실이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