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만파식적] 스탈린의 대숙청





20세기 최악의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이 벌인 공포정치의 상징이 ‘대숙청(치스트카)’이다. 1920년대 적백(赤白) 내전 승리 이후 스탈린이 의욕을 갖고 추진한 농업집단화와 공업화의 실패로 당내 반발에 몰리면서 이를 반격해 1인 지배를 공고히 해가는 일련의 반대파 제거작업 과정이다. 대숙청 기간 중 내무인민위원회(NKVD)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소련 공산당의 비밀경찰인 게페우(GPU)가 자행한 암살과 무자비한 처형, 시베리아 강제노동 수용소행 등의 악명이 드높다.

1953년 스탈린이 죽기 전까지 계속됐지만 그의 광기가 극에 달했던 1933~1938년까지 숙청된 공산당원만도 160만명. 후일 소련 정부의 발표가 있었다지만 정확한 진상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서방의 한 통계에 따르면 이 기간 700만~800만명의 민간인도 숙청 대상이 됐다고 한다. 어린 아들이 아버지를, 아내가 남편을 스탈린 암살음모, 독일·일본 간첩죄의 죄목으로 밀고하는 비인륜적 행태가 국가적 표창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일까지 벌어졌다.



너무나 대규모로 숙청을 진행하다 보니 오늘의 숙청자가 다음 숙청 대상자가 되는 일도 허다했다. 실제 스탈린의 두 번째 처 알릴루예바가 집에서 열린 정치국원 환담에서 괜스레 국민의 불만과 게페우의 테러에 대한 의견을 털어놓았다가 다음날 ‘자살’한 것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또 초기 대숙청을 주도했던 NKVD 수장이었던 겐리흐 야고다는 후임인 니콜라이 예조프에게 처형됐다. 예조프조차 다시 스탈린의 지시를 받은 라브렌티 베리야에게 처형됐다. 베리야도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와 권력을 다투다 그해 12월 총살됐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스탈린의 대숙청을 흉내 내고 있다. 우리 정보당국에 따르면 교육 담당인 김용진 내각 부총리가 회의 중 조는 바람에 ‘자세불량’을 이유로 7월 총살당했다. 김영철이 ‘혁명화 처벌’로 강제노역을 하다가 “실적을 내겠다”는 서약을 한 후 대남총책으로 복귀했다고 한다. 소련의 대숙청은 스탈린이 권좌를 놓칠 위험을 감지하면서 시작됐다. 김정은이 자행하는 ‘피의 숙청’이 강도를 더해갈수록 그의 정권이 말기에 다가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온종훈 논설위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