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값 인상분을 반영해 계약금을 올려 달라며 파업에 나섰던 호남 지역 골조 공사 업체들이 건설사들과 극적으로 타결해 ‘2차 셧다운(공사 중단)’을 철회하기로 했다습니다. 일제히 멈춰 섰던 호남 아파트 현장들도 공사가 재개됐지만 실제 보상 과정까지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모양새입니다. 공사비 증액이 현실화되면 분양가가 상승하고 결국 이는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23일 건설 업계에 따르면 호남·제주 철근콘크리트연합회는 20일 광주시청에서 원청사 6곳과 긴급회의를 열고 공사 계약 단가 인상과 관련한 협의를 마쳤다습니다. 회의에 참석한 원청사는 중흥건설·제일건설·대광건영·모아건설·보광건설·한국건설 등 6곳입니다. 호남·제주 연합회 관계자는 “협상에 미온적이던 원청사들로부터 시 중재로 물가 인상분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각 현장에서 손실 보전 부분을 취합하면 본사에서 검토해 적정한 선에서 보상 받기로 협의한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전국 철근콘크리트연합회는 지난달 21일 100대 건설사에 원자재 가격 급등을 이유로 계약 금액 20% 인상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고 이달 2일 건설사 현장 30여 곳에서 파업을 실시했습니다. 이후 호남·제주 연합회를 필두로 협상에 미온적인 건설사 현장에서 이날부터 무기한 ‘셧다운’에 돌입하기로 해 공사 지연 사태가 이어질 경우 주택 공급난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공사가 중단됐던 200여 곳의 현장은 하루 만에 다시 재개되지만 공사비 증액이 가시화되며 분양가 상승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도 추후 공사비 증액 여부를 놓고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이 전망돼 분양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습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2월 분양가상한제 대상 공동주택의 기본형 건축비를 2.64% 인상한 데 이어 하반기에도 추가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공사비가 늘면 이는 결국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했습니다. 앞서 협회는 지난달 말 정부에 계약 금액 조정 외에도 원자재 수급난 충격 완화를 위한 한시적 세제 혜택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하기도 했었습니다.
건설 현장의 자재비 인상이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어 보상 액수를 두고 갈등의 불씨는 여전한 상황입니다. 시멘트 생산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유연탄은 1년 전 톤당 71.94달러였던 것이 지난달 톤당 256달러로 무려 3배 이상 뛴 상태입니다. 시멘트 가격이 폭등하며 레미콘 업계는 지난달 말 상위 200위 내 건설사에 공문을 발송해 이달 1일자로 15∼20% 인상을 단행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원유와 철스크랩 가격도 최근 1년 새 60% 이상 상승했으며 단열재와 석고보드 등 내장재도 전년 대비 10% 이상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철근콘크리트 연합회 관계자는 “보상액이 물가 인상분과 현저히 차이 날 경우 추가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덧붙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